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ositol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25초

느타리버섯의 지방성분(脂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in Oyster Mushroom)

  • 권용주;엄태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5-180
    • /
    • 1984
  • 느타리버섯의 지방질을 chloroform methanol(2:1,v/v)로 추출한 후 관, TLC, GLC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느타리버섯은 약 0.51%의 조지방질(粗脂肪質)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중 중성지질은 33.8%, 당지질은19.7%, 인지질은 46.5% 이었다. 2. 중성지질중에는 triglyceride (38.2%), freefatty acid (20%) free sterol (10%)가 주성분이었고 그 외에 diglyceride, monoglycerides, sterol-ester와 3가지 미확인 성분이 존재하였다. 3. 당지질 중에는 steryl glycosides (28.9%)와 esterified steryl glycoside (23.7%)가 주성분이었으며 이외에 digalactosyl diglycer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와 2가지 미확인 당, 지질성분이 존재하였다. 4. 인지질중에는 phosphatidrl choline과 serine(48.2%), phosphatidyl ethanol amine (44.4%)이 주성분이었고 phosphatidyl inositol도 소량 존재하였다. 5. 중성지질의 주요지방산은 linoleic (34.2%), palmitoleic (21.7%), oleic (17.7%) 및 Palmitic acid(15.3%)였다. 당지질이 주요지방산은 linoleic(47.4%)과 Palmitic acid(15.7%)였으며, 인지질의 주요지방산 역시 linoleic (72.3%)과 Palmitic acid(16.5%) 였다.

  • PDF

인삼근의 지질 분포 (Distribution of Lipids in Panax ginseng Root)

  • 김우갑;이창섭;정병갑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93-103
    • /
    • 1988
  • 인삼근의 구조적인 차이점에 따른 지질의 함량 및 지방질 조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chloroform-methanol로 추출한 지질을 column, thin layer, gas-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각 부위별 정제 지질은 1.08~2.23%로서 그 조성면에서 볼 때 중성지질은 64.2~73.5%였고 당지질은 15.4~17.4%였으며 인지질은 10.4~19.2%였다. 특히 피층에서는 중성지질의 함량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이곳에만 특징적으로 존재하는 지질분비관에서 합성 분비된 중성지질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점은 조직화학적 관찰 결과 분비관 내강의 분비물질이 nile blue에 적색의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더욱더 뒷바침 될 수 있었다. 중성지질 획분중에는 triglycerides, sterol esters and hydrocarbons 의 함량이 높았고 그외에 1,3-diglycerides, monoglycerides, 1,2-diglycerides, free sterols, free fatty acids와 미동정된 5종류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중심주에서는 unidentified II, IV 및 V가 검출되지 않은 점이 특이하였다. 당지질 획분 중에는 sterol glucoside, digalactosyl diglyceride 및 esterified sterol glucoside가 주성분이었고 미동정된 6종류가 검출되었다. 인지질 획분 중에는 phospatidyl glycerol,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주성분이었고 그 외에 phosphatidic acid, phosphatidyl inositol 및 미동정된 2종이 검출되었다. 각 부위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 획분 중에서 모두 18종류의 지방산이 동정되었는데 주요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였으나 각 지방산의 함량은 부위별 및 지질분획에 따라서 다소 상이하였다.

  • PDF

Novel Glycolipoproteins from Ginseng

  • Pyo, Mi-Kyung;Choi, Sun-Hye;Hwang, Sung-Hee;Shin, Tae-Joon;Lee, Byung-Hwan;Lee, Sang-Mok;Lim, Yoong-Ho;Kim, Dong-Hyun;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92-103
    • /
    • 2011
  • Ginseng has been used as a general tonic agent to invigorate human body.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novel glycolipoproteins from ginseng that activate $Ca^{2+}$-activated $Cl^-$ channel (CaCC) in Xenopus oocytes and transiently increase intracellular free $Ca^{2+}$ concentration ($[Ca^{2+}]_i$) in mouse Ehrlich ascites tumor cells. We named the active ingredients as gintonin. Gintonin exists in at least six different forms. The native molecular weight of gintonin is about 67 kDa but its apparent molecular weight is about 13 kDa, indicating that gintonin might be a pentamer. Gintonin is rich in hydrophobic amino acids. Its main carbohydrates are glucose and glucosamine. Its lipid components are linoleic, palmitic, oleic, and stearic acids. Gintonin actions were blocked by U73122, a phospholipase C inhibitor, 2-aminoethxydiphenyl borate, an inositol 1,4,5-trisphosphate receptor antagonist, or bis (o-aminophenoxy) ethane-N,N,N0,N0-tetracetic acid acetoxymethyl ester, a membrane permeable $Ca^{2+}$ chelator. In the present study, we for the first time isolated novel gintonin and showed the signaling pathways on gintonin-mediated CaCC activations and transient increase of $[Ca^{2+}]_i$. Since $[Ca^{2+}]_i$ as a second messenger plays a pivotal role in the regulation of diverse $Ca^{2+}$-dependent intracellular signal pathways, gintonin-mediated regulations of $[Ca^{2+}]_i$ might contribute to biological actions of ginseng.

신장의 근위세뇨관에서 Renal Dipeptidase(RDPase)의 유도에 관한 키토산의 효과 (Effects of Chitosan on the Induction of Renal Dipeptidase (RDPase) from the Proximal Tubules)

  • 김영호;윤현중;박행순;이명렬;김종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68-972
    • /
    • 2005
  •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이미 많이 알려진 키토산이 신장과 관련하여 식품이나 의료용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한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장 기능과 민감하게 관련이 있는 효소인 RDPase, Udpase의 활성을 체내$\cdot$체외 실험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체외 실험에서 글리세롤에 의해 유도된 RDPase의 유리$\cdot$활성 감소를 다시 회복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체내실험에서 글리세롤 투여에 의하여 손상된 신장의 근위세뇨관에서 급격히 증가한 RDPase의 활성을 키토산이 확실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키토산을 공급한 쥐의 소변에서의 Udpase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수침과정 전후의 한국산 검정콩의 지질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Lipid Composition of Korean Black Soybean before and after Soaking)

  • 오미경;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9-35
    • /
    • 1992
  • 수침이 진행되는 동안 한국산 검정콩의 수분 흡수는 수침 초기에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고 균일하게 완전히 수화(hydration)되는 시간은 약22시간 정도였다. 검정콩의 총지질중 중성지질은 89.1%, 당지질은 1.5%, 인지질은 9.4%였으며, 수침 후에도 그 조성은 비슷하였다. 그리고 중성지질 성분은 triglycerides(92.1%)가 대부분이었고 그 외 sterol esters와 hydrocarbons (3.0%), diglycerides (2.8%), free fatty acids (1.5%), free sterols (0.3%), monoglycerides (0.3%)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수침 후에도 그 조성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당지질 성분은 esterified steryl glycosides(43.6%), steryl glycosides (26.6%), digalactosyl diglycerides(14.5%) 등이 주성분이었고 이러한 성분들은 수침으로 인해 약간 변화하였다. 인지질 성분은 phosphatidyl choline(41.6%) 및 phosphatidyl ethanolamine(39.5%)등이 가장 않았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수침 과정 중 다소 감소하였고 phosphatidyl serine, phosphatidyl inositol, lysophosphatidyl choline등의 성분들은 약간 증가하였다.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 (51.1%), oleic acid (23.1%), palmitic acid(11.8%)등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중성지질에서는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당지질과 인지질에서는 palmitic, linoleic acid등의 함량이 많았다. 수침 과정중 총지질, 중성지질의 지방산 조성 변화는 거의 없으나, 당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미량씩의 증감의 변화가 있었고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oleic acid 등은 증가에 비해 linoleic, linolenic acid 등은 감소하였다.

  • PDF

김치 분리균인 Bacillus sp. JK-43이 생산하는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의 생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fronm Bacillus sp. JK-43 Isolated from Kimchi)

  • 전홍기;배경미;김영희;백형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1-48
    • /
    • 2000
  • 김치 시료로부터 자동산화되지 않으며 열 및 중성 pH에서 안정한 AA 유도체인 AA-2G를 생산할 수 있는 당전이활성을 가진 CGTase 생산균주를 분리하였고, 분리균주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생리학적 성질 및 16s-rDNA sequences를 조사한 결과 그람 양서의 간균으로 호기성이며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전형적인 중온성 Bacillus sp. JK-43으로 동정되었다. Bacillus sp. JK-43의 CGTase는 AA-2G 뿐만 아니라 AA-6G로 추정되는 물질을 함께 생산하였으며, 효소 최적생산조건은 1.0% soluble starch, 1.0% yeast extract, 1.0% $Na_2CO_3\;0.1%\;K_2HPO_4,\;그리고\;0.02%\;MgSO_4{\cdot}7H_2O$가 함유된 배지에서 pH 7.0, $37^{\circ}C$에서 26시간 동안 진탕배양하였을 때였다. 각종 당공여채에 따른 Bacillus sp. JK-43의 AA-2G 생산성을 조사한 결과 ${\beta}-CD$에서 가장 높은 AA-2G 생산성을 보였으며, 식혜제도페액인 엿기름 및 밥당화액에서도 비교적 높은 AA-2G 생산성을 보였다. 또한 여러 가지 당수용체에 대한 JK-43의 CGTase의 당전이 반응을 검토한 결과 sucrose, mannitol 및 inositol에서 높은 당전이 수율인 70~90%를 나타내었다.

  • PDF

싸리종자(Lespedeza bicolor)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sition of Bush Clover (Lespedeza bicolor) Seed)

  • 김향란;고무석;양희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75-84
    • /
    • 1987
  • 싸리종자의 지질을 chlorform: methanol(2:1, v/v)로 추출한 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한 다음 TLC와 GC로 분리,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싸리종자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11.60%, 조단백이 20.10%, 조지방이 15.25%, 당질이 48.92%, 회분이 4.13%로 나타났다. 2. 싸리종자의 지질은 중성지질이 71.75%, 당지질이 23.26%, 인지질이 4.99%였다. 3. 중성지질 중에는 triglyceride 61.9%, free fatty acid 22.04%가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 외에 free sterol, esterified sterol, diglyceride, monoglyceride 지질 성분이 존재하였다. 4. 당지질 중에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 38.19%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esterified steryl glycoside, steryl glycoside, digalactosyl diglyceride, cerebroside 등의 지질 성분이 비슷한 함량으로 존재하였다. 5. 인지질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 36.46%, phosphatidyl inositol 21.52%, phosphatidyl ethanolamine 17.29%가 주성분이었고 lyso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serine과 1가지 미확인 인지질 성분이 존재하였다. 6. 전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36.83%, linolenic acid 19.65%, oleic acid 11.25, palmitic acid 9.61%였고 중성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55.36%, linolenic acid 19.40%, oleic acid 12.47%, palmitic acid 9.81%였다. 당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53.26%, linolenic acid 18.67%, palmitic acid 12.20%, oleic acid 11.39%였다. 인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53.86%, palmitic acid 27.83%, linolenic acid 9.51%, stearic acid 5.00%로 전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의 지방산 조성 pattern과는 차이가 있었다.

  • PDF

팽이버섯의 저장기간 및 품종별 자실체내의 당 함량 변화 (Changes of saccharide content in fruitbody composition of Flammulina velutipes during storage)

  • 전창성;윤형식;임훈태;공원식;이강효;성기호;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3-131
    • /
    • 2011
  • 최근 수요가 많은 식용버섯 중 팽이버섯을 대상으로 저장기간 중에 발생하는 자실체 내의 당 종류 및 함량변화를 검토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팽이버섯 자실체에는 단당류로는 xylose 및 glucose, ribose, 이당류의 당은 lactose 및 trehalose, 당알코홀류는 glycerol 및 mannitol, myoinositol, sorbitol 등이 확인되었다. 팽이버섯에 가장 많은 것은 단당류인 xylose로 백색계열은 47.68mg/g, 갈색계열은 63.28mg/g로 갈색계열의 함량이 높으며,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당 함량은 단당류 및 이당류, 당알코올 모두 저장 시간이 증가하면서 같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trehalose는 감소하였다. 저장온도에 따라서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lactose는 $4^{\circ}C$ 저장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circ}C$ 저장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통일계(統一系) 및 일반계(一般系) 쌀겨의 지질(脂質) 성분(成分) (Lipid Components of Rice Bran of Tongil and Japonica Type Varieties)

  • 안태회;이종욱;김동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2-200
    • /
    • 1984
  • 통일계(統一系)(풍산)와 일반계(一般系)(동진)의 쌀겨로부터 추출한 지질(脂質)의 조성(組成)을 관, 박충,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었다. 쌀겨의 전지질(全指質) 함량은 일반계(一般系)가 16. 13%, 일반계(一般系)가 16.97%였고 통일계(統一系)의 중성지질(中性脂質)은 75.20%로 일반계(一般系)의 73.69%보다 약간 높았고 당지질(塘脂質) 함량은 통일RP(統一系)에 16.71%로 일반계(一般系)의 22.80% 보다 월등하게 낮았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은 트리 -글리세리드, 더 글리세리드, 에스테르화 스테롤이 주성분이었고 당지질(糖指質)분 에스테르화 스테릴글리코시드가 가장 많았으며 그외 다른 구성 당지질은 미량성분이었다. 인지질은 포스파티딜 에타놀아민, 포스파티딜 콜린. 포스파티딜 이노시톨이 주요성분 이었다. 전지질(全脂質)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이 주요성분이었다. 특히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에서 올레산의 함량은 통일계(統一系) (43.84%)가 일반계(一般系) (40.33%)보다 높은 반면 리놀레산의 함량은 통일계(統一系) (34.64%)가 일반계 (38.99%)보다 낮았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지방산 조성은 전지질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였고당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리놀레산이 올레산보다 많았으며 에스테르화 스테릴글리코시드에는 특이하게 팔미트산이 많았다.

  • PDF

Analysis of in vitro 2D-COSY on Human Brain Metabolites for Molecular Stereochemistry

  • Kim, Sang-Young;Woo, Dong-Cheol;Bang, Eun-Jung;Kim, Sang-Soo;Lim, Hyang-Sook;Choi, Chi-Bong;Choe, Bo-Young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4-25
    • /
    • 2008
  • To investigate the 3-bond connectivity of human brain metabolites by scalar coupling interaction through 2D-correlation spectroscopy (COSY) techniques using high field NMR spectroscopy. All NMR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298K on Unity Inova 500 or 600 (Varian Inc.) equipped with a triple resonance probe head with z-shield gradient. Human brain metabolites were prepared with 10% $D_2O$. Two dimensional 2D COSY spectra were acquired with 4096 complex data points in $t_2$ and 128 or 256 increments in $t_1$ dimension. The spectral width was 9615.4 Hz and solvent suppression was achieved using presaturation using low power irradiation of the water resonance during 2s of relaxation delay. NMR data were processed using VNMRJ (Varian Instrument) software and all the chemical shifts were referenced to the methyl resonance of N-acetyl aspartate (NAA) peak at 2.0 ppm. Total 10 metabolites such as N-acetyl aspartate (NAA), creatine (Cr), choline (Cho), glutamine (Gln), glutamate (Glu), myo-inositol (Ins), lactate (Lac), taurine (Tau), ${\gamma}$-aminobutyricacid (GABA), alanine (Ala) were included for major target metabolites. Symmetrical 2D-COSY spectra were successfully acquired. Total 14 COSY cross peaks were observed even though there were parallel/orthogonal noisy peaks induced by water suppression. Except for Cr, all of human brain metabolites produced COSY cross peaks. The spectra of NAA methyl proton at 2.02 ppm and Glu methylene proton ($CH_2(3)$) at 2.11 ppm and Gln methylene proton ($CH_2(3)$) at 2.14 ppm were overlapped in the similar resonance frequency between 2.00 ppm and 2.15 ppm.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in vitro 2D-COSY represented the 3-bond connectivity of human brain metabolites by scalar coupling interaction. This study could aid in better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s between human brain metabolites in vivo 2D-COSY study. Also it would be helpful to determine the molecular stereochemistry in vivo by using two-dimensional MR spectrosc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