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ovation cluster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7초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덕연구개발특구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Impact of Innovation Cluster Activating Factors on Business Performance: Focusing on the SMEs Case of Daedeok Innopolis)

  • 박후근;배관표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4호
    • /
    • pp.149-163
    • /
    • 2023
  • 혁신클러스터 정책은 특정 지역에 산업부문과 연구부문의 연계를 강화하여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OECD(1997)에서 첨단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산업 재구조화를 통해 지역발전을 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개념이 제시된 후 산업과 지역, 과학기술 분야에서 혁신클러스터 개념을 적용하여 적극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차원에서 그간의 정책 및 연구에서는 구성원 간 교류·협력에 집중하는 경향이 뚜렷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혁신클러스터를 육성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이유인 산업 및 지역의 경쟁력 강화, 즉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이 대덕연구개발구에 입주한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혁신클러스터가 가지는 본질적인 개념인 산업집적 요인, 네트워킹 요인, 혁신창출 요인 등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 도출 후 175개 기업의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 중 산업집적 요인과 혁신창출 요인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네트워킹 요인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전에 수행된 사례 중심의 연구들과 달리 실증분석을 통해 혁신클러스터의 활성화 요인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혁신클러스터에서 네트워킹 요인에 대한 직관적 판단과 실제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 차이를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인 혁신클러스터 정책을 위해서는 지역에 뿌리내려진 사회적·문화적 구조, 특화 산업의 특성, 구성원의 니즈 등 다각적인 관점에서 혁신클러스터에 대한 입체적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측면에서 실무적인 의의도 존재한다.

  • PDF

Institutional Constraints to Innovation: Artisan Clusters in Rural India

  • Das, Keshab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4권2호
    • /
    • pp.132-153
    • /
    • 2015
  • Rural enterprise clusters in India have often been characterized by low-end products, poor income earning options and a near-absence of innovativeness. This has implied limited market access, inadequate organization of production and distancing from sources of formal knowledge. Policy neglect of rural industrialization notwithstanding this paper explores the nature of institutional constraints to innovation through intensive case studies of five rural artisan clusters (handlooms and handicrafts) in as many Indian states. Whether it relates to access to loan finance or technology support or linking to markets, the formal institutions (public or private) have been distanced by informality that typifies most rural enterprise clusters. An obsession with a sectoral approach to cluster development has negated addressing infirmities of the space of enterprise, even as scope for learning from some Asian economies in rural enterprise promotion exists. The paper also enquires if the innovation systems have been inclusive and pro-poor.

Government Support Mechanisms and Open Innovation: An Empirical Look at Korean Manufacturing Firms

  • Chung, Jiyoo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135-155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 broad palette of government support measures and firms' membership in government-developed clusters are related to firms' openness in innovation processes. Design/methodology/approach - Empir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Korea Innovation Survey 2018 data on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1,450 Korean R&D-active manufacturing firms in a three-year period from 2015 through 2017. Findings - The results suggest that firms engage in open innovation to a greater extent--as measured by the breadth of external collaborating partners and of the utilized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when they are provided with a broader palette of government support measures and are located in government-developed clusters. However, the effect of diverse government support measures is attenuated for firms located in these cluster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innovation literature by illuminating how firms' open innovation can be understood in a national innovation system. Moreover, it provides valuable implications for firms seeking to obtain government support and collaborate with others.

지리적 혁신클러스터의 한계와 보완방안 : 가상 혁신클러스터 관점에서 (The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of Geographical Innovation Cluster : Virtual Innovation Coster Perspective)

  • 김왕동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08-841
    • /
    • 2007
  • 최근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지리적 혁신클러스터의 한계가 언급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리고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가상 혁신클러스터의 개념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혁신클러스터의 한계를 탐색적으로 검증해 보고 대안으로 가상 혁신클러스터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살펴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적 혁신클러스터의 한계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지리적 혁신클러스터의 한계는 가상 혁신클러스터를 통해 보완가능한가, 셋째, 가상 혁신클러스터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과제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설문분석, 사례연구, 전문가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 하였다. 특히, 지리적 혁신를러스터의 한계를 탐색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제시하였다.

  • PDF

한국산업의 클러스터 분류 및 클러스터간 연구개발 포트폴리오 분석 (Classification of Clusters and Analysis of R&D Portfolio in Korean Industry)

  • 박종용;신준석;박광만;김석현;박용태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2년도 제21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8-256
    • /
    • 2002
  • Competitiveness of a nation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NIS). As components of NIS, industry clusters become the issue in analysing innovative activity of an economy. Innovative clusters can be identified by the innovation survey or other economic activity data. Input-output Table was used widely as a tool for quantitative analysis, This paper classifies seven clusters in Korean industry based on inter-industries trade of intermediary goods and services, Maximizing procedure method is used in analysing input-output table. Identified clusters are Textiles/chemicals, Construction/Material, Instrument/Equipment, Automobile, Services, Energy, and Agriculture/Food cluster, Among these clusters, som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R&D portfolios are detected. R&D investment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give u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understanding innovative dynamics of Korean industry.

  • PDF

Emerging Green Clusters in South Korea? The Case of the Wind Power Cluster in Jeonbuk Province

  • Berg, Su-Hyun;Hassink, Robert
    • STI Policy Review
    • /
    • 제3권1호
    • /
    • pp.63-79
    • /
    • 2012
  •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d clusters represent a fashionable conceptual basis for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in many industrialized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Due to question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friendly energy production, the green industry has been increasingly discussed in relation to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d clusters. This explorative paper analyzes these discussions and critically examines the emergence of green cluster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case of the wind power cluster in Jeonbuk Province. It tentatively concludes that the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is too powerful and the role of regional actors (policy-makers and entrepreneurs) is too weak for the successful emergence of green clusters.

경쟁력 있는 글로벌 혁신클러스터 재창조 전략 : 전환력과 집단적 대응 (Recreating Competitive Global Innovation Clusters in Korea: Switching Forces and Collective Responses)

  • 이정협
    • 산업클러스터
    • /
    • 제2권1호
    • /
    • pp.28-43
    • /
    • 2008
  • 본 고에서 우리나라의 클러스터들이 세계에서 경쟁력 있는 혁신클러스터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잠재경로와 클러스터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개입의 방향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세계적인 클러스터가 되기 위해서는 클러스터의 구성원들이 끊임없이 변하는 자본주의 경제의 전환력에 대하여 집단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고 그 과정에서 각기 독특한 경쟁력이 창출된다는 것이 이 논문의 핵심적 주장이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다양한 자산들을 축적하였고 이런 자산들은 우리나라에서 세계적인 선도 클러스터를 창출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 과정은 실리콘밸리와 같은 유일한 모델을 베끼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지역적 조건에 맞는 독자적인 모델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 혁신클러스터의 재창조 과정이 요구된다.

  • PDF

기술혁신 클러스터 구축의 전략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 '판교 테크노밸리' 시나라오 플래닝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Strategy for the Formation of the Innovation Clusters - Focused on the Scenario Planning of the 'Pankyo TechnoValley'-)

  • 이원일;임덕순;이연희;정의정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01-31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 촉발의 인프라로 여겨지는 혁신클러스터 구축의 개념과 이론을 살펴보고 시나리오 플래닝을 통해서 판교 테크노밸리 운영의 전략방향을 설정하여 본다. 이러한 클러스터 전략 방향 설정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클러스터의 개념, 이론 및 국내 외 주요 추진사례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사례분석으로는 해외의 핀란드 오울루, 미국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 국내의 대덕특구연구단지 및 경기도 기술혁신 클러스터를 분석한다. 또한,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한 성공요인 고찰에서 더 나아가 미래예측 방법론 중 하나인 '시나리오 플래닝(scenario planning)'을 통하여 판교 테크노밸리 혁신클러스터 구축의 미래 시나리오를 설정한다. 또한, 이를 통해 바람직한 미래(preferred future)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판교 테크노밸리 클러스터 추진의 성공을 위해서는 클러스터 육성지원 가능 강화, 혁신클러스터 정책과의 정합(alignment) 및 클러스터간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기술혁신 클러스터 추진의 전략방향을 시나리오 플래닝을 통하여 다차원적으로 고찰한 본 논문은 향후 클러스터 추진 관련 연구 조직에게 큰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스웨덴의 지역혁신체제 및 클러스터 육성정책

  • 박상철
    • 기술혁신연구
    • /
    • 제11권1호
    • /
    • pp.195-214
    • /
    • 2003
  • Sweden's regional innovation system is built mainly on innovative clusters, several of them - in automobile, steel, new materials,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and bioscience - world-class. Most successful clusters were developed at local bases imbued with local history. In fact, a cluster's competitiveness is intimately related to its closeness of fit with its local environment. Geographically dispersed clusters in Sweden - some national, others local, and some local but deemed members of a national cluster as well - have already created many new competitive products and services. In 2001, Sweden has eight national and nine regional clusters, and envisioned eleven national and five regional clusters more. The experience of Swedish clusters indicate several elements that determine the ability of cluster policies to promote and strengthen regional economic growth. Cluster policies require strong public sector support, particularly in the form of providing basic national conditions. Regional cluster policies place new demands on national and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All policies must be closely interwoven without compromising their primary allegiance to their respective areas.

  • PDF

A Case Study of the Daedeok Innopolis Innovation Cluster and Its Implications for Nigeria

  • Shenkoya, Temitayo;Kim, Euiseok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8권2호
    • /
    • pp.104-119
    • /
    • 2019
  • Innovation clusters are essential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many developed countries across the world. While they present ways for under-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o grow their economies, fully operational innovation clusters are yet to be established in Nigeria. Many experts argue that learning from experience is an effective way of galvanizing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in this study, an empirical analysis involving a multi-variable quantitative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Daedeok Innopolis Innovation Cluster (South Korea). The results obtained show that the investment in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labor capacity of key players within the innovation cluster, and the transfer of technology (within the cluster) were essenti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Daedeok Innopolis Innovation Clu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