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organic Nutrient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36초

시설재배 멜론 엽의 적정양분함량 설정 (The Establishment of Critical Ranges of Inorganic Nutrition Contents in Leaves of Net Melon(Cucumis melo L.) in Protected Cultivation)

  • 이주영;박재홍;장병춘;이기상;현병근;황선웅;윤영상;송범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71-475
    • /
    • 2007
  • 시설재배 멜론에 대한 적정 양분함량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나주에서 하우스 멜론의 수량 및 잎 중 무기양분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년간 조사한 멜론 재배 농가 포장을 대상으로 생육단계별 적정 양분함량 범위를 설정하였다. 멜론수량과 관련하여 생육단계별 잎 중 무기양분함량은 정식 후 25일이 가장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였으며 이 때 잎 중 다량원소 적정 범위는 N 3.4~4.8%, P 0.4~0.7%, K 3.4~5.1%, Ca 2.7~4.1%, Mg 0.6~0.8% 이었다. Fe, Mn, Zn, Cu 및 B 등의 미량원소 적정함량 범위는 Fe 102~164, Mn 52~116, Zn 28~98, Cu 7~15 및 B $36{\sim}72mg\;kg^{-1}$ 이었다. 여기에 제시한 멜론의 생육단계별 적정 양분함량 범위 기준은 농업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멜론의 영양장애를 해결하기위한 양분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Effects of Microbial Phytase Replacing Partial Inorganic Phosphorus Supplementation and Xylanase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Broilers Fed Wheat-based Diets

  • Peng, Y.L.;Guo, Y.M.;Yuan, J.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239-247
    • /
    • 2003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broiler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microbial phytase replacing partial inorganic phosphorus supplementation and the synergistic effects of xylanase (320 FTU/kg) supplementatio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phytase (750 U/kg) replacing 0.08% dietary inorganic phosphoru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utilization of nutrients in broilers fed wheat-based diets. In Experiment 1, 540 broilers were fed five diets for 6 weeks. Diets C0 and C1 were corn-based diets and 0.08% inorganic P supplementation was replaced with 750 U phytase/kg feed in Diet C1. Diets W0, W1 and W2 were wheat-based diets supplemented with microbial phytase 0, 750, 750 U/kg feed and 0, 0.08% and 0.16% dietary inorganic P were replaced, respectively. In Experiment 2, 432 broilers were divided into four treatments to determine the synergistic effects of supplemental xylanase and phytase replacing 0.08% inorganic P.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arranged according to a $2{\times}2$ factorial desig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ddition of phytase increased the digestibility of phytic P by 31.0 to 55%, dramatically decreased the excretion of phytic P and total P by 31.6 to 55.0% and 13.8 to 32.9%, respectively (p<0.01). It is feasible to completely replace 0.08% inorganic phosphorus supplementation with microbial phytase 750 U/kg in corn- or wheat-based diets for broilers. Addition of xylanas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phytase replacing 0.08% dietary inorganic P, increased body weight gain and feed utilization efficiency of broilers fed wheat-based diets (p<0.10) and decreased overall mortality (p<0.10). In the groups of birds supplementing xylanase 320 FTU/kg feed, a marked elevation of the dietary AME was observed (p<0.05). Addition of phytase replacing 0.08% dietary inorganic phosphorus, concurrently with xylanase supplementation had additive effects on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dietary phytic P and overall feed conversion ratio (p<0.05).

북동태평양 KOMO 정점에서 수온약층에 따른 무기영양염 분포 특성(1995-2002) (Inorganic Nutrient Distributions in Association with Thermocline at KOMO Station in th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Ocean during 1995-2002)

  • 손승규;손주원;김경홍;강정훈;지상범;유찬민;박정기;김웅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377-384
    • /
    • 2004
  • Annual variations of inorganic nutrients such as nitrate(+nitrite), phosphate and silicate in association with thermocline were investigated in the upper 200 m of the water column at KODES Long-term Monitoring (KOMO) station in th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from 1995 to 2002. Global climatic disturbances such as El Nino and La Nina, should have affected KODES area during the study period. In 1995-97 and 2000-2002, a thermocline where temperatures rapidly decrease with depth, was formed at 50-70 m water depth. Nutrient depletion, specially for nitrate and phosphate, was extended down to approximately 50 m depth, which coincided with the surface mixed layer depth. In 1998 and 1999, however a very fluctuating thermocline was observed at 20-100 m water depth. In the photic zone (up to 100 m depth), depth integration of nitrate, phosphate and silicate ranged from 2.02 to $23.14\;gN/m^2$, from 0.87 to $4.05\;gP/m^2$ and from 35.67 to $176.21\;gSi/m^2$, respectively. As a result of changes in the water column structures, nutrient concentrations also showed fluctuation parallel to the changes of thermocline in the study area.

생식생장기 냉수온이 벼의 Source와 Sink관련형질 및 양분흡수에 미치는 연구 II. 냉수관계가 벼의 엽신, 지경, 영각의 무기성분 조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owth Characters and Nutrient Uptake Related to Source and Sink by Cool Water Temperature at Reproductive Growth Stage II. Influence of Cool Water Irrigation on the Inorganic Element Content of Leaf Blades, Rachis Branches and Chaff of Rice)

  • 최수일;황창주;이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1986
  • 냉수관계일수가 엽신, 지경, 영곡의 무기성분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엽신, 지경, 영각의 무기성분조성은 냉수관계일수가 길어질수록 전질소함량은 증가하나 인산, 가리, 규산함량조은 낮았으며 숙기별로는 전질소와 인산은 출수기 가리는 엽신과 지경에서는 출수기, 영각은 성숙기, 규산은 성숙기에 많았고 지경의 무기성분함량은 엽신보다는 영각과 유사한 양식을 나타냈다. 2. 냉수에 의해 도체가 저질소흡수과정장해를 받으면 인산, 가리, 규산도 흡수장해를 받으며 그 경향은 지경보다는 엽신과 영각의 영양장해가 현저하였으며 도체에 전질소함량이 높고 규산함량이 낮으면 지경과 영화의 퇴화 및 불임이 증가되고 지경의 영양장해가 엽신과 영각보다 퇴화 및 불임에 밀접하게 관여하였다.

  • PDF

수괴특성에 따른 춘계 황해의 영양염 분포 특성 (Springtime Distribution of Inorganic Nutrients in the Yellow Sea: Its Relation to Water Mass)

  • 김경홍;이재학;신경순;배세진;유신재;정창수;현정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3호
    • /
    • pp.224-232
    • /
    • 2000
  • 춘계 황해에서 해수의 물리적 특성과 연관된 영양염 분포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1996년 4월에 한국과 중국연안을 포함하는 황해내 약 40정점에서 수온, 염분, 무기영양염류 및 엽록소-${\alpha}$(Chl-${\alpha}$)의 분포양상을 조사하였다. 춘계의 조사해역내 수괴는 연안수, 황해난류수, 양자강희석수로 분류되었으며 수괴들은 수직적인 혼합이 잘 이루어진 동계의 특성을 나타내 저층에서 표층으로의 영양염 공급이 원활히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층으로의 영양염 공급과 호전된 광조건으로 야기된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은 표층수에서 영양염을 고갈시켜 영양염의 수직적인 농도구매를 형성하였다. 춘계에는 양자강희석수의 세력약화로 고온,고염의 황해난류수가 황해 중앙해역으로 유입되어 황해 중앙해역의 저층에 존재하는 낮은 영양염 농도(정점 D9, 질산염: <2 ${\mu}$M, 인산염: <0.3 ${\mu}$M)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중국 및 한국연안의 높은 영양염농도는 하천의 유입과 조석에 의한 수직혼합의 영향으로 높은 영양염 농도를 나타내는 연안수의 분포와 연관되어 있었다. 지역적인 조석전선의 형성(정점 D6)은 영양염의 이동을 제한하여 수평적인 영양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전선수역의 높은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Chl-${\alpha}$=12.38 ${\mu}$gL$^{-1}$)은 표층수에서 영양염을 고갈시켰다. 결론적으로 춘계 황해는: (1)광역적으로는 영양염의 농도가 낮은 황해난류수의 유입과 영양염 농도가 높은 한국 및 중국연안의 연안수의 분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2) 지역적으로는 수직적인 수괴의 혼합, 식물플랑크톤의 서식분포, 그리고 조석전선이 영양염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1}$ Sv$^{-1}$)는 대한해협 (9.72${\times}$10$^{10}$ mol yr$^{-1}$ Sv$^{-1}$)보다 약 1.2배, 동중국해에서 쿠로시오에 의한 수송량(18.55${\times}$10$^{10}$ ton yr$^{-1}$ Sv$^{-1}$)에 비해서는 2/3 수준으로 높다. 결론적으로 풍부한 화학물질들을 함유한 제주해류는 남해 및 동해의 생지화학적 과정들에 있어 상당히 중요함을 시사한다.다. 수조 상층수 중 Cu, Cd, As 농도는 모든 FW, SW수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관성 있게 감소하였고, 제거속도는 Cu가 다른 원소에 비해 빨랐다. 제거속도는 FW 3개 수조 중 FW5&6에서 세 원소 모두 가장 느렸고, SW 3개 수조 중에서는 SW1&2에서 가장 빨랐다. SW와 FW간 제거속도 차이는 세 원소 모두 명확치 않았다 Cr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SW에서는 실험 초기에 감소하다 24시간 이후에는 증가 후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Pb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SW에서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 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Pb 또한 Cu, Cd, As와 마찬가지로 SW1&2에서 제거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FW 상층수 중 Hg는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했고, 제거속도는 Fw5&6에서 가장 느렸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할 때 벼가 자라고 있고 이분해성 유기물이 풍부한 FW1&2, FW3&4 토양과 상층수에서는 유기물의 분해 활동이 활발하였지만, 벼가 경작되지 않는 FW5&6과 SW 에서는 유기물이 상대적으로 결핍되어 유기물의 분해활동이 적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 PDF

장기자료 분석과 생물검정실험을 이용한 천수만과 태안해역의 제한영양염 평가 (Evaluating Limiting Nutrients through Long-term Data Analyses and Bioassay Experiments in Cheonsu Bay and Taean Sea)

  • 김진현;정원옥;신용식;정병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59-468
    • /
    • 2022
  • 천수만과 태안해역의 제한영양염을 평가하기 위해 장기자료 분석과 생물검정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잠재적인 제한영양염을 평가하기 위해 국가수질측정망에서 제공되는 2004~2016년 동안의 장기 영양염 자료를 이용하였다. 장기자료의 DIN/DIP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16이하로 N 제한이 우세하였지만 N, P, Si의 농도비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하계와 추계에는 N 제한이 우세하였고, 동계와 춘계에는 해역에 따라 일부 Si 제한을 보이거나 또는 제한이 나타나지 않았다. 생물검정실험 시 채집된 현장수의 영양염 분석결과, DIN/DIP는 3월과 5월에 모든 정점에서 P 제한을 나타냈고, 7월과 10월에는 N 제한이 우세하였다. N, P, Si의 농도비를 이용한 분석에서 3월과 5월은 P와 Si 제한을 보이거나 제한영양염이 나타나지 않은 정점이 존재하였으나 7월과 10월에는 N 제한이 우세하였다. 실질적인 제한영양염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생물검정실험 결과 3월에는 특정 제한영양염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5월, 7월 10월에는 NH4+와 NO3-가 반응을 보임으로서 이 시기에는 N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직접 관여하는 실질적인 제한영양염임을 확인하였다.

양액재배를 위한 배양액관리 지원시스템의 개발 I. 배양액의 배합 및 전기전도도(EC)의 예측 (Development of a Supporting System for Nutrient Solution Management in Hydroponics I. Fertilizer Combinat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EC) Prediction)

  • 손정익;김문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2-60
    • /
    • 1992
  • The optimum management of nutrient solution needs the effective combination of fertilizers as well as the accurate control of nutrient solution. This study was attempt to make a supporting system for effective fertilizer combination by using computer and also to develop a EC predicting equation for keeping the EC of solution within the allowable range after application of combined fertilizers. The supporting system consists of three parts : (1) data bases, (2) rules for deciding the kinds and amounts of fertilizers and (3) main control. With input data, the main control automatically constructs the network connecting the related data bases and subsequently executes the operation of searching proper fertilizers through it. For more effective searching, fertilizers are classified into two levels(level 1 and level 2) in consideration of solubility, price, and frequency in use, and searched in that order. The EC prediction equation, a extended form of the Robinson and Stroke's theoretical equation only available for a binary electrolyte, is suggested for predicting the EC of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many kinds of inorganic compounds. The comparison of predicted and measured ECs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ed EC decrement by ion interaction and the actual one(limiting EC minus measured EC).

  • PDF

영양과 환경과의 관계 (Nutritional Effects on the Environmental Health)

  • 문현경
    • 환경위생공학
    • /
    • 제6권2호
    • /
    • pp.17-31
    • /
    • 1991
  •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gents on health are great concern for all. It was recognized that each human has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environmental effects. Susceptibility are changed by many factors includin gdevelopmpntal processes, genetic factors, nutritional stratus, preexisting disease conditions, life style and personal habits. Of all factors nutritional factors seem to be the area most modifiable. Consequently, It is an area that must be more thoroughly evaluated. In this paper, nutrient and environment interactions are reviewed briefly with published literatures. This paper deals with the influence of micronutrients(energy, protein and fat), Vitamins (vitamin 4, vitamin B-complex, vitamin C, vitamin D and vitamin I) and Minerals(calcium, iron, selenium, zinc and other minerls) on environmental effects. The role of arch nutrient was assessed in modifyine the express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 toxicity with available litertures. In each nutrient section, the effect of environment was considered in following agents : heavy metals(lead, cadmium, mercury, silver and etc), inorganic agents(nitwits, sulfite, fluoride and etc), organic agents(benzene, carbon tatra-chloride, aflatoxin, auto dye, dialbrin etc), Irritant gas(ozone, carbon monooxide and etc), physical agents(X-irradiation, ultra violet, temperature and noise) and insectcides. The extent to which nutritional status modifies environmental effects 3nd its converse, how envirollments affects nutritional status is very complex. In deed, at the present time there are more than 50 chelnical/phycical agents that affect the nutrient metabolism and/or have their toxicity either directly diminished or enhanced by nutrients of those agents, small number of agents for each nutrients have sufficient evidence to warrant any reasonable degree of confidence in their hypothesized associtation. With these information at this present time it is hard to conclude that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for each nutrient should be reconsidered.

  • PDF

순환식 펄라이트재배에서 전기전도도와 양액흡수량을 이용한 오이 양분 흡수 모델링 (Modeling Nutrient Uptake of Cucumber Plant Based on Electric Conductivity and Nutrient Solution Uptake in Closed Perlite Culture)

  • Hyung Jin Kim;Young Hoi Woo;Wan Soon Kim;Sam Jeung Cho;Yooun Il Nam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3-140
    • /
    • 2001
  • 순환식 펄라이트재배에서 배액 재사용을 위한 양분흡수 모델링을 작성하고자 양액 농도(1.5, 1.8, 2.1, 2.4, 2.7 dS./m-1)를 달리하여 수행하였다. 생육 중기까지 전기전도도(EC) 수준에 따른 양액흡수량은 차이가 없었지만 중기 이후 EC가 높을수록 흡수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N $O_{3-}$ N, P 및 K의 흡수량은 생육기간 동안 처리간 차이을 유지하였는데 N과 K는 생육 중기 이후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P는 생육기간동안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S의 흡수량은 생육 중기 이후 모든 처리에서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생육 후기에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오이의 무기이온 흡수율에서와 같이 흡수량에서도 EC간 차이를 보여 EC를 무기이온 흡수량을 추정하는 요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무기이온 흡수량은 모든 EC 처리간에 생육 초기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생육중기 이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 후 생육 후기의 높은 농도에서 그 차이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EC와 양액흡수량을 이용하여 무기이온별 흡수량을 예측하는 모델식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실측치와의 비교는 신뢰구간 1%내에서 높은 정의상관을 보여 실제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