• 제목/요약/키워드: Insecta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7초

잣나무 조림지내 토양미소절지동물상에 관한 연구. 3. 토양미소절지동물의 종류와 분포 (Soil microarthropods fauna in plantations of the Korean pine(Pinus koraiensis S. et Z.). 3. Population densities of soil microarthropods)

  • 권영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8-175
    • /
    • 199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the soil microarthropods community in plantations of the Korean pine(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the sudong area, Namyangju-gun, Korea) , which had been planted in different years. The soil samples intended to collect soil animals were taken monthly from June 1988 to July 1989. The composition of soil microarthropods community included Arachnida, Chilopoda, Insecta, Collembola, Diplopoda, Crustacea, and Symphyla. The Acarina were composed of 82.4% of Cryptostigmata, 8.0% of Mesostigmata, 7.9% of nymphs, and 1.7% of others. The Insecta included six orders including Hymenoptera(65.8%) and Diptera(13.9%). Population densities increased from when the plantations were first established until the planting were 25 years old, after which they declined. Population densities of the soil microarthropods were highest in July and lowest in January. The Collembola/Acarina ratio is 0.16 overall, and was highest in January and lowest in August.

  • PDF

Collebola (Insecta) from Is. Chin-do , Korea

  • Kim, Jin-Tae;Lee, Byung-H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4호
    • /
    • pp.447-453
    • /
    • 1995
  • 진도의 톡토기目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koreana Yosii and Lee, 1963, Homidia minuta n,.sp., H, munda munda Yosii, 1956,H. mediaseta Lee and Lee, 1981, H. vigintiseta Lee and Park , 1984 및 Lepidocyrtus Koreanus n.sp. 등 2신종을 포함하여 모두 2과3속 6종 밝혔다. 이로써 한국산 털보톡토기과는 북한산을 포함하여 모두 5속 29종이 된다.

  • PDF

한국산 사구성 톡토기(곤충강) 1신종에 관하여 (One New Species of Collembola(Insecta) from Sand DUnes of Korea)

  • Jean-Marc Thibaud;Jin Tae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4호
    • /
    • pp.479-484
    • /
    • 1995
  • 한국의 조간대와 사구에 서식하는 톡토기중 혹무늬톡토기과(Neanuridae)와 마디톡토기과(Isotomidae)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결과 1신종 Friesea leei n. sp.와 2 한국미기록종 Proisotoma minuta Folsom, 1937 및 Folsomides parvulus Stach, 1922이 관찰되었기에 이를 보고한다. 이밖에 Archisotoma sp. 도 채집되었다.

  • PDF

한국 동굴산 가시톡토기과(곤충강)의 분류학적 연구 (Tomocerid Collembola (Insecta) from Korean Caves Including a New Species)

  • Kyung -Hwa Park;Byung-Hoon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4호
    • /
    • pp.435-445
    • /
    • 1995
  • 한국의 동굴산 가시톡토기과 5종을 기재, 논의한다. 이들 종은 Tomocerus(Monodontocerus) odongnyeoensis. T.(s. str.) liliputanus. T.(s. str.) kinoshitai kinoshitai, T.(Aphaenomurus) interpositus 및 T.(Plutomurus) diversispinus이다. 이 중에서 T.(M.) odongnyeoensis는 신종이며, T.(s. str.) liliputanus는 한국의 동굴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다. 이로써 한국의 동굴산 가시톡토기는 8종이 되며, 한국의 동굴산 톡토기는 총 8과 9속 23종(또는 아종)에 이른다.

  • PDF

Two Species of Chloroperlidae (Insecta: Plecoptera) New to Korea, with Adult Keys to Species of the Family in Korea

  • Ham, Soon-Ah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2호
    • /
    • pp.185-189
    • /
    • 2008
  • Two species of the chloroperlid stonefly, Alloperla medlata and Sweltsa illiesi,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lloperla mediata can be distinguished by the smaller epiproct and the presence of a median sclerite under epiproct in male, and by the modified subgenital plate in female. Sweltsa illiesi can be distinguished by the presence of a pair of ridges on tergum 9 in male and upward V-shaped pattern on the center of head in adults. The line drawings of diagnostic characters and taxonomic remarks of the two species are provided with keys and comparative characters for adults of Korean Chloroperlidae.

한국산 털보톡토기과(곤충강)의 표현형과 효소유전자형질에 대한 분지분석 (A Sustematic Study of Korean Entomobryidae(Collembola, Insecta) Based on Cladistic Analysis of Phenotypic nd Allozyme Data)

  • 이병훈;박경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5-288
    • /
    • 1991
  • 한국산 털보톡토기과(Collembola, Insecta)의 계통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이 과에 속하는 3개속(Sinella, Entomobrya, Homidia)의 6종과 가시톡토기과의 1종(Tomocerus kinoshitai)에 대하여 모서식과 형태적 조사 외에 전기영동을 이용한 효소분석을 시리시하였다. 이들 모든 조사에서 32개의 형태형질과 33개의 모서식형질 및 80개의 효소유전자 형질을 얻어 분지분석하였는데, 이중 효소유전자에 대해서는 UPGMA방법도 적용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다양한 분지도를 얻었으나, Homidia종들은 언제나 두 개의 무리로 분리되었으며, Homidia munda의 두 아종이 가장 유연관계가 높았다. 반면에 Homidia koreana의 두 개체군은 다소 분리되어 같은 종으로 보기 의심스럽다는 소견을 얻었다. 또한 형태형질분석으로 얻은 계통수에서 가시톡토기과의 Tomocerus종이 털보톡토기과의 속들 사이에 끼어들어 나타나는데 이것은 형질에 따라 비중을 달리두는 평가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 결과 대체로 외부형질과 모서식, 그리고 효소유전자의 세가지 유형의 형질들을 종합 분석할 때 도출되는 계통수가 자연분류에 가장 가까운 근연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한국산 돌좀 목 2 신종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Two New Species of Microcoryphia (Insecta) from Korea)

  • 이병훈;최금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1호
    • /
    • pp.19-34
    • /
    • 1992
  • 한국산 돌좀은 1943년 Silvestri에 의하여 Pedetontus coreanus 1종만이 보고된 바 있다. 본인들이 1890년 부터 2년간 남한의 4개 지역에서 돌좀류를 채집하여 조사한 결과 2속 2신종 1미기록종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돌좀과 (Machilidae)의 Pedetontus longus n. sp.와 Haslundichilis viridis n. sp.이며 Pedetontus unimaculatus는 한국 미기록종으로써 그 모식산지는 일본이다. 따라서 한국 돌좀목은 모두 2속 4종이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