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t head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곤충 머리 부위에 대한 우리말 용어 재조명 (Rearrangement of Korean Terms for Insect Head Morphology)

  • 이영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279-285
    • /
    • 2018
  • 곤충 머리의 부분 명칭들과 동소이명(同所異名)인 suture들의 명칭을 구조의 부분별 위치와 기능을 기준으로 하여 정리하고 우리말 이름들을 체계적으로 모아서 조명하였다. 여기에는 머리 표면의 각종 선, 배자의 머리 구분, 머리의 외골격과 내골격, 입 내부구조, 긴주둥이, 더듬이 외부구조와 기본마디, 더듬이 모양, 표면 털 모양에 관한 용어들이 포함되어 있다.

완전변태류 유충의 두폭분포 추정방법 (Characterizing Distribution the Head Width in a Holometabolous Insect Larvae)

  • 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5-47
    • /
    • 1983
  • 완전 변태류 곤충에 있어서 각유충기의 구분은 두폭에 의하는 것이 상례이다. 그러나 분포의 특성이 정의되지 않는 재래적 방법으로는 객관성이 보장되지 못하며 때로 령기의 판정조차 어려울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 각 령기의 두폭분포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기술하기 위해서 "d/w"비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쌀바구미 유충의 두폭분포를 이 비를 이용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예는 다른 곤충의 경우에 있어서도 합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사료된다.

  • PDF

배나무 줄기벌(Janus piri Okamoto et Mat.)유충의 두폭과 영기수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ize of Head Capsule and Number of Instars in the Larvae of Pear Stem Sawfly, Janus piri Okamoto)

  • 윤주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5-219
    • /
    • 1975
  • 배나무 줄기벌의 유충을 수체내에서 채집하여 두폭을 측정하여 영기를 판정함과 동시에 성충비를 알아본 바 다음과 같다. 1) 유충의 두폭의 변이곡선은 구분된 6개의 계곡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5회의 탈피를 하여 6영을 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2) 두폭의 표준편차는 1영과 2영이외에는 영이 커짐에 따라 커졌으며, 변이계수는 영이 커짐에 따라 줄어지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성장비는 1-2영시는 크고, 영이 높아짐에 따라 적어졌다. 3) 배나무 줄기벌 유충의 두폭성장 추정에는 Dyar식 보다 Gains와 Campbell식이 더욱 적합하였다. 4) 유충 영기는 피해 정도로 보아서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즉 2-4영의 유충 피해는 극히 적으며 피해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5-6영시 피해는 급진적이며 외형으로 피해가 나타난다.

  • PDF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of a cDNA Encoding Putative Chemosensory Protein from the Mole Cricket, Gryllotalpa orientalis

  • Kim, Iksoo;Lee, Kwang-Sik;Ryu, Kang-Sun;Kim, Jin-Woo;Ahn, Mi-Young;Lee, Heui-Sam;Sohn, Hung-Dea;Jin, Byung-R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6권1호
    • /
    • pp.87-92
    • /
    • 2003
  • We describe here the cloning,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DNA encoding a putative chemosensory protein (CSP) from the mole cricket, Gryllotalpa orientalis. The G. orientalis chemosensory protein cDNA sequences comprised of 384 bp with 128 amino acid residues. The G. orientalis chemosensory protein showed 75.4% protein sequence identity to the Locusta migratoria CSP, Nor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signal was stronger in head than leg and cuticle, indicating that the head part containing antennae is a main site for G. orientalis chemosensory protein synthesis. The cDNA encoding G. orientalis chemosensory protein was expressed as approximately 12 kDa polypeptide in baculovirus-infected insect cells.

광릉긴나무좀의 미성숙 충태별 형태특성과 유충령기, 균낭수의 지역별 변이 (딱정벌레목, 긴나무좀과)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Immature stage in Platypus koryoensis (Murayama) (Coleoptera, Platypodidae) and Local Variation in the Number of Mycangia)

  • 원대성;최원일;권영대;김경희;김종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2호
    • /
    • pp.305-308
    • /
    • 2013
  • 참나무시들음병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 미성숙충태인 알, 유충, 번데기의 외부 형태와 유충 두폭을 활용한 령기구분, 지역 개체군 간 균낭수 변이를 조사하였다. 광릉긴나무좀의 알은 광택을 띠는 타원형이며 크기는 장경 $0.67{\pm}0.051$ mm, 단경 $0.41{\pm}0.053$ mm 이었다. 유충은 5령기를 거치며, 각 령기는 두폭의 크기 차이로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1령유충의 두폭은 $0.35{\pm}0.004$ mm, 2령유충은 $0.45{\pm}0.010$ mm, 3령유충은 $0.67{\pm}0.039$ mm, 4령유충은 $0.94{\pm}0.069$ mm, 5령유충은 $1.12{\pm}0.007$ mm 였다. 5령유충 체색은 유백색의 광택을 띠며, 큰턱이 잘 발달되었다. 번데기는 연한 황색이며, 체장은 $4.64{\pm}0.042$ mm 이었다. 개체당 균낭수는 변이가 있어 적은 개체는 5개, 많은 개체는 12개까지 관찰되었으며 83%의 개체들이 6-8개의 균낭을 가지고 있었다. 남양주지역과 홍천지역의 개체군간 개체당 균낭수 차이는 없었다.

Selective non digestion of yellow mealworm Tenebrio molitor larvae by arowana

  • Gomez, Dennis Kaw;Kim, Ji Hyung;Choresca, Casiano Hermopia Jr.;Baeck, Gun Wook;Park, Se Cha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91-195
    • /
    • 2007
  • This study reveals the unusual cas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on the selective non digestion of yellow mealworm (Tenebrio molitor) larvae by arowana fish. In January 2005, an Asian arowana (Scleropages formosus) (red variety), from Daesang Tropical Fish Corporation, Seoul, Korea, mortality was observed due to unknown cause. No putative causal factors were suggested by bacteriological and parasitological examinations. Internal examination of the dissected stomach showed some undigested debris with mandible parts of mealworms attached to the mucosal lining of stomach wall. Feeding experiment of yellow mealworm (Tenebrio molitor) was conducted on the silver arowana (Osteoglossum bicirrhosum). Result showed that on the test group, fish released vomitous material containing undigested mandibles of mealworm was observed on the 24th day of the feeding experiment.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tomach wall layers of the test groups, showed detached parts of the mucosal layer and gastric pits around the damaged area with intact mucularis tissues. While the control group fed with mealworm larvae without head part showed intact stomach wall layers consisting of gastric pit, mucosa and mucularis tissues. Fish on both treatments survived until the termination of experiment. The removal of mealworm larvae head before feeding probably help or aid in the fast digestion of these insect larvae.

암 모기 흡혈과정 가시화 (Visualization of blood sucking phenomena of a female mosquito)

  • 김보흠;이상준
    • 한국가시화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4-115
    • /
    • 2007
  • As a carrier of malaria and sneak of blood, mosquitoes are regarded as an unpleasant insect. However, there are novel phenomena that happen inside a mosquito. Among them, we focused on the blood sucking function of a female mosquito.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squito's pumping mechanism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encountered when we inject or transport biologic fluids into a micro-chip. To analyze the pumping mechanism, we visualized the blood sucking process inside a female mosquito. Flow characteristics of blood flow in a proboscis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using a micro-PIV velocity field measurement technique. The anatomical variation of head, thorax, abdomen which work as pumps and valves, was visualized using the syncrotron X-ray micro-imaging technique.

  • PDF

몇 가지 곤충 외부구조 명칭의 재조정 제안 (A Suggestion to Revise Some Morphological Terms in Insect External Structure)

  • 이영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35-436
    • /
    • 2017
  • 곤충 머리에 있는 subgena (아랫뺨)와 clypeus (두순)는 연속된 피부판으로 통칭하여 peristome (입둘레판)으로 일컫는다. 따라서 subgenal sulcus (아랫뺨선)는 peristomal sulcus (입둘레홈) 또는 cranial-stomal sulcus (두개-입선)로 개정한다. 집파리류 성충 머리에 있는 ptilinal suture (이마주머니선)는 ptilinal fissure (얼굴주름)로 개정한다. 가슴에 있는 wing process (날개돌기)는 등판에 있는 것은 notal process (등판돌기), 옆판에 있는 것은 pleural process (옆판돌기)로 각각 개정한다. 곤충 몸 아래쪽을 지칭하는 영역을 복부는 ventum (배판), 가슴은 sternum (가슴판)으로 각각 지칭한다.

경부에 발생한 기무라씨병 1례 (A Case of Kimura's disease)

  • 김춘일;김상후;정대건;박용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23-326
    • /
    • 1997
  • Kimura's disease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which often presents as a tumor like swelling in the head and neck region. This lesion is benign but it may easily be mistaken for a malignant tumor. Kimura's disease has been confused with angiolymphoid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ALHE). The cause is unknown, but theories include autoimmune, allergic, neoplastic, and infectious cause by insect bites and parasites. The treatment of choice is surgical removal.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Kimura's disease occuring in the both side of posterior neck triangle area of a 37 year old male patient who was treated with surgical excision and systemic corticosteroid administration.

  • PDF

월동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의 약충태별 두폭크기 및 밀도변화 (Head Capsule Width and Population Densities of Overwintering Nymphal Stages of the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Hemiptera: Cicadellidae))

  • 강석민;백채훈;이건휘;최만영;;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5-170
    • /
    • 2009
  • 본 연구는 월동하는 끝동매미충의 충태별 분포를 두폭측정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끝동매미충 1령, 2령, 3령, 4령 및 5령 약충에 대한 두폭크기는 각각 0.381, 0.502, 0.673, 0.879 및 1.128mm였으며, 변이계수는 5.3, 4.0, 3.0, 4.5 및 5.3%였다. 성장률은 2령, 3령, 4령 약충에서는 1.31${\sim}$1.34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5령에서 1.28로 약간 감소하였다. 두폭측정값의 회귀식을 구한 결과, LogY = 1.4627+0.1192X($r^2=0.9993$)으로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Dyar 공식에 의한 적합도는 98% 이상으로 매우 적합하였으며, Dyar 계수(K)는 1.316이었다. 월동하는 끝동매미충의 밀도 및 충태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06년 1월 하순에 0.25 $m^2$ 당 195마리가 채집되어 밀도가 가장 높았고, 월동 충태 조사에서는 90% 이상이 4령 약충이었다. 3월 중순부터 5령 약충의 발생량이 증가하였고, 월동 후 첫 성충발생은 4월 상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