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organic constituent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7초

HCB와 PCBs에 노출된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혈액성분의 변화 (Changes of Haematological Constituents in th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Exposed to HCB and PCBs)

  • 조규석;민은영;강주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0-114
    • /
    • 2002
  • 유용 양식어류인 틸라피아를 대상으로 어체중당 1일 0.05, 0.25 및 0.50mg/kg의 HCB와 PCBs의 경 구투여에 의해 30일 동안 혈액성상 및 혈액화학적 변동을 조사하였다. HCB의 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RBC 수는 20일 이후 0.50mg/kg, 30일째는 0.25mg/kg의 농도, hemoglobin 농도와 hematocrit 값은 20일 이후 0.50mg/kg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PCBs의 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RBC 수, hemoglobin 농도 및 hematocrit 값은 20일 이후 0.25mg/k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혈청 무기성분인 calcium, magnesium 및 inorganic phosphorus 농도는 HCB를 투여한 모든 실험에서 뚜렷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PCBs를 투여한 모든 실험에서도 magnesium과 inorganic phosphorus 농도의 변동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calcium 농도는 20일 이후 0.50mg/kg 농도, 30일째는 0.25mg/k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HCB의 경구투여에 의한 혈청 total protein 농도는 30일째 0.50mg/kg 농도에서,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해서는 20일 이후 0.25mgf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CB 및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한 glucose 농도는 20일 이후 0.25mg/k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HCB 및 PCBs의 경구 투여에 의한 GOT와 GPT 활성은 20일 이후의 0.50mg/kg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HCB 및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혈액화학적 변동은 0.25 mg/kg 농도 이상에서 적어도 20일 후부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 및 삼요소(三要素) 시용량(施用量)이 지황(地黃) (Rehmannia glutinosa) 근경(根莖) 및 엽중(葉中)의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Soil Properties and N, P, K Application on the Contents of Inorganic Constituents in the Rhizoma and Leaf of Rehmannia glutinosa)

  • 박병윤;장상문;박수준;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5-52
    • /
    • 1989
  • 한방(韓方)의 주요(主要)한 약용식물(藥用植物)로 사용(使用)되어 온 지황(地黃)의 품질(品質)을 향상(向上)시키기 위한 합리적(合理的)인 포장선정(圃場選定) 및 시비량(施肥量)을 결정(決定)하기 위하여 산지토양의 이화학성(理化學性) 및 삼요소(三要素) 시용량(施用量)이 지황(地黃)의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재배지토양(栽培地土壤)의 토성(土性)은 사질양토(砂質壤土)~사질식양토(砂質埴壤土)가 대부분(大部分) 이었다. 지황근경(地黃根莖)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은 표토(表土)의 유기물(有機物) 및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 심토(心土)의 점토함량(粘土含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이, 심토(心土)의 모래함량(含量)과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지황근경(地黃根莖)의 Ca함량(含量)은 표토(表土) 및 심토(心土)의 모래함량(含量)과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相關)이, 표토(表土) 및 심토(心土)의 점토(粘土) 및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지황근경(地黃根莖)의 Fe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의 점토(粘土), 인산(燐酸) 및 가리함량(加里含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지황엽중(地黃葉中)의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은 근경중(根莖中)의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보다 많았으며, 특(特)히 Fe와 Cu의 함량(含量)은 약(約) 10배에 달하였다. 근경중(根莖中)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은 20kg/10a, 엽중(葉中)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은 10kg/10a의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부터 증가(增加) 하였다. 인산(燐酸) 및 가리(加里)의 증시(增施)에 따른 지황근경(地黃根莖) 및 엽중(葉中)의 인(燐) 및 가리(加里)의 함량(含量)에는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 PDF

3개의 다른 토양에서의 카드늄과 마그네시움의 경쟁적 상호작용 (Competitve Interactions of Cadmium with Magnesium in Three Different Soil Constituents)

  • Doug-Young Chung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1-88
    • /
    • 1996
  • 토양과 토양용액의 경계면에서 토양내 흡착부위에 대해 경쟁적 이온이 존재할 때 카드늄의 흡착 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토양의 Bt층으로부터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편 Ethy-lone glycol monoethyl ether(EGME)와 질소가스를 가지고 각각의 토양의 특정표면적을 조사하였다. 토양층 내에서 토양입자와 반응성을 지닌 물질의 동태를 연구하는 일반적 지침으로, 물리화학적 특성이 완전히 다른 토양을 가지고 일반적인 등온흡착곡선을 취하였다. 단일 등온흡착곡선에서 보여 주었던 것처럼 물질간의 경쟁적흡착을 포함한 여러가지의 물리 화학적 요인들이 흡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각각의 토양입자에 의한 카드늄 흡착의 정도는 사용된 토양과 용액의 회석 비율뿐만 아니라 각각의 토양의 표면적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서로 다른 토양에서의 카드늄이 마그네시움과의 경쟁적 흡착에서도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등온흡착곡선은 유해한 무기성분의 흡착과 동태 해석 뿐만 아니라 표준 배취흡착과정을 연구개발하는데 복합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예로서 사용할 수 있다.

  • PDF

조선업의 도장 작업시 취급하는 도료중 유해물질 성분에 관한 연구 (Chemical Composition of Painting Materials used in Some Korean Shipyards)

  • 신용철;이광용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6-172
    • /
    • 1999
  • Potential chemical hazards encountered in painting operation of four shipyards and a ship-repair shop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for 307 paints, 50 thinners and 34 binders were collected and reviewed. It was shown that various organic solvents such as aromatic hydrocarbons, aliphatic hydrocarbons, ketones, alcohols, glycols, glycol ether acetates and esters were contained in painting materials. Of these solvents, xylene was found in the largest number of painting materials. sixty percent of the thinners contained xylene in the contents of 20-100%. Other most frequently found solvents were 1-methoxypropanol, 1-methoxypropyl acetate, n-butanol, methyl isobutyl ketone, toluene, isopropanol, and n-butyl acetate, etc. Glycol ethers such as 2-methoxyethanol (2-ME), 2-methoxyethyl acetate (2-MEA), 2-ethoxyethanol (2-EE), 2-ethoxyethyl acetate (2-EEA) and 2-butoxyethanol (2-BA) were regarded as having the potential to cause adverse reproductive effects, embryotoxic effect and hematotoxic effects, and were found in some epoxy panting materials. Coal tar pitch was included in some paints(13%) where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PAHs) could be contaminated. Inorganic pigments such as lead chromate and zinc potassium chromate were found in some paints (8%). The epoxy resin based paints, which may contain isocyanates such as toluene diisocyanates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s causing potential sensitization and asthma to upper respiratory organ, were mostly used in the shipyards. The constituents in the MS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sults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detector: minor constituents or impurities were omitted in many MSDS. In conclusion, xylene was the most frequent organic solvent in painting materials, and glycol ethers, including 2-ME, 2-MEA, 2-EE, 2-EEA and 2-BA, were found some products. Also, painting workers may be exposed to PAHs, lead, chromate, isocyanates, organic tin and other various chemicals. The compositions of chemicals in painting materials were variable significantly, and the hazards were changed. These facts should be considered i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hazards.

  • PDF

한국산(韓國産) 고등(高等) 균류(菌類)의 성분(成分) 연구(硏究)(제41보)(第41報) -Lentinus edodes DMC7 균주(菌株)의 배양(培養) 여액(濾液)의 항암(抗癌) 성분(成分)- (Studies on Constituents of the Higher Fungi of Korea(XLI) -An Antitumor Fraction from the Culture Filtrate of Lentinus edodes DMC7-)

  • 정경수;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29-132
    • /
    • 1984
  • 한국산 담자균류로부터 새로운 항종양 성분을 개발하기 위하여 표고의 일개 균주인 Lentinus edodes DMC7을 인공배지에서 진탕배양하여 그 균사 배양물을 얻었다. 그중 배양 여액으로부터 수용성 고분자 분획을 분리하여 LF-3라고 명명하였다. LF-3는 ICR 마우스에 이식된 Sarcoma 180세포에 대하여 항암작용을 나타내었으며 그 저지율은 53. 1%였다.

  • PDF

재래종(在來種) 들깨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Native Perillas)

  • 성환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9-74
    • /
    • 1976
  • 우량종으로 선발된 6종의 재래종 들깨를 동일조건으로 재배하여 그 종실(種實)과 잎의 일반성분과 무기물을 분석하고 우수품종에 대한 유리 amino acid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種實)의 유지 함유량은 인천 군산 재래종이 각각 52%, 50.87%였고, 전부 45%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2) 종실(種實)의 단백질 함유량은 대구 대전 재래종이 각각 22.31%, 19.15%이고, 잎의 단백질을 대전 대구 재래종이 5%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3) Vitamin C와 $B_2$ 는 잎에 각각 60mg, $170\;{\mu}g%$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4) 종실(種實)의 무기질은 K Mg가 많고, 잎에는 K Ca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무기질은 종실(種實)에 비해서 잎이 $2{\sim}10$배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5) 대전 재래종의 종실에는 유리 amino acid로서 arginine 54.2mg%, alanine 23.9mg%가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glutamic acid 24.8mg%, alanine 9.1mg%가 함유되어 있다.

  • PDF

수도에 대한 삼요소분시가 등숙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lit Dressing on Grain Ripening in Rice Plant)

  • 노준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9권
    • /
    • pp.25-31
    • /
    • 1975
  • 수도증수방안의 하나로 후기생육이 불량하여 광합성산물이 효과적축적이 불가능하다는 한강하류의 미소질충적토에서 분시효과를 관행시비법과 비교검토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생종 봉광을 분시방법으로 재배하면 수량 488kg/10a까지 증수 가능했다. 2. 시비방법에서는 관행법인 품종에서는 농광이 초장98.2(cm) 분얼수 18.1(본) 전립수 966(립) 건물생산등은 좋았으나 동화산물의 이행축적 과정중 각기관별 영양생태의 불량으로 등숙비율은 65.8%로 어느처리구 보다도 저하 되었다. 3. 수도체 엽의 광합성능력은 엽녹색함량과 어느정도 비례하나 실질적인 동화물상태나 엽$\longrightarrow$$\longrightarrow$수으로의 이행 전류 과정은 결과적으로 종실획득에 영향을 미쳤다. 4. 엽에서의 Mn, Fe함량과 경의 $K_2O$함량 및 수중의 $P_2O_5,Fe$함량은 동화산물의 이행전류 과정을 생리적으로 조정하는 것 같았다. 5. 등숙비율은 관행구에서 농광이 65.8% 봉광이 76.9%인데 비해 분시구에서는 농광이 88.9% 봉광이 96.5%였으며 이는 등숙기간중 활동엽들의 동화능 증가와 함께 엽초 경 수의 영양균등등을 유기적으로 강조한 결과라 하겠다. 6. 활동엽의 엽위별 무기함량변화는 인산 가리는 상위엽들에 비교적 많았고 후기 생육진행과 함께 점차 감소 경향이었고 만암 규소는 증가 경향이였다. 7. 봉광 농광 2품종과 분시 관행 두 시비법 사이에 수량구성요소는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 PDF

Chlorella 세포에서의 $^{32}P$-인산의 단백질 및 다른 질소화합물로의 전환 (Incorporation of phosphate into protein and other nitrogenous compounds in Chlorella cells)

  • Lee, Yung-nok
    • 미생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1-68
    • /
    • 1967
  • In the process of the incorporation of orthophsphate into protein and other cell constituents, the role of inorganic polyphosphate and RNA-polyphosphate complex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ere pursu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32}P$ and total P in various fractions of Chlorella cells, which had been uniformly labeled with $^{32}P$ before the inoculation in a normal "cold" medium or P-free medium during the culture. The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and various micronutritional-element deficiencies on the phosphate incorporation into, and biosynthesis of, protein and other introgenus compounds in the cells were also observed. When the uniformly $^{32}P$-labeled algae were grown in a normal "cold" medium the contents of $^{32}$ P in the fractions of protein, DNA and RNA-polyphosphate complex increased, but those in the fraction of acid-insoluble polyphosphat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amount of $^{32}P$in the fraction of RNA was almost unchanged in spite of rapid increase of the total P. In the growing period of $^{32}P$-labeled algae in a P-free medium, amounts of $^{32}P$ in the fractions of DNA, protein and lipid increased, while those in the fractions of RNA-polyphosphate and inorganic polyphosphates decreased. When the algal cells were irradiated with about 70, 000r of gamma-rays before the inoculation in the medium, amounts of phosphate in the fractions of DNA, RNA, nucleotides and protein decreased during the cultu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However, the phosphate content in the fraction of acid-insoluble polyphosphate of the irradiated cells increased than those of the control. In the growing period of the algae in a Mo-free, medium, amounts of acid-soluble total phosphate and nucleotides of the cells increased, while the amounts of residual protein and RNA decre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cells. Amounts of alkali-labile protein and phospholipid of the cells grown in a B-free medium decreased, whereas amount of phosphate in acid-soluble fraction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general, the contents of protein and RNA in each microelement deficient cells decreased more or less, compared with those in the normal cells.in the normal cells.

  • PDF

제지공정 침착이물질 및 종이내 불순물성분의 기기분석적 고찰 (The Study of Instrumental Analysis of Deposits on Paper Machine and Holes/spots in Paper)

  • 마금자;이복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29권3호
    • /
    • pp.7-16
    • /
    • 1997
  • The constituents of deposits on paper machine and holes/spots in paper have been studied by consequently a combination of analytical techniques, such as FTIR, Py-GC-MS, and. EDS. FTIR spectroscopy was used prior to Py-GC-MS and EDS analysis, as preliminary analysis technique. The analysis of organic components were carried out with the use of a pyrolysis unit connected to a GC-MS, and inorganic components in ash were analysed by SEM equipped with an EDS analyzer after pyrolysis at 59$0^{\circ}C$. The deposits on the dryer section were complex pitch, which was the mixture of the organic contents of fatty acid ester and starch, and the inorganic contents of talc, clay, and calcium carbonate. The complex pitch was estimated to come from the coated broke. We knew the deposits on the metering rod of sym-sizer were associated with the interaction of unstable AKD and CaCO$_3$. The compositions of holes or spots varied considerably and were associated with chemical interaction within the system. The holes, spots, and blotches in the finished paper were PE and PP that were streamed out from pulp sources, complex pitch that were caused by the interaction of the different additives in the system, polymer such as flexible PVC that used for the prop of palette, and hot melt as adhesives that came from the inadequate handling of broke. In addition, we identified that poly(caprolactam) which is used for forming fabrics or press felts, could be mixed with the raw materials by accident and results in streak on coating.

  • PDF

Tuber quality of Ashwagandha (Withania somnifera Duanal) affected by different growth conditions

  • Kaliyadasa, Ewon;Jayasinghe, Lalith;Peiris, Sriyani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51-161
    • /
    • 2019
  • Ashwagandha (Withania sominifera Duanal) is an important medicinal herb with increased demand after discovering its anti-stress and sex stimulating properties that are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biologically active alkaloid compoun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a proper agro technological package that ensures the optimum growth of Ashwagandha to obtain the finest quality without degrading the pharmac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Mixtures of organic and inorganic fertilizers were combined with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ed as four different treatments in this study. The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tubers were recorded up to 12 months starting from two months after sowing (MAS) while the shoot height, root length, number of leaves,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shoot and the root with a shoot ratio of up to 6 MA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growth of Ashwagandha was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method of planting, type of fertilizer or their combinations during most of the harvests. However, tubers harvested at 6 MAS had the highest recorded dry tuber weight per plant in all four treatments compared to the early harvests where two direct seeded treatments had the best results. Comparison of the phytochemical compounds showed that direct seeding with organic fertilizer had the highest recorded values for alkaloid and withaferine A contents with a lower percentage of fiber compared to the treatments with inorganic fertilizer. In conclusion, direct seeding with organic fertilizer and tubers harvested at 6 MAS are recommended as the best cultivation conditions and harvesting stage to obtain high quality tubers of Ashwagandha,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