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itial impoundmen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초기 담수 중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슬래브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e Slab Deformation of Concrete Faced Rockfill Dams During Initial Impoundment)

  • 원명수;김형주;정영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29-139
    • /
    • 2015
  • 차수기능을 점토 코아 대신 상류사면의 콘크리트 슬래브로 수행하는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설계는 이론보다는 사례와 경험에 크게 의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CFRDs에서 준공 후 초기 담수기간에 계측된 데이터를 근거로 콘크리트 슬래브와 누수량 거동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슬래브의 변형률과 수직이음부의 수평변위는 미미하게 계절적인 온도 변화와 저수위면 증가에 의한 담수하중의 영향을 받고, 주변이음부의 변형은 온도 변화의 영향은 미미하고 담수하중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누수량은 담수하중에 따른 주변이음부의 변형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6개 다목적댐 저수지의 담수 전·후 수질 비교평가 (Water Quality Assessment for pre and post-Impoundment of 6 Multipurpose Dam Reservoirs in Korea)

  • 박재충;신재기;송영일;정용문;송상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1호
    • /
    • pp.89-96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variations of water quality caused by the dam construction on the river. Six dams-Yongdam, Miryang, Hoengseong, Boryeong, Jangheung and Buan- constructed recently in Korea were selected for the study. Chemical oxygen demand(COD) was increased in the initial stage of water storage at dams compared to the lotic(river) environment, but after 3 years it was maintained lower and stabilized concentrations. Five dams except for Jangheung Dam were maintained Ia~Ib grade conditions under the water quality criteria of Korea. The concentrations of total nitrogen(T-N) were decreased under the lentic(reservoir) environment compared to the river status. Total phosphorus(T-P) was decreased 13~63% at the reservoir condition. We concluded that increase of COD concentration was due to the debris organic materials of the land, but temporary phenomenon. T-N and T-P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at the lentic condition compared to the lotic.

초기 담수시 CFRD 거동 모사를 위한 원심모형실험 (Centrifuge Test for Simulating Behavior of CFRD During Initial Impoundment)

  • 서민우;김용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0호
    • /
    • pp.109-119
    • /
    • 2007
  • CFRD 형식의 댐 건설이 증가함에 따라 CFRD 거동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석 및 평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수위 변화에 따른 댐 거동은 댐 설계자와 관리자의 주요 관심사이지만, 국내의 경우 관련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아직도 많은 경우 국외 사례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차수벽 강성이 서로 다른 세 가지 원심모형실험을 통해 수위변화에 따른 CFRD 거동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원심모형실험은 국내에서 운영 중인 D댐의 1/2크기의 원형으로 수행되었으며, 모형 준비, 설계, 모형 구축, 계측기 설치, 실험 절차를 상세히 제시하였다. 콘크리트 차수벽은 3 종류의 유리섬유판을 통해 모사하였으며, 비행 중 수위조절을 위한 특별히 장치를 고안하였다. 국내 외 댐 계측사례를 수집 정리하여 본 원심모형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본 원심모형실험은 실제 댐 거동을 비교적 높은 정확도로 모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An experimental study on tailings deposition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of tailings dam saturation line

  • Wang, Guangjin;Tian, Sen;Hu, Bin;Kong, Xiangyun;Chen, Jie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3권1호
    • /
    • pp.85-92
    • /
    • 2020
  • This study adopted soil test and laboratory physical model experiments to simulate the tailings impoundment accumul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imilarity. Relying on the practical engineering, it analyzed the tailings deposition characteristics on dry beach surface during the damming process, as well as the variation rules of dam saturation lin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ailings particles gradually became finer along the dry beach surface to inside the impoundment. The particle size suddenly chang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deposited beach and the water surface, which displayed an obvious coarsening phenomenon. Besides, the deposited beach exhibited the vertical feature of coarse upward and fine downward on the whole. Additionally, in the physical model, the saturation line elevated with the increase in dam height, and its amplitude was relatively obvious within the range of 1.0-4.5 m away from the initial dam. Under flood condition, the saturation line height was higher than that under normal condition on the whole, with the maximum height difference of 4 cm. This study could provide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for further studies on dam failure experiments and the evolution rules of leaked tailings flow.

Design Optimization of an Ozone Contactor Using Ozone Contactor Model (OCM) Software

  • Kim, Doo-Il;Lee, Chae-Young;Joe, Woo-Hyeun;Lee, Seock-Heo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244-249
    • /
    • 2009
  • Designing an ozone contactor is complicated because the residual ozone, log C. parvum inactivation, and bromate formation should be optimized with fluctuating water quality. OCM software was developed to assist a plant designer or an operator to fulfill the sophisticated optimization required in the design or operation of a new or an existing plant. In this article, numerical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the OCM software for the design of a new ozone contactor under diverse design factors (i.e., three pHs, three temperatures, low and high dispersion numbers, and four and ten cells with complete mixing) with kinetic parameters obtained from the sand-filter effluent of a water treatment plant treating water from the Paldang impoundment.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suggested that a high residual ozone concentration at low pH and low temperature would be challenging, and PFR-like hydrodynamics could lower the residual ozone concentration. The inactivation of C. parvum oocysts increased at a lower pH. A lower dispersion number and more cell division increased the inactivation efficiency. Bromate was instantaneously formed during the initial ozonation stage. The effluent concentration was much lower than the regulatory levels imposed by the USEPA because of the low bromide level in raw water.

대청호 조류경보제의 녹조현상 동태와 강우-수문학적 영향 (Water-Blooms (Green-Tide) Dynamics of Algae Alert System and Rainfall-Hydrological Effects in Daecheong Reservoir, Korea)

  • 신재기;강복규;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9권3호
    • /
    • pp.153-175
    • /
    • 2016
  • 대청호는 담수 초기부터 부영양화와 녹조현상을 겪었고, 조류경보제는 1997년에 도입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우와 수문학적 요인이 녹조현상의 증감 변동과 조류경보제의 장기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청호에서 19년 (1997년~2015년) 동안 운영되어 온 조류경보제의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조류경보제의 총 발령횟수는 46회였고 8월과 9월에 각각 22회 (752일), 16회 (431일)로써 82.6%를 차지하였다. 이 기간에 빈도와 일수가 많았던 것은 강우, 유량 및 수위와 관련성이 컸다. 강우 및 수문사상은 장마와 태풍과 연관되어 6월~9월에 집중되었고, 총강수량은 연강수량의 69.9%를 차지하였다. 유입량의 증가는 강우의 강도, 빈도 및 그 양에 의존적이었다. 연간 총 유입량의 68.4%를 차지하여 저수지에서 수문변화가 가장 급변하는 시기였다. 총방류량도 강우량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고, 발전방류와 수문방류의 특성이 잘 나타났다. 또한, 상류 댐의 조절 방류로 인해 대청호의 상류수역은 녹조현상에 취약할 수 있었다. 조류경보 발령은 저수지의 수문-여수로 방류의 유무와 관련성이 컸다. 수문방류는 총 25회가 있었고, 연중 7월~9월에 17일로써 최대였다. 개방횟수와 기간은 각각 1회~4회와 3일~37일 범위였다. 수문을 개방하였을 때 경보를 울린 해는 13년이었다. 수문개방에 의한 수체 및 녹조의 이동은 비개방 때보다 약 5배 정도 빨랐고, 저수지 내 조류경보제 장기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녹조현상에서 CHU (소옥천의 추소리 수역)는 여전히 심각한 상태에 있으나, JAN (본류의 장계 수역)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조류경보제는 수문-여수로 방류를 중심으로 한 강우와 수문학적 영향을 반드시 고려하여 운영되어야 하겠다. 무엇보다 녹조현상의 대응책에 우리나라의 유역과 저수지 특성에 적합한 육수학적 대책이 포함되어야 하겠으며, 이제부터라도 조류경보제 운영지점에 녹조가 도착하기를 기다리는 것보다 장마 전에 녹조현상의 촉발에 근본적 원인이 되는 저수지 내 우심수역의 체계적 관리와 가이드라인이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