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jury Coefficient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6초

유통중 청과물의 진동 특성 연구 (I) - 실험적 해석에 의한 배의 진동특성 -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ruit and Vegetables during Transportation (I) - Vibration Charateristics of the Pear by Experimental Analysis -)

  • 김만수;정현모;김기석;박정길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2호
    • /
    • pp.175-18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청과물 포장설계시 중요한 자료가 되는 청과물의 공진 주파수 및 정점가속도 등의 진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적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청과물의 진동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구성하였으며, 장치의 제어와 계측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2. 공시된 배의 공진 주파수는 약 64.5~72.2Hz 범위이었으며, 정점가속도는 약 1.78~2.21G-rms 범위이었다. 3. 공시된 배의 공진 주파수 및 정점 가속도는 배의 질량과 체적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 배의 공진 주파수 및 정점 가속도와 기계적 특성들간에는 생물체항복변형량(BD) 및 극한변형량(RD)을 제외하고는 상관관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5. 본 실험의 목적은 과실의 공진 주파수를 구명하는 것으로 이 결과는 배의 운송 시 차량의 입력주파수와 배의 공진 주파수가 일치되어 공진으로 급격하게 가속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손상을 줄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일부 재해성 요부손상 환자의 심리적 특성 (Psychometric Charateristics of Occupational Low Back Pain Patients)

  • 하미나;조수헌;권호장;한상환;주영수;박남종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3호
    • /
    • pp.715-725
    • /
    • 1995
  • 산업재해성 요부손상 환자의 심리적 증상은 산업재해성 비요추 환자에 비하여 신체화 증상, 우울, 공포증, 정신증의 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직업과 관련없이 발생되어 의료보험으로 치료를 받는 비산업재해성 요부손상 환자에 비하여 신체화 증상, 우울, 불안, 편집증, 정신증의 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산업재해성 요부손상 환자의 심리적 증상은 휴직 기간과, 작업복귀 여부, 그리고 이 둘의 교호 작용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데, 휴직 기간이 길수록 또 현재 작업에 복귀하고 있지 않았을 경우에 심리적 증상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산업재해성 요부손상 환자에서 사회심리적 증상은 질병의 발생과 그것의 만성화에 따라 심화되며, 조기 작업복귀를 포함한 다차원적이고 포괄적인 재활 치료가 산업재해성 요부손상 환자의 관리에 성공적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인 기대여명의 한계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Limits to Life Expectancy)

  • 천성수;김정근
    • 한국인구학
    • /
    • 제16권2호
    • /
    • pp.65-83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stimate limits of Korean life expectancy at birth by 'Gompertz growth curse Model', 'Cause-Elimination Model' and Multidimensional models of Senescencee and Mortality'. Data used in Gompertz curve were obtained from all life tables published from 1905 to 1990 in Korea, and life expectancies at birth of eighteen groups were selected at five-year interval in consideration of time-series changes. Data used in Cause-Elimination Model ar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1991' published in 1992 by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Korea and 'life table of 1989' published in 1990 by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Economic Planning Board of Korea. The materials are all classifiable death data, 119, 253 cases of male and 82, 420 cases of female, which is from 1991 Causes of Death statistics. The cases of death analyzed belong to one of 8 categories; i.e., Infectious and Parasitic Diseases(001-139; with notation of Infectious Diseases), Malignant Neoplasms(140-208), Hypertensive Diseases(401-405), Ischemic Heart Dieases and Diseases of Pulmonary Circulation and Other Forms of Heart Diseases(410-429;with notation of Heart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s(430-438), Chronic Liver Diseases and Cirrhosis(571; with notation of Liver Diseases), Injury and Poisoning(800-999) and all other disease. Data used in 'Multidimensional models of senescence and mortality' were life table of 1989 published by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Economic Planning Board of Korea and life table of 1970, 1978-79, 1983, 1985 and 1987. The major findings may be summarised as follows: 1. Estimate equations of Gompertz growth curve using life expectancy at birth during the 1905-1990 period are as the following. Male : y = 88.047697 $\times$ $0.199690^{0.903381x}$ Female : y = 95.632828 $\times$ $0.199690^{0.903381x}$ Limits of life expectancy at birth, which were estimated by Gompertz growth curve, are 88.05 for male and 95.63 for female. 2. The effect on life expectancy at birth eliminationg all causes death is 14.04 years(for male) and 10.86 years(for female). Astonishingly, eliminating the malignant neoplasms increase life expectancy at birth by 2.85 years for male 2.03 years for female in 1991. In table 8 we show the effect on life expectancy at birth of separately eliminating each of the 8 categorical causes of death. The theoretical limit to life expectancy by Cause-Elimination Model is 80.96 for male and 85.82 for female. 3. If the same rate of delay [0.376 year(male), 0.435 year(femable) per calendar year] continued, then life expectancy at birth would reach 74.82(male) years and 84, 10(female) years in 2010. With 14.04-years(male) and 10.86-years(female) effect attributable in 2010 would be 88.86 years(male) and 94.96(femable) years. 4. 'Multidimensional models of senescence and death' permits calculations of the value of the attribution coefficient (B), percent of loss per year of physiologic function. The results of Ro and B during the 1970-1989 period are listed in table 9. Estimate of limit to Korean life expectancy at birth by 'Multidimensional models of senescence and death' is 99.47 years for male and 104.74 years for female in 1989.

  • PDF

도로기하구조가 기상상태에 따라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Road Geometry on the Injury Severity of Expressway Traffic Accident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 박수진;고승영;박호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2-28
    • /
    • 2019
  • 도로기하구조는 교통사고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요인 중 하나이지만, 동일한 도로기하구조 조건하에서도 기상상태에 따라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4년까지 14년간 전국 고속도로 사고자료와 기상자료를 매칭하여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도로기하구조와 기상상태의 상호작용이 사고심각도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개별사고 심각도 간의 지역별 상관성을 반영하기 위해 위계적 순서형 모형을 사용하였다. 위계적 모형 중에서도 도로기하구조와 기상상태의 상호작용 변수를 포함한 임의절편모형과 기상상태의 지역별 특성을 상위변수로 포함하는 임의계수모형을 모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톨게이트 및 램프구간, 내리막 경사 3%이상, 콘크리트 방호벽 등이 기상상태에 따라 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로기하구조와 기상상태의 복합적인 영향은 강우량 또는 강설량에 선형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안전개선 대책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교통사고 심각도 감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균형과 보행분석을 위한 스마트 인솔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 for Balance and Gait Analysis)

  • 이병권;한동욱;김창용;김기영;박대성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91-298
    • /
    • 2021
  • Purpose: The Pedisole is a newly developed shoe-mounted wearable assessment system for analyzing balance and gai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arameters provided by the system for static balance and gait analysis of healthy adul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8 healthy adults (22.4±1.9 years) with no history of injury in the lower limbs.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balance and gait tasks for undertaking measurements. For analysis of balance, both the smart Pedisole and Pedoscan systems were concurrently used to analyze the path length of the center of pressure (COP) and the weight ratio of the left and right for 10 s. Gait was measured using the smart Pedisole and GaitRite walkway systems simultaneously. The participants walked at a self-selected preferred gait speed. The cadence, stance time, swing time, and step time were used to analyze gait characteristics. Using the paired t-test, the intra-class coefficient correlation (ICC) was calculated for reliability. The Spearman correlation was used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s. In total, data for balance from 36 participants and the gait profiles of 37 participants were evaluate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P path lengths (p<.050) derived from the two systems,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for COP path length (r=.382~.523) for static balance. The ICC for COP path length and weight ratio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687, indicating moderate agreement in balance parameters. The ICC of gait parameters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697 except for stance time, a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r=.678~.922) with the GaitRite system. Conclusion: The newly developed smart insole-type Pedisole system and the related application are useful, reliable, and valid tools for balance and gait analysis compared to the gold standard Pedoscan and the GaitRite systems in healthy individuals.

Impact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with Lateral Collateral Ligament Injuries on Biochemical Alterations in the Cartilage of the Subtalar and Midtarsal Joints Based on MRI T2 Mapping

  • Hongyue Tao;Yiwen Hu;Rong Lu;Yuyang Zhang;Yuxue Xie;Tianwu Chen;Shuang Che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3호
    • /
    • pp.384-394
    • /
    • 2021
  • Objective: To quantitatively assess biochemical alterations in the cartilage of the subtalar and midtarsal joints in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CLAI) patients with isolated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ATFL) injuries and combined calcaneofibular ligament (CFL) injuries using MRI T2 mapping.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according to regulations of the Committee for Human Research at our institution, and written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all participants. Forty CLAI patients (26 with isolated ATFL injuries and 14 with combined ATFL and CFL injuries) and 25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ll participants underwent MRI scans with T2 mapping. Patients were assessed with the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rating system. The subtalar and midtarsal joints were segmented into 14 cartilage subregions. The T2 value of each subregion was measured from T2 mapping images. Data were analyzed with ANOVA, the Student's t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2 values of most subregions of the subtalar joint and the calcaneal facet of the calcaneocuboid joint in CLAI patients with combined CFL injuries were higher than those in healthy controls (all p < 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2 values in subtalar and midtarsal joints between patients with isolated ATFL injuries and healthy controls (all p > 0.05). Moreover, T2 values of the medial talar subregions of the posterior subtalar joint in patients with combined CFL injuri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AOFAS scores (r = -0.687, p = 0.007; r = -0.609, p = 0.021, respectively). Conclusion: CLAI with combined CFL injuries can lead to cartilage degeneration in subtalar and calcaneocuboid joints, while an isolated ATFL injury might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artilage in these joints.

조직병리와 비교한 죽상경화반의 가돌리니움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 토끼 대동맥을 이용한 생체 실험 (Gadolinium-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Atherosclerotic Plaques in Comparison with Histopathology: An In Vivo Study in Aorta of Rabbits)

  • 최병욱;허진;이혜정;김영진;김태훈;최규옥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3권1호
    • /
    • pp.81-87
    • /
    • 2009
  • 목적: 죽상경화반 유발 토끼 대동맥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가돌리니움 조영제에 대한 경화반의 조영증강에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고, 경화반 취약성의 대표적인 두 특징인 조직병리학적인 지질풍부 성분과 대식세포 풍부 성분과 비교하여 조영증강이 어떤 조직 소견에서 기인하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뉴질랜드 흰토끼 (4마리, 무게 3.0 $\sim$ 3.5 kg, 수컷)를 죽상경화반 모델로 사용하였다. 고콜레스테롤식이와 이중 풍선 손상을 이용하여 대동맥 죽상경화반을 유발하였다. 3-T 자기공명영상을 사용하여 가돌리니움 조영제를 투여하기 전과 후에 T1-강조영상을 얻었다. 자기공명영상과 상응하는 조직병리절편 (n=35)을 4개나 3개의 구역으로 나누었다 (n=130). 자기공명영상에서의 조영증강비 (ER, ER=SIpost/SIpre)를 각 구역마다 계산하여 조직병리의 지질풍부영역과 대식세포 풍부 영역과 비교하였다. 결과: 지질풍부 구역은 72개였고 섬유성구역은 58개였다. 대식세포풍부영역을 포함한 구역은 105개였고 포함하지 않은 구역은 25개였다. 조영증강비는 섬유성구역보다 지질풍부구역에서 높았다 (평균 조영증강비 2.25 $\pm$ 0.41 vs. 2.72 $\pm$ 0.65, p=0.013). 조영증강비는 지질성분을 제어했을 때 대식세포풍부영역과 잘 비례하지 않았다 (correlation coefficient -0.203, p=0.236). 결론: 표준 가돌리니움 기반의 세포외 조영제를 사용하였을 때 지질풍부 경화반은 섬유성 경화반보다 강한 조영증강을 보였다. 대식세포 침윤은 조영증강 정도와 비례하지 않았다. 초기부터 진행된 병기의 다양한 경화반 모델을 사용하고 조영증강과 관련된 모든 가능한 인자를 사용하여 조영제 투여 후 최적의 영상획득 시간을 결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총정맥영양법의 간담도 합병증에 대한 Ursodeoxycholic Acid 조기투여의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연구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Early Ursodeoxycholic Acid Administration for Prevention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Induced Hepatobiliary Complications)

  • 최연호;백남선;김지희;이숙향;박태성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2호
    • /
    • pp.174-180
    • /
    • 2002
  • 목 적: 총정맥영양법의 합병증인 간담도계 장애시 ursodeoxycholic acid (UDCA) 투여는 독성이 있는 내인성 담즙의 분비를 촉진하여 간손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합병증 발생 후 치료에 관한 것이어서 본 연구자들은 UDCA를 총정맥영양법의 시작과 동시에 조기 투여할 경우 그 예방효과를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연구로써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 5월부터 2002년 5월까지 10일 이상의 총정맥영양을 받은 1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정맥영양 시작과 동시에 UDCA를 투여받는 시험군 7명, 위약을 투여받는 대조군 6명을 이중맹검법으로 구분하였다. 연령은 생후 1일부터 13세까지이고 환아들의 진단은 경관영양이 불가능한 미숙아와 뇌성마비아, 만성설사, 거식증, 췌장염, 주기성 구토증 등이었다. 총정맥영양의 기간은 10일에서 70일까지였다. 주기적으로 간기능을 비롯한 검사항목등을 측정하였으며 총정맥영양의 기간, 조성, 투여속도, 열량 등이 조사 기록되었고 total bilirub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lkaline phosphatase에 대하여 군간 비교하였다. 결 과: Mixed procedure model을 이용한 분석에서 시험군을 reference로 하였을 때 대조군의 autoregressive coefficient 값은 total bilirubin의 경우 0.4419 (p=0.0651), AST는 -0.0431 (p=0.7923), ALT는 0.2398 (p=0.2416), 그리고 alkaline phosphatase는 0.2459 (p=0.1922)였다. 결 론: 총정맥영양과 UDCA를 초기부터 동시 투여하였을 때 total bilirubin은 대조군에 비하여 상승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 PDF

기계 호흡 중 불안정한 호흡역학을 보인 환자에서 압력조절용적조정양식(Pressure-regulated Volume Control Mode)의 효용 (The Usefulness of Pressure-regulated Volume Control(PRVC) Mode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with Unstable Respiratory Mechanics)

  • 손장원;고윤석;임채만;심태선;이종덕;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6호
    • /
    • pp.1318-1325
    • /
    • 1997
  • 연구배경 : 일정한 분시 유지하면서도 기도압의 하나인 압력조절용적조정양식(PRVC)의 입상적 유용성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본 연구는 호흡역학이 불안정한 환자에서 PRVC 양식이 원래의 개발 목적대로 압력 조절 양식에 비해 일호흡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용적조절양식에 비해 기도압을 낮게 유지하는지를 관찰하였다. 연구방법 : 기계 호흡 중이며 활력징후의 안정을 보이는 환자 중 15분간 관찰 결과 VCV에서 최고 홉기압의 변이계수가 10이상으로 최고 홉기압의 변화가 심하거나, PCV에서 상시 호흡량의 변이계수가 10이상으로 일 호흡량의 변화가 심한 환자 8 명(남 : 녀=6 : 2, $56{\pm}26$세)를 대상으로 하여 일호흡량을 비슷한 유지하도록 VCV, PCV, PRVC 양식을 설정한 후 각 환기양식에서 15분간 일호흡량과 최고 흡기압을 관찰하였다. 결 과 : 1) 평균 일호흡량은 VCV에서 $431{\pm}102ml$, PCV에서 $417{\pm}99ml$, PRVC에서 $414{\pm}97ml$였으며 각 환기양식 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상시 호흡량의 변이계수는 VCV에서 $5.2{\pm}3.9%$, PCV에서 $15.2{\pm}7.5%$ PRVC에서 $19.3{\pm}10.0%$로 PCV와 PRVC에서 상시 호흡량의 변화가 심하였다(p<0.01). 3) 평균 최고 홉기압은 VCV에서 $31.0{\pm}6.9cm$ $H_2O$, PCV에서 $26.0{\pm}6.5cm$ $H_2O$, PRVC에서 $27.0{\pm}6.4cm$ $H_2O$로 PCV와 PRVC의 최고 흡기압의 VCV의 경우보다 낮게 유지되었다(p<0.01). 4) 최고 홉기압의 변이계수는 VCV에서 $13.9{\pm}3.7%$, PCV에서 $4.9{\pm}2.6%$, PRVC에서 $12.2{\pm}7.0%$로 VCV와 PRVC에서 최고 홉기압의 변동이 심하였다(p<0.01). 결 론 : PRVC 양식은 호흡역학이 불안정한 환자에서는 VCV에 비해 평균 최고 홉기압은 낮게 유지하였으나 최고 흡기압의 변동이 심하였고, PCV에 비해 상시 호흡량의 변동이 심하여 이중조절환기양식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하악의 전산화 단층사진에서 횡단면이 임플랜트를 위한 가용골 높이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Axial Plane on Measurement of Available Bone Height for Dental Implant in Computed Tomography of the Mandible)

  • 진민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379-388
    • /
    • 2002
  • 임플랜트의 성공을 위해서 정확한 방사선학적 검사는 가용골의 높이와 하악관의 위치를 평가하고 중요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있어 필수적이다. CT촬영법 중 영상재구성법을 이용한 방법(CT/MPR)은 하악관의 위치를 잘 보여준다. 치아에 평행한 협설 단면 (cross-sectional plane)을 얻기 위해서는 횡단면(axial plane)이 교합면과 평행하도록 해야 한다. 횡단면(axial plane)이 교합면과 평행하지 않으면 재구성된 협설 단면(cross-sectional plane)은 계획된 fixture의 방향과 각을 이루게 되어 그 fixture의 실제 dimension을 보여주지 못하게 된다. 협설단면(cross-sectional view)에서 측정한 가용골 높이가 실제 가용골 높이보다 너무 큰 경우, 수술시 하악관을 침범할 가능성이 있게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하악 임플랜트 CT 촬영시 횡단면이 임플란트를 위한 가용골 높이의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하악 대구치 부위의 임플랜트를 계획하고 radiographic stent를 만든 후 치과 방사사선과에서 하악 임플랜트 CT를 촬영한 40명의 환자, 45개 부위를 선택하였다. 임플랜트 CT의 central panoramic view에서 치조정과 하악관, stent를 tracing한 후, 치조정과 하악관간의 거리(available bone height, ABH)를 재구성된 협설단면상에서 측정하였다(uncorrected ABH). 다음으로, .stent 방향으로 그은 직선상에서 측정하였다(corrected ABH). 두 거리사이의 각을 측정하였다. 두 거리로부터 각각 fixture의 길이를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가용골의 높이간에는 제 1 대구치와 제 2 대구치에서 모두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01). 차이가 1 mm 이상인 경우는 제 1 대구치에서 8.7%, 제 2 대구치에서 15.5% 였다. 차이가 2 mm 이상인 경우는 제 1 대구치에서 2.0%, 제 2 대구치에서 6.6%였다. 최대값은 제 1 대구치에서 2.5 mm, 제 2 대구치에서 2.2 mm 였다. 두 가용골의 높이차와 각과의 상관 관계는 제 1 대구치와 제 2 대구치에서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관 계수는 제 1 대구치에서 0.534, 제 2 대구치에서 0.728 였다. 제 2 대구치가 더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두 가용골의 높이로부터 결정한 fixture의 길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제 1 대구치에서는 24.4%, 제 2 대구치에서는 28.9%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