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osine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4초

한우수소의 부위별 Calorie, Cholesterol,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및 지방산조성 (Cholesterol, Free Amino Acid, Nucleotide-related Compoun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Hanwoo Bull Beef)

  • 조수현;김진형;성필남;최연호;박범영;이연정;인태식;전선영;김용곤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40-449
    • /
    • 2007
  • 본 연구는 한우수소 10두에서 10부위(업진, 보섭,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목심, 설깃, 양지, 우둔)를 선정하여 성분조성 및 맛 관련물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칼로리 함량은 부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10 부위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홍두깨가 콜레스테롤 함량이 26.74 mg/100 g으로 가장 낮았고 업진이 31.08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p<0.05) 다른 부위들간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맛과 관련이 있는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부위별로 비교한 결과 모든 부위에 glutamate와 alanine 함량이 각각 $94.33{\sim}216.36\;mg/100\;g,\;154.88{\sim}200.31\;mg/100\;g$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존재하였고 그 다음으로 arginine, phenylalanine 및 lysine으로 분석되었다. 부위별 inosine monophosphate(IMP) 함량은 업진, 보섭, 채끝, 홍두깨, 설깃, 우둔부위가 등심이나 목심 부위보다 유의적으로 더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Inosine 함량은 보섭과 설깃이 가장 많았고 반면에 hypoxanthine은 꾸리부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부위별 총 콜라겐 함량은 업진부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양지, 꾸리, 목심 부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등심부위가 다른 부위와 비교했을 때 stearic acid($C_{18:0}$)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우둔부위는 arachidonic acid($C_{20:4n6}$)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총 포화지방산 함량은 업진, 등심 및 양지부위가 가장 높았고 총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홍두깨 부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Assessment of Breed- and Sex-based Variation in Flavor-related Compounds of Duck Meat in Korea

  • Lee, Hyun Jung;Kim, Hyun Joo;Yong, Hae In;Khan, Muhammad I.;Heo, Kang Nyung;Jo, Cheoru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1-50
    • /
    • 2015
  • 본 연구는 오리의 종 및 성별에 따른 육 내 풍미 관련 물질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된 6주령의 한국 토종오리 및 일반오리(Cherry Valley) 총 12수를 공시하여 가슴육의 일반성분, 핵산관련물질, 지방산 조성 및 유리아미노산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오리와 암컷오리가 각각 토종오리와 수컷오리에 비해 수분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육 내 IMP 함량은 수컷보다 암컷이 더 높았으며, 일반오리보다 토종오리 내 inosine 함량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또한, 수컷 오리 가슴육은 암컷오리에 비해 alanine, aspartic acid, glycine, histidine, leucine, serine, valine, glutamic acid, cysteine 등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았다(P<0.05). 연구결과, 종에 따른 토종오리와 일반오리의 풍미 관련 물질의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 토종오리 만의 우수성과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리육 내 풍미 관련 물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연구와 이를 통한 품종 개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열 한우육 및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서 심부온도에 따른 glucose, lactate 및 핵산 분해 물질 함량 비교 (Comparison of glucose, lactate, and nucleotide degradation products content of cooked Hanwoo and Australian beef steaks by internal temperature)

  • 강선문;강근호;성필남;김영춘;김진형;;장선식;조수현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69-374
    • /
    • 2015
  • 본 연구는 가열 한우육 및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서 심부온도에 따른 glucose, lactate 및 핵산 분해 물질 함량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시료로 한우육(거세우, 1등급) 및 호주산우육(Bos indicus, 100일 곡류 비육)의 등심(M. longissimus dorsi)과 우둔(M. semimembranosus)를 약 2 cm 두께로 절단하여 각각 세 그룹으로 나누고, $180^{\circ}C$ 오븐에서 심부온도가 각각 50, 70 및 $90^{\circ}C$가 되도록 가열하였다. Glucose 함량은 심부온도에 관계없이 한우육 스테이크가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이와 반대로 lactate 함량은 한우육 스테이크가 호주산우육 스테이크보다 낮았다(P<0.05). 핵산 분해 물질 중 Hx 함량은 모든 심부온도에서 한우육 스테이크가 호주산우육 스테이크보다 낮았던 반면(P<0.05), GMP, IMP 및 inosine 함량은 한우육 스테이크가 높았다(P<0.05). 심부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쇠고기 스테이크의 glucose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lactate 함량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핵산 분해 물질 함량은 심부온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가열 한우육 스테이크의 단맛 및 감칠맛 관련 풍미 전구물질 함량이 호주산우육 스테이크보다 높았다.

멸치젓에 사용한 염의 종류와 농도가 지질의 산화와 맛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Salt on Oxidation of Lipids and on Formation of Flavor Components in Fermented Anchovies)

  • 장백경;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8-44
    • /
    • 1986
  • 소금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하여 네가지의 멸치젓을 담갔다. 친일염을 사용한 시료는 정제염을 사용한 시료에 비해 과산화물가, TBA가, TMA의 함량이 높았고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 질소의 함량은 같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보다는 많았고, 낮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모든 멸치젓에서 lactic acid 와 succinic acid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천일염 시료는 두 유기산의 함량들이 정제염 시료에 비해 크게 낮았고, 낮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는 높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에 비해 lactic acid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변화는 숙성된 젓들에서 증감의 경향이 흡사하였다. 천일염 시료에서 tyrosine의 감소와, 천일염과 같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에서 aspartic acid의 증가가 특이하였다. 친일염 시료는 다른 정제염 시료들 보다 IMP, ino-sine의 함량은 낮았고 hypoxanthine의 함량은 높았다. 낮은 염도의 정제염시료는 높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보다 IMP의 함량이 낮고 inosine 과 hypoxanthine 의 함량이 높았다. 염수를 첨가한 멸치젓은 다른 젓들에 비해 TBA가 높고, 핵산 관련 물질은 IMP, inosine의 함량이 천일염 시료보다 많았다. 그외의 모든 분석치들은 크게 낮았다.

  • PDF

Serratia marsecscens 와 Lactobacillus plantarum Purine Nucleoside Phosphorylase의 생합성에 대한 요산의 조절 (The Regulation of Uric Acid on the Biosynthesis of Serratia marcescen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Purine Nucleoside Phosphorylase)

  • 최병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61-365
    • /
    • 2001
  • 최소 배지와 MRS 배지에 여러 퓨린 뉴클레오시드을 첨가하여 각각 호기적과 혐기적 조건하에서 배양시킨 Serratia marcescens ATCC 25419와 Lactobacillus plantarum ATCC 8014 세포 추출물에서 PNP의 비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이노신은 5 mM 이상의 농도에서 Serratia PNP의 비활성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30% 정도 감소시켰으나, Lactobacillus PNP의 비활성도를 60% 이상 증가시켰다. 히포잔틴은 $0.1{\sim}0.5\;mM$의 낮은 농도에서는 Serratia PNP의 비활성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5 mM 이상의 농도에서는 45% 정도를 감소시켰다. 하지만 히포잔틴은 $0.1{\sim}1\;mM$의 낮은 농도에서는 Lactobacillus PNP의 비활성도를 20%, $1{\sim}15\;mM$의 농도에서는 $50{\sim}65%$ 정도 증가시켰다. 한편, 요산은 0.5 mM의 농도에서 Serratia와 Lactobacillus PNP의 비활성도를 20% 정도 증가시킨 반면, $5{\sim}10\;mM$의 농도에서 $20{\sim}25%$ 정도, 그리고 15 mM의 농도에서는 $60{\sim}80%$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5 mM 이상 농도의 이노신과 히포잔틴은 Serratia PNP의 비활성도를 30%이상 감소시킨 반면, Lactobacillus PNP의 비활성도를 60% 이상 증가시켰으며 낮은 농도(0.5 mM)의 요산은 효소의 비활성도를 증가시키고 높은 농도(15 mM)의 요산은 감소시키는 등 퓨린 뉴클레오티드 분해 대사 과정에서 요산은 Serratia marcescens와 Lactobacillus plantarum PNP 생합성의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곰국의 맛성분에 대한 가열 시간 및 향미채소의 영향 (Effects of herbs on the taste compounds of Gom-Kuk (Beef soup stock) during cooking)

  • 조은자;양미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83-489
    • /
    • 1999
  • 향미채소의 첨가가 쇠고기 곰국이나 스프스톡(soup stock)의 맛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양지머리 고기 국물의 단백질 용출량, 유리 아미노산, 핵산 관련 물질을 측정하고 더불어 색도 측정과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양지머리 스프스톡의 조단백질, 유리 아미노산, 핵산 관련 물질 용출량은 대체로 가열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2) 파(Go), 당근(Ca), 그리고 양파+당근+셀러리(A)를 첨가한 스프스톡의 조단백질 용출량은 향미채소를 첨가하지 않은 스프스톡의 용출량보다 많았다. 3) 유리 아미노산 용출량은 파 첨가 스프스톡(Go$_{5}$)에서 가장 많았으며 특히 arginine, alanine, glycine, threonine, glutamic acid가 많았다. 셀러리(C$_{5}$)와 양파 ( $O_{5}$)첨가 스프스톡 중의 유리아미노산은 향미채소 무첨가(B$_{5}$) 스프스톡보다 적었다. 4)파 첨가 5시간 가열 시료의(Go$_{5}$의 5'-IMP, inosine, hypoxanthine 농도는 다른 향미채소 첨가 스프스톡보다 높았으나 셀러리(C$_{5}$)와 양파( $O_{5}$) 첨가 스프스톡의 5'-IMP, inosine, hypoxanthine 농도는 향미채소 무첨가(B$_{5}$) 스프스톡보다 낮았다. 5) Hunter scale로 측정한 색도는 마늘 첨가(G$_{5}$) 스프스톡의 L값이 가장 낮았으며 셀러리(C$_{5}$)와 당근(Ca$_{5}$)첨가 스프스톡의 L값은 B$_{5}$값과 비슷하였다. 6) 관능 검사 결과 스프스톡의 색, 향,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향미채소 첨가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Synthesis of 1,2,3-and 1,2,4-Triazole Isonucleosides as Potential antiviral agents

  • Jeong, Soon-Yong;Kim, Myong-Jung;Chun, Moon-W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81.2-181.2
    • /
    • 2003
  • Inosine monophosphate dehydrogenase(IMPDH) catalyzes the $NAD^+$-dependent oxidation of IMP to XMP, the rate limiting step in the de novo biosynthesis of guanine nucleotide. Its critical role at the metabolic branch point in purine nucleotide biosynthesis makes it a useful target in the development of drugs for antiviral and anticancer chemotherapy and in immunosupressant area. Several compound with antiviral activity have been found to be inhibitors of IMPDH. For example, ribavirin, a competitive inhibitor of IMPDH, has broad spectrum antiviral activities against DNA and RNA viruses. (omitted)

  • PDF

Synthesis of 2-(3'-azido-and 3'-amino-3'-deoxy-$\beta$-D-ribofuranosyl)-thiazole-4- carboxamide

  • Shin, Ji-Hye;Liang, Cheng-Wu;Chun, Moon-Woo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84.3-185
    • /
    • 2003
  • Inosine 5'-monophosphate dehydrogenase (IMPDH) is a critical enzyme in the regula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his enzyme catalyzes the $NAD^+$-dependent oxidation of IMP to XMP, the rate limiting step in de novo biosynthesis of guanine nucleotides. Therefore, the biochemical effect of IMPDH inhibition in sensitive cell types is decrease in intracellular guanine nucleotide levels, and the decrease in cellular GTP and deoxy GTP pool levels blocks DNA and RNA synthesis in rapidly proliferating tumor cells. (omitted)

  • PDF

Quality Improvement of Pork Loin by Dry Aging

  • Lee, Cheol Woo;Lee, Ju Ri;Kim, Min Kyu;Jo, Cheorun;Lee, Kyung Haeng;You, Insin;Jung, Samooe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69-376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y aging on the quality of pork loin. Longissimus lumborum muscles were dissected from the right half of five pork carcasses and were used as the control samples. The left halves of the carcasses were aged at 2±1℃ and a relative humidity of 80% for 40 d. The total aerobic bacteria count was similar between the control and dry-aged pork loin (p>0.05). Lactic-acid bacteria was absent in both the control and dry-aged pork loins. Dry-aged pork loin contained low moisture and high protein and ash compared to the controls (p<0.05). The pH was higher and cooking loss was lower in dry-aged pork loin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p<0.05). Flavor related compounds, such as total free amino acid, hypoxanthine, and inosine of pork loin were higher in dry-aged pork loin; whereas, inosine 5'-monophosphate and guanosine 5'-monophosphate were low in dry-aged pork loin than control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rnosine and anserine content between dry-aged pork loin and the control (p>0.05). Dry-aged pork loin had lower hardness and shear force and received higher core in sensory evaluation than the control (p<0.05). According to the results, dry aging improved textural and sensorial quality of pork loin.

저염 오징어 젓갈의 숙성에 따른 핵산관련물질의 변화 (Changes of the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according to the Ripening Proces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 장기화;서동연;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04-310
    • /
    • 2016
  • 식염 5%를 첨가한 저염 오징어 젓갈을 $10^{\circ}C$에서 8주간 숙성시키면서 핵산관련물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숙성발효에 따른 정미성분의 변화를 보면, 핵산관련물질 중 ATP 및 ADP는 소실되어 검출되지 않았으며 초기에만 AMP가 존재하고 숙성중반까지 현저히 감소한 반면에 inosine 및 hypoxanthine은 숙성중반까지 증가하였다가 다시 감소하였으며 핵산관련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pH는 식염농도가 낮고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후반까지 계속 유의성 높게 증가하여 숙성이 촉진되었으며 적정산도는 숙성후반까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처럼 저염 오징어 젓갈의 적정 발효조건을 추정해 보면 발효온도 $10^{\circ}C$, 식염 10%, 발효기간 5주로 추정되어 활용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