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land fisheries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22초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생태와 초기 생활사 (Ecology and Early Life History of Endangered Freshwater Fish, Pseudobagrus brevicorpus (Pisces: Bagridae))

  • 강언종;양현;이흥헌;조용철;김응오;임상구;방인철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78-384
    • /
    • 2007
  •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고유 담수어인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의 증식 복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생태와 초기생활사에 대해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꼬치동자개는 특정 조건에 밀집되어 개체군을 형성하며 서식밀도는 1.25개체 $m^{-2}$이었고, 생산력은 200$\sim$250개 마리$^{-1}$ 낮아 멸종위기 상황을 시사하였다. 산란은 자연산란 유도 결과 수초에 산란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부화한 치어는 군집생활을 한다. 수정난은 약 50시간만에 부화하였으며, 부화 3일 후 난황이 거의 흡수되었고, 부화 8일 후에는 올챙이형으로 군집하며, 30일경에 어미와 같은 형태를 보이는 치어기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산란 생태와 관련하여 멸종위기에 처한 꼬치동자개의 증식 복원과 보존을 위한 방안들을 고찰하였다.

Yeast $\beta$-glucan 첨가 사료가 뱀장어의 비특이적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east $\beta$-glucan in the Diet on Immune Response of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by Oral Administration)

  • 김진도;우승호;김이청;이준희;조용철;최상민;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9-228
    • /
    • 2008
  • The effects of dietary yeast β-glucan administration on growth,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serum lysozyme, skin mucous lysozyme, NBT (nitroblue tetrazolium) reduction by phagocytes, and disease resistance against Edwardsiella tarda in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were evaluated. Fish were fed the diets supplemented with 0%, 0.1% and 0.5% of yeast β-glucan to a commercial diet for 6 weeks. The body weight gain from the fish fed on the 0.5% supplemented diet for 6 week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Both serum and skin mucous lysozym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except 2 weeks of 0.5% group.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serum was slightly increased at 6 weeks. Also, The intracellular superoxide anion production of kidney phagocyt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The diet supplemented with 0.1% were also found to raise the relative percent survival (RPS) of Japanese eel after an artificial challenge with 1×107 cells of Edwardsiella tarda per fish. The results suggested the potential of yeast β-glucan to activate some innate immune responses and to improve the growth in Japanese eel.

고유종 칼납자루의 재생산 기초 연구 (Reproduction Study of Korean Endemic Species Acheilognathus koreensis)

  • 김치홍;이완옥;이종하;백재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0-157
    • /
    • 2011
  • 칼납자루를 중심으로 납자루아과 고유종 각시붕어, 한강납줄개, 묵답자루의 재생산을 위한 기초 연구를 하였다. 난의 형태와 부화 자어는 종별로 독특하였으며 암컷의 크기와 1회 산란량의 상관관계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칼납자루 $13.0^{\circ}C$에서도 산란이 가능하였으나 수정란의 부화율은 43.5%로 낮았으며, 수온 $21.0^{\circ}C$에서 79시간 만에 부화하였고 다른 비교 종들과 같이 수온이 높을수록 부화에 이르는 시간은 단축되었다. 칼납자루는 부화 후 자어 시기를 거쳐 300일 만에 52.4 mm로 성장하여 재생산에 참여할 어미가 되기에 충분하였다. 납자루아과 어류의 재생산 연구는 고유 담수어 보존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Genetic Variability Comparison of Wild and Cultured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of Korea using Microsatellite Marker

  • Kim, Jung Eun;Hwang, Ju-Ae;Kim, Hyeong Su;Lee, J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4권4호
    • /
    • pp.317-325
    • /
    • 2020
  • The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is an important commercial freshwater fish in Korea. Investigation of the genetic diversity of wild and cultured domestic catfish groups is essential for the restoration of fishery resources and for increasing local revenue. However, there are relatively few genetic diversity studies on wild and cultured catfish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the genetic diversity and association of wild and cultured catfish using five microsatellite markers. We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NA) ranged from 9 to 25, wherein the Jeonbuk catfish demonstrated the highest mean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nd the cultured catfish exhibited the lowest. The average expected heterozygosity (He) of the wild catfish samples was 0.907, and that of the cultured catfish showed was 0.875. The genetic distances (GD value) among populations of all catfish ranged from 0.138 to 0.242. Jeonnam and Jeonbuk wild catfish were located closest to each other, and the cultured group was separated from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at the genetic diversity of wild and cultured catfish was maintained at a high level. In the case of the wild group, it is effective in maintaining diversity due to the continuous fry release by the local fish research institute. However, the genetic diversity of cultured catfish declined. Low diversity is associated with slow growth and weakened immunity, and therefore continuous monitoring is necessary.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정자 동결보존 (Sperm Cryopreservation of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 정민환;홍창기;임재현;구인본;박주환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5-120
    • /
    • 2023
  • 본 연구는 동자개 정자의 동결보존을 위해 동결보존제의 최적 농도와 적정 희석액을 구명하여 정자를 최상의 상태로 보존하여 인공종자를 생산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은 3종의 희석액(I: 300 mM glycose, II: Kurokura extender, III: Li extender), 4종의 동결보존제(dimethyl sulfoxide, ethylene glycol, methanol and glycerol)와 4개의 동결보존제 농도(5, 10, 15, 20%)를 조합하여 대하여 조사하였다. 동결보존한 정자를 해동한 후 정자의 생존율과 정자활성지수로 동결보존제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희석액 III(Li extender)과 10과 15%의 methanol을 조합했을 때 동자개 정자의 생존율과 정자활성지수는 각각 66.9 ± 8.7, 67.3 ± 13.1%과 2.6 ± 0.4, 2.6 ± 0.5로 다른 희석액과 동결보존제보다 높았다.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 (Acheilognathinae)의 난 발생과 초기생활사 (Development of Eggs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Bitterling, Rhodeus pseudosericeus (Acheilognathinae))

  • 김치홍;강언종;김종화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6-272
    • /
    • 2006
  • 한국 고유종인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의 난발생과 초기 생활사에 대해 관찰하였다. 담황색 성숙란의 난경은 $2.9{\sim}3.1{\times}1.6{\sim}1.9 mm(n=30)$이었다. 수정란은 수온 $17.0{\pm}0.5^{\circ}C$에서 수정 후 70시간 만에 부화하였다. 부화 자어의 크기는 3.2~3.4 mm (평균 3.3 mm)이고 부화 후 25일 경에 난황이 흡수되었으며 소화기관이 완성되어 먹이를 먹기 시작하였다. 전기자어 시기에 출현하는 익상돌기는 납줄개속의 특징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북한강 지류 상천천에 서식하는 대륙종개 Barbatula nuda (Nemacheilidae)의 산란특성과 수조 내 산란행동 (Spawning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of Siberian Stone Loach, Barbatula nuda (Nemacheilidae) in Sangcheoncheon Stream, a Tributary of Bukhangang River, Korea)

  • 곽영호;김정배;송하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0-29
    • /
    • 2023
  • 대륙종개의 산란특성과 산란행동을 규명하기 위해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위치한 북한강의 지류 상천천에서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7회 조사하였다. 전체 조사기간 동안 대륙종개 890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성비(♂:♀)는 1 : 1.34로 수컷이 암컷보다 많았다. 상천천의 대륙종개는 수온 12~15.7℃인 3월 15일~4월 24일에 산란하였다. 최소 성적성숙개체는 전장 56.7 mm였고 만 1년생 개체였으며, 전장 80.5 mm 이상 개체부터 산란이 관찰되었고 만 2년생 개체였다. 50% 군성숙전장은 67.2 mm로 나타났다. 대륙종개의 복강에 HCG호르몬 10 IU/g으로 주사한 결과, 약 15시간 후에 산란이 유도되었으며 수컷이 암컷의 몸을 원형으로 감는 산란행동이 관찰되었다. 산란 후 암컷과 수컷은 바닥에서 휴식을 취하였고 바닥에 떨어진 수정란은 산란에 참여하지 않은 개체들에게 일부 섭식되었다.

순환여과양식시스템에서 사료 공급 횟수가 연어(Oncorhynchus keta) 치어의 성장, 체조성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Feeding Frequency on the Growth Performance,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Body Nutrient Composition of Juvenile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Reared in a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조규석;장석우;이유진;이승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734-740
    • /
    • 2023
  • The effect of feeding frequency on growth performance, body nutrient composition,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of juvenile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was investigated. The juveniles (10.9±0.3 g) were fed commercial feed for 30 days with feeding frequencies of 1, 2, 3, 4, or 5 meal (s)/day (n=2 tanks per treatment) in a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RAS). Fish were fed to satiation at each of the feeding frequencies.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final body weight,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of fish fed 2 meals/da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1 meal/day(P<0.05); however, no difference was detected among the other feeding frequencies. Daily feed intak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feeding frequency, whereas feed and protein utilization efficiencies continuously decreased with increase in the feeding frequency. Among the treatments, fish fed 1 meal/day showed the lowest value in whole-body lipid content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 in plasma. Taken together, the optimal feeding frequency for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efficiency in chum salmon juveniles reared in the RAS was determined to be 2 meals/day.

왕피천 어류상 및 어류군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Wangpicheon)

  • 홍양기;김경환;김경무;임광호;송미영;이완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74-887
    • /
    • 2016
  • 왕피천에 출현하는 어류상 및 어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확인된 종은 모두 15과 40종이었으며, 개체수 우점종은 Zacco koreanus(31.3%) 이었고, 아우점종은 Rhynchocypris oxycephalus(14.7%) 이었다. 생체량 우점종은 Z. koreanus(29.2%) 이었고, 아우점종은 Coreoperca herzi(8.6%) 이었다. 한국고유종은 Squalidus multimaculatus 등 9종(22.5%) 이었고, 멸종위기종은 Lethenteron reissneri와 Cottus koreanus 이었다. 양식용으로 국외에서 도입된 Oncorhynchus mykiss 1종이 확인되었다. 이전 연구보고 이후 본 조사에서 처음 출현이 확인된 종은 L. reissneri, S. gracilis majimae, Pseudobagrus fulvidraco, O. mykiss, Chelon haematocheilus, Siniperca scherzeri, Acanthogobius lactipes, Luciogobius guttatus 및 Channa argus 등 9종이었다. 서식이 확인된 Rhodeus ocellatus, S. gracilis majimae, Hemibarbus longirostris, Pseudogobio esocinus, Microphysogobio yaluensis, Hemiculter eigenmanni 및 Cobitis hankugensis 등 7종은 국내 다른 수계에서 이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회유종인 Tribolodon hakonensis, O. keta 및 Plecoglossus altivelis을 대상으로 서식특성을 분석한 결과, O. keta는 St. 11, T. hakonensis는 St. 7, 10 및 11 등 주로 하류에서 확인되었으나 P. altivelis은 St. 3~St. 11까지 넓게 분포하였다. 한편 조사 지점에 따라 동일한 시기에 P. altivelis의 평균체장 차이를 비교한 결과, 중 상류(St. 3과 St. 5)에서 채집한 개체들의 체장은 $125.8{\pm}34.2mm$로 중 하류(St. 8과 St. 11)에서 채집된 개체의 $80.2{\pm}16.6mm$성장이 양호하였다. 이는 보와 같은 인공구조물에 의한 결과로, P. altivelis의 자유로운 이동 및 자원관리를 위하여 적절한 형태의 어도가 필요하였다.

쏘가리와 황쏘가리(Siniperca scherzeri)의 염색체와 외부형태 비교 및 교배 실험 (Comparison of Morphological and Chromosomal Characteristics and Cross Breeding of the Two Types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 이완옥;장선일;이종윤;손송정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8-234
    • /
    • 1997
  • 본 연구는 한강수계에 서식하는 황쏘가리와 쏘가리의 별종 또는 종내 변이에 대한 정확한 분류학적 지위를 알기 위하여 형태형질 및 염색체를 비교 연구하였으며, 교배실험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형태형질 중 체색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측선린수가 90~98개, 등지느러미의 극조와 연조수가 각각 12와 13개, 뒷지느러미의 극조와 연조가 각각 3개와 9~10개, 가슴지느러미가 15개로 나타나 뚜렸한 차이가 없었다. 염색체수도 두 집단 모두 2n=48로 같게 나타났으며, 핵형에 있어서도 submetacentric chromosome이 2쌍, acro 또는 telocentric chromosome이 22쌍으로 나타났고, 2종 모두 fundamental number가 52로 동일했다. 교배실험에서도 두 집단이 동일하게 정상적으로 발생되어, 별종일 가능성은 없었다. 황쏘가리의 체색은 부화 후 50일부터 혹색소포가 줄어 들다가 60일이 지나면 몸의 체색이 완전히 황색으로 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지금까지 국명과 종명이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 황쏘가리와 쏘가리는 동일한 종이고, 체색의 차이는 유전적으로 변이된 albino 현상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