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jury Incidence Rat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7초

Ocular Complications in Assault-Related Blowout Fracture

  • Choi, Woong Kyu;Kim, Young Joon;Nam, Sang Hyun;Choi, Young Woong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28-134
    • /
    • 2016
  • Background: Blowout fracture is one of the most common facial fractures, and patients usually present with accompanying ocular complications. Many studies have looked into the frequency of persistent ocular symptoms, but there is no study on assault patients and related ocular symptoms. We evaluated the incidence of residual ocular symptoms in blowout fractures between assaulted and non-assaulted patients, and sought to identify any connection among the degree of enophthalmos, defect size, and assault-related injury.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for any patient who sustained a unilateral blowout fracture between January 2010 to December 2014. The collected data included information such as age, gender, etiology, and clinical ocular symptoms as examined by an ophthalmologist. This data was analyzed between patients who were injured through physical altercation and patients who were injured through other means. Results: The review identified a total of 182 patients. Out of these, 74 patients (40.7%) have been struck by a fist, whereas 108 patients (59.3%) have sustained non-assault related injuries. The average age was 36.1 years, and there was a male predominance in both groups (70 patients [94.6%] in the assaulted group and 87 patients [80.6%] in the non-assault group). Diplopia and enophthalmos were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assault history than in non-assaulted patients (p<0.05). Preoperatively, 25 patients (33.8%) with assault history showed diplopia, whereas 20 patients (18.5%) showed diplopia in the non-assaulted group (p<0.05). Preoperative enophthalmos was present in 34 patients (45.9%) with assault history, whereas 31 patients (28.7%) showed enophthalmos in the non-assaulted group (p<0.05). Conclusion: Patients with an assault history due to a fist blow experienced preoperative symptoms more frequently than did patients with non-assault-related trauma history. Preoperative diplopia and enophthalmos occurred at a higher rate for patients who were assaulted. Surgeons should take into account such characteristics in the management of assaulted patients.

안명신경 손상 환자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Facial Paralysis)

  • 허춘복;서태수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643-650
    • /
    • 1998
  • 저자들은 1996년 3월부터 1997년 3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물리치료실에서 치료를 받은환자 중 안면신경 마비 증세를 나타낸 39례에 대하여 임상적인 고찰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별로는 30대에서 10례(24.6%)로 가장 많았다. 2) 성별로는 남자 21례(53.8%), 여자 18례(46.2%)였다. 3) 발생부위는 우측 19례(48.7%), 좌측 18례(46.2%)였다. 4) 발생원인별로는 원인불명(Bell's palsy) 19례(48 7%), 염증, 종양 각 6례(15.4%), 외상성 5례(12.9%), 대사성 2례(5.1%), 선천성 1례(2.6%)였다. 5) 병변의 발생에서 최초 치료일까지의 기간은 10일 이내가 26례(66.7%), 11-20일은 8례 (20.5% )였다. 6) 치료기간은 평균 25.21이며, 치료기간과 회복율의 상관관계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7) 치료 후 치료결과는 상당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재배년수와 토성이 도라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Culture and Soil Texture and their Effect on Growth and Yield of Platycodon grangiflorus)

  • 이영한;조주식;최용조;송근우;김민근;윤한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7-71
    • /
    • 2000
  • 재배년수와 토성이 도라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배년수가 2년에서 8년까지 양질사토에서 시험한 결과 재배년수와 1근중은 $Y=17.246X+0.95(R^2=0.948^{{\ast}{\ast}{\ast}})$, 발병율은 $Y=12.01X-5.74(R^2=0.946^{{\ast}{\ast}{\ast}})$로서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다. 재배년수가 길수록 뿌리의 T-N, $P_2O_5$, MgO 함량은 감소되었고 장해근은 정상근에 비해 T-N, $P_2O_5$, $K_2O$ 함량이 높았다. 도라지 2년생을 양질사토, 사양토, 미사질양토와 식양토에서 시험한 결과 시험후 pH는 미사질양토가 6.4였으며 다른 토성에서는 $5.7{\sim}5.8$의 수치를 나타내었고 $P_2O_5$ 및 Fe 함량은 미사질양토에서 높았다. 도라지 생육상황은 미사질양토에서 지상중 10.38g, 근경 1.34cm, 근장 16.8cm, 초장 57.9cm로 양호하여 1근중이 5.46g으로 가장 높았다.

  • PDF

Effects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of nefopam versus fentanyl following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y: a prospective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Choi, Eunhye;Karm, Myong-Hwan;So, Eunsun;Choi, Yoon Ji;Park, Sookyung;Oh, Yul;Yun, Hye Joo;Kim, Hyun Jeong;Seo, Kwang-Suk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9권1호
    • /
    • pp.55-66
    • /
    • 2019
  • Backgroun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frequently occurs following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ies. Compared to opioids, Nefopam is associated with lower incidences of PONV, and does not induce gastrointestinal tract injury, coagulopathy, nephrotoxicity, or fracture healing dysfunction, which are common side effects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We compared nefopam- and fentanyl-induced incidence of PONV in patients with access to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following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ies. Methods: Patients undergoing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i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nefopam and fentanyl groups. Nefopam 120 mg or fentanyl $700{\mu}g$ was mixed with normal saline to a final volume of 120 mL. Patients were given access to nefopam or fentanyl via PCA. Postoperative pain intensity and PONV were measured at 30 minutes and 1 hour after surgery in the recovery room and at 8, 24, 48, and 72 hours after surgery in the ward. The frequency of bolus delivery was compared at each time point. Results: Eighty-nin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ith 48 in the nefopam (N) group and 41 in the fentanyl (F) group. PONV occurred in 13 patients (27.7%) in the N group and 7 patients (17.1%) in the F group at 8 hours post-surgery (P = 0.568),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t any of the time points. VAS scores were $4.4{\pm}2.0$ and $3.7{\pm}1.9$ in the N and F groups, respectively, at 8 hours after surgery (P = 0.122), and cumulative bolus delivery was $10.7{\pm}13.7$ and $8.6{\pm}8.5$, respectively (P = 0.40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or bolus delivery at any of the remaining time points. Conclusion: Patients who underwent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y and were given nefopam via PCA did not experience a lower rate of PONV compared to those that received fentanyl via PCA. Furthermore, nefopam and fentanyl did not provide significantly different postoperative pain control.

Diagnostic Efficacy and Safety of Low-Contrast-Dose Dual-Energy CT in Patients With Renal Impairment Undergoing Transcatheter Aortic Valve Replacement

  • Suyon Chang;Jung Im Jung;Kyongmin Sarah Beck;Kiyuk Chang;Yaeni Kim;Kyunghwa Ha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7호
    • /
    • pp.634-643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efficacy and safety of low-contrast-dose, dual-source dual-energy CT before transcatheter aortic valve replacement (TAVR) in patients with compromised renal 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4 consecutive patients (female:male, 26:38; 81.9 ± 7.3 years) with reduced renal function underwent pre-TAVR dual-energy CT with a 30-mL contrast agent between June 2022 and March 2023. Monochromatic (40- and 50-keV) and conventional (120-kVp) images were reconstructed and analyzed. The subjective quality score, vascular attenuation, contrast-to-noise ratio (CNR), and signal-to-noise ratio (SNR) were compared among the imaging techniques using the Friedman test and post-hoc analysis. Interobserver reliability for aortic annular measurement was assessed us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nd Bland-Altman analysis. The procedural outcomes and incidence of post-contrast acute kidney injury (AKI) were assessed. Results: Monochromatic images achieved diagnostic quality in all patients. The 50-keV images achieved superior vascular attenuation and CNR (P < 0.001 in all) while maintaining a similar SNR compared to conventional CT. For aortic annular measurement, the 50-keV images showed higher interobserver reliability compared to conventional CT: ICC, 0.98 vs. 0.90 for area and 0.97 vs. 0.95 for perimeter; 95% limits of agreement width, 0.63 cm2 vs. 0.92 cm2 for area and 5.78 mm vs. 8.50 mm for perimeter. The size of the implanted device matched CT-measured values in all patients, achieving a procedural success rate of 92.6%. No patient experienced a serum creatinine increase of ≥ 1.5 times baseline in the 48-72 hours following CT. However, one patient had a procedural delay due to gradual renal function deterioration. Conclusion: Low-contrast-dose imaging with 50-keV reconstruction enables precise pre-TAVR evaluation with improved image quality and minimal risk of post-contrast AKI. This approach may be an effective and safe option for pre-TAVR evaluation in patients with compromised renal function.

소아 결핵성 뇌막염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Tuberculous Meningitis in Children)

  • 김우식;김종현;김동언;이원배;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1호
    • /
    • pp.64-72
    • /
    • 1997
  • 목 적 : 소아의 결핵성 뇌막염은 소아 결핵중 가장 심한 후유증을 남기므로 조기 발견과 치료를 요하는 질환으로 국내에서의 소아 결핵성 뇌막염 발생은 1980년대에 와서 전반적으 로 다른 폐외결핵과 함께 현저히 감소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소아 결핵이 소멸되고 있지 않은 우리나라 실정에서 실제 결핵성 뇌막염은 지속적으로 발생되며, 발병이 낮아진 상황으로 인하여 임상 경험 결여와 무관심에 따른 문제점이 예견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서 전형적 또는 비전형적 소아 결핵성 뇌막염의 진단, 임상 특성, 합병증 및 예후 등에 관한 임상 연구는 요구되어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부터 1996년 사이에 가톨릭의대부속 성모자애 병원, 성가 병원, 성 빈센트 병원, 의정부 성모 병원에 결핵성 뇌막염으로 진단되어 입원 치료 및 경과 관찰이 이루어진 44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대상 환아들에서 결핵성 뇌막염의 진단적 기준, 초기 임상 특성, 신경학적 단계에따른 예후, 동반 합병증, 뇌 척수액 및 방사선 검사 소견들에 관한 내용을 의무 기록 내용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 1) 소아 결핵성 뇌막염의 발생은 1980년대 중반 이후에도 지속 되고 있으며, 3세 이하의 연령에서 높은 발병이 관찰되었다. 2) 이 질환의 진단은 활동성 결핵 환자와의 접촉력, 양성 결핵 반응, 항 결핵제 치료 반응, 뇌척수액 및 이외 가검물에서 결핵균 분리 또는 확인된 순으로 이루어 졌다. 이들 환아 들의 16%는 BCG 접종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였고, 40%에서만 결핵 반응 검사상 양성이었다. 3) 내원시 주증세는 발열, 구토, 두통, 권면, 식욕 감소, 체중 감소, 경부 강직, 경련, 복통, 운동 장애순이었다. 4) 내원시 신경적 단계는 1단계 59%, 2단계 32%, 3단계 9%이었고, 합병증으로는 경한 신 경 손상이 29.5%, 중한 손상이 4.6% 그리고 사망한 경우가 6.8%이었다. 5) 뇌척수액 검사상 염증 세포가 평균 $239.5/mm^3$, 단백은 펑균 239.5mg%, 당은 40.7mg%이었다. 그러나 31.8%에서 염증 세포, 단백 및 당의 검사 소견이 이와같지 않은 비정형 뇌척수액 소견이 보였다. 6) 입원 약 4병일정도에서 SIADH 소견이 약 45.5%에서 보였으며, 이들중 반 정도에서 SIADH 임상 소견이 관찰되었다. 7) 뇌단층 촬영상 뇌수종, 뇌기저막 음영 증가, 혈류장애, 지주하막 염증순으로 이상 소견 이 34명에서 관찰되었다. 흉부 X선상 속립성 결핵(34.1%), 정상(29.5%), 폐침윤(11.4%), 석회 화 음영(9.1%)의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국내의 소아 결핵은 과거에 비해 뚜렷한 감소를 보였으나 지속적 발생이 관찰되었고, 이들중 비정형 결핵성 뇌막염의 비율이 높아 광범위한 진단적 기준을 활용하여 조기 진단에 많은 고려가 있어야 하며 뇌 영상 검사의 적극적 활용도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리 고 SIADH에 대한소견도 임상 경과중에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인지해야 할 것이다.

  • PDF

당뇨병 산모아에서 출생 체중군에 따른 합병증 및 주산기 인자 (Complications and Perinatal Factors According to the Birth Weight Groups in the Infants of Diabetic Mothers)

  • 손경란;백희조;조창이;최영륜;송태복;박천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5호
    • /
    • pp.447-453
    • /
    • 2003
  • 목 적 : 당뇨병 산모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에서 태어난 신생아에서 거대아, 대사성 합병증, 선천성 기형 및 분만 손상 등의 주산기 유병률이 높아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당뇨병 산모아에서 출생 체중에 따른 주산기 합병증 및 주산기 인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6년 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입원하였던 단태 임신의 당뇨병 산모와 그 신생아 중, 부당 경량아와 재태 연령 30주 미만의 환아를 제외한 301례를 대상으로 하여 산모에서는 체중과 신장, 분만력, 당화 혈색소치, 당뇨병의 분류 및 치료를, 그리고 신생아에서는 대사성 합병증, 분만 손상 및 심기형을 포함한 선천성 기형에 대해 의무 기록지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아를 부당 중량아군(1군, 162명)과 적정 체중아군(2군, 139명)으로 나누어 합병증 및 주산기 인자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 과: 대사성 합병증은 저마그네슘혈증(37.5%), 황달(21.3%), 저혈당증(11.0%) 및 저칼슘혈증(7.0%) 순이었으며, 분만 손상은 59명(19.6%), 동반된 선천성 기형은 동맥관 개존을 포함하여 75명(24.9%)이었고 심기형이 가장 많았다. 부당 중량아군(1군)과 적정 체중아군(2군) 두 군간의 주산기 합병증을 비교해 본 결과, 1군에서 2군에 비해 황달의 빈도(27.7% vs. 16.7%, P<0.05)와 저혈당증 빈도(15.6% vs. 7.4%, P=0.02), 빈호흡의 빈도(10.6% vs. 3.6%, P<0.05) 및 분만 손상의 빈도(24.1% vs. 14.5%. P<0.05)가 의의 있게 높았으며, 심실 중격이 두터웠다($5.5{\pm}3.1mm$ vs. $4.7{\pm}1.1mm$, P<0.05). 당뇨병 산모아의 출생 체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산기 인자를 비교해 본 결과, 1군에서 산모의 키와 임신 전 체중 및 임신 기간 중 체중 증가가 의의 있게 컸고(모두 P<0.01), 산모가 임신 기간 동안 임신성 당뇨를 인지하지 못했던 경우가 더 많았다(21.7% vs. 6.6%, P<0.01). 결 론 : 당뇨병 산모아에서 출생 체중군에 따른 주산기 합병증은 부당 중량아군에서 적정 체중아군에 비해 황달, 저혈당증 및 분만 손상의 빈도가 의의 있게 높았고 심실 중격 두께가 두터웠으며, 산모의 키가 더 크고 임신 전 체중 및 임신 기간 동안 체중 증가가 컸으므로, 부당 중량아를 분만할 수 있는 고위험 임산부에 대한 주의 깊은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응급의료센터 소아 환자들의 경향 분석 (Clinical Analysis of the Pediatric Patients Seen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 이희정;박소윤;이영환;도병수;이삼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0호
    • /
    • pp.1061-1067
    • /
    • 2005
  • 목 적 : 1990년대 중반 이후 의료계 내부적 혹은 외부적 변화와 함께 신생아 출산율이 급감한 2000년대 이후의 소아 응급 환자들의 경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 1일부터 2002년 12월 31일까지 영남대학교 의료원 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한 15세 미만의 소아 7,034명을 대상으로 응급의무기록지와 입원병록지를 근거로 성별, 연령별, 월별, 계절별, 요일별, 방문 시간대별, 질병 종류별 및 최종 진료 형태별로 분류하여 보았다. 결 과 : 전체 응급실 방문 환자 45,190명 중 소아 환자는 7,034명으로 전체의 약 15.6%를 차지하였으며, 남녀 비는 1.6 : 1였다. 연령대별로는 1세 이상부터 3세 미만이 1,893명(26.9%)으로 가장 많았으며, 3세 이상부터 6세 미만 1,587명(22.6%), 1개월 이상부터 1세 미만 1,196명(17.0%) 순이었다. 계절별로는 봄철과 여름철이 많았는데, 월별로 6월 790명(19.7%), 5월 745명(18.7%), 7월 712명(18.5%) 순이었다. 요일별로는 일요일이 1,747명(25.5%)으로 가장 많았으며, 시간대별로는 20시부터 24시 사이가 2,029명(23.8%)으로 가장 많았다. 질병별 분포는 사고 및 중독이 2.141명(30.4%), 호흡기계 질환 1,607명(22.8%), 소화기계 질환 1,026명(14.6%), 증상, 징후 및 불확실한 병태 863명(12.3%), 신경계 질환 399명(5.7%) 등의 순이었다. 입원치료는 2,109명으로 전체 응급실 방문 소아의 30.0%를 차지하였다. 결 론 : 2000년대 이후 종합병원 응급실 방문 환자들의 분포는 이전의 보고들에 비하여 소아 환자의 비율이 현저하게 줄어 들었는데, 이것은 의료전달체계의 변화, 출산율의 감소 및 소아과 전문 병원의 증설 등의 영향에 기인할 것으로 추정된다. 소아 환자의 질병별 분포에서는 다른 보고들과 유사하게 사고 및 중독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급성비인두염이나 급성장염과 같은 1차 진료기관에서도 얼마든지 처치가 가능한 비응급 질환의 비율이 여전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소아 환자들에 있어서 3차 진료기관 응급실은 여전히 일차 진료기관으로서의 불필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국민들의 의식 계몽과 함께 의료 체계의 개선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뇌조직의 Jun 및 p53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Jun and p53 Genes from the Brain of Rats Irradiated with $^{60}Co{\gamma}$-ray)

  • 김용석;우종규;이용성;고재경;전하정;이명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265-279
    • /
    • 1996
  • 방사선은 DNA손상을 초래하고 세포 성장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조절 및 apoptosis등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본 연구는 신경계에 있어 방사선 조사 후 종양 발생율과 시간 경과의 관계 및 조사 양과 암 발생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코발트 60의 전신조사에 따른 흰쥐 뇌 조직의 생체 반응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조직의 jun 및 p53 유전자의 발현도를 1 Gy로 부터 100 Gy 범위의 감마선 용량별 및 1시간에서 6시간까지의 조사 훈 경과 시간 별로 Northern 분석하였다. Jun유전자 발현도는 ley이하에서 1시간 이내에 한계수준에 도달하였으며 30 Gy의 조사 1시간 째에 최대였다. 또한 조사 1시간 이후 1 Gy로부터 10 Gy 범위에서는 조사 5시간 및 6시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되었으나 20 Gy로부터 100 Gy 범위에서는 조사 2시간까지 증가 후 감소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p53유전자의 발현도는 1 Gy이하에서 1시간 이내에 한계 수준에 근접했고 1 Gy의 조사 후 6시간 째에 최대였다. 1 Gy로부터 40 Gy까지의 범위에서는 조사 5시간 및 6시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반면 50 Gy에서 100 Gy범위에서는 조사 2시간 째까지 증가 후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양이 높을수록 jun 및 p53유전자는 신속하게 최대로 발현되었고 감마선 조사양이 낮을수록 서서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jun유전자와 p53유전자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발현 양상에는 상호간의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