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aled corticosteroid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6초

Respiratory Reviews in Asthma 2013

  • Kim, Tae-Hy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6권3호
    • /
    • pp.105-113
    • /
    • 2014
  • From January 2012 up until March 2013, many articles with huge clinical importance in asthma were published based on large numbered clinical trials or meta-analysis. The main subjects of these studies were the new therapeutic plan based on the asthma phenotype or efficacy along with the safety issues regarding the current treatment guidelines. For efficacy and safety issues, inhaled corticosteroid tapering strategy or continued long-acting beta agonists use was the major concern. As new therapeutic trials, monoclonal antibodies or macrolide antibiotics based on inflammatory phenotypes have been under investigation, with promising preliminary results. There were other issues on the disease susceptibility or genetic background of asthma, particularly for the "severe asthma" phenotype. In the era of genome and pharmacogenetics, there have been extensive studies to identify susceptible candidate genes based on the results of genome wide association studies (GWAS). However, for severe asthma, which is where most of the mortality or medical costs develop, it is very unclear. Moreover, there have been some efforts to find important genetic information in order to predict the possible disease progression, but with few significant results up until now. In conclusion, there are new on-going aspects in the phenotypic classification of asthma and therapeutic strategy according to the phenotypic variations. With more pharmacogenomic information and clear identification of the "severe asthma" group even before disease progression from GWAS data, more adequate and individualized therapeutic strategy could be realized in the future.

Relationship between Exhaled Nitric Oxide and Levels of Asthma Control in Asthma Patients Treated with Inhaled Corticosteroid

  • Han, Chang-Hee;Park, You-Il;Kwak, Hyun-Jung;Kim, Sa-Il;Kim, Tae-Hyung;Sohn, Jang-Won;Yoon, Ho-Joo;Shin, Dong-Ho;Park, Sung-Soo;Kim, Sang-He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2호
    • /
    • pp.106-113
    • /
    • 2011
  • Background: While asthma control is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the various manifestations of asthma are reduced by treatment, current guidelines of asthma recommend assessment of asthma control without consideration of airway inflammation. Our aim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FeNO), a reliable marker of airway inflammation, and levels of asthma control in patients treated with inhaled corticosteroids (ICS). Methods: We enrolled 71 adult patients with asthma who had been treated with ICS for more than four months. FeNO was measured and spirometry was performed at the time of enrollment. Asthma control was assessed (a) by the physician based on the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guidelines, (b) by the patients, and (c) by using the Asthma Control Test (ACT).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i) FeNO and (ii) measures of asthma control and clinical indices for asthma manifestation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NO levels between the three groups according to levels of asthma control (controlled, partly controlled and uncontrolled) as determined by the physician (p=0.81), or by the patients (p=0.81). In addition, FeNO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CT scores (r=0.031, p=0.807), while FeNO showed a correlation with peripheral blood eosinophil counts (p<0.001). Conclusion: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FeNO levels are not associated with measures of asthma control in patients treated with ICS. Information on airway inflammation from FeNO concentrations seems to be unrelated to levels of asthma control

최근 10년간 천식환자에서 흡입 스테로이드제 처방 빈도와 중증 악화 빈도의 추세 분석 (Recent 10 Years' Trend Analysis of Inhaled Corticosteroids Prescription Rate and Severe Exacerbation Rate in Asthma Patients)

  • 노창석;이재승;송진우;김태범;김남국;조유숙;이상도;문희범;오연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5호
    • /
    • pp.416-422
    • /
    • 2011
  • Background: Inhaled corticosteroids (ICSs) are the most essential medication for asthma control. Many reports suggest that the usage of ICSs improves not only the control of asthma symptoms but also prevents exacerbation. We investigated whether increases in ICS prescriptions are associated with decreases in asthma exacerbation in the clinical practice setting.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atabase of adult asthma patients who had visited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the Asan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9. The number of emergency department (ED) visits, admissions, intensive care unit (ICU) care, deaths, and ICS prescription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time trend of asthma exacerbation as a function of the ICS prescription rate during the ten years. Results: The numbers of ED visits, admissions, and episodes of ICU care decreased during the ten years (p<0.001, p=0.033, p=0.001, respectively) while the number of ICS prescriptions increased (p<0.001). We found a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ICS prescriptions and the number of ED visits, admissions, or ICU care. For these outcom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r=-0.952, p<0.001; r=-0.673, p=0.033; r=-0.948, p<0.00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number of ICS prescriptions increased during the past ten years while the number of asthma exacerbations decreased. Our results also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CS prescription rate and asthma exacerbation in the clinical practice setting. In other words, an increase in ICS prescription may be a major cause of a decrease in asthma exacerbations.

소아 증식성 기관지염 2례 (Plastic bronchitis in children: 2 cases)

  • 김여향;최희정;김정옥;현명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7호
    • /
    • pp.832-836
    • /
    • 2009
  • 증식성 기관지염(plastic bronchitis)는 기관지 내부에 폐쇄성 원주(cast)를 만드는 드문 질환으로 천식이나 선천성 심장병의 폰탄 수술 후 합병증으로 생길 수 있다. 증식성 기관지염의 치료는 원주를 스스로 뱉거나 기관지경으로 제거해주는 고식적인 치료와 새로 개발된 약제를 사용하는 단기 및 장기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저자들은 기저 질환이 없이 갑작스런 호흡 부전과 왼쪽 폐 전체의 무기폐를 보인 8세 남아와 폰탄 수술 병력이 있고 반복되는 오른쪽 중엽과 하엽의 무기폐를 보인 5세 여아에서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 기관지내 원주를 확인하였고, 조직학적 검사에서 호산구, 호중구, 임파구와 같은 염증 세포를 포함한 점액질과 섬유질로 구성되어 있어 증식성 기관지염으로 진단후 재발 방지를 위해 흡입용 스테로이드와 저용량 경구용 clarithromycin을 사용한 경험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ummary of Korean Asthma Guideline

  • Chin Kook Rhee;Ji-Yong Moon;Hyonsoo Joo;Ji Ye Jung;Jung-Kyu Lee;Kyung Hoon Min;Hyeon-Kyoung Koo;Seong Yong Lim;Hyoung Kyu Yoon;Sang Yeub Lee;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KATRD)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6권3호
    • /
    • pp.158-165
    • /
    • 2023
  • Asthma is a chronic inflammatory airway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variable airflow obstruction. The Korean Asthma Study Group of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has recently updated the Korean Asthma Guideline. This review summarizes the updated Korean Asthma Guideline. Asthma prevalence is increasing worldwide, and in Korea. Variable airflow obstruction can be confirmed by bronchodilator response or other tests, and should be established prior to the controller medication. A low-dose inhaled corticosteroid-formoterol is used to alleviate symptoms in all treatment step, and it can be used as a controller as well as reliever in steps 3-5. This approach is preferred, because it reduces the risk of severe exacerbations, compared to the use of short-acting β2-agonist as reliever. In severe asthma, phenotype/endotype based on the underlying inflammation should be evaluated. For type 2 severe asthma, the biologics should be considered.

Short-acting β2-agonist prescriptions in patients with asthma: findings from the South Korean cohort of SABINA III

  • Kwang-Ha Yoo;Sang-Ha Kim;Sang-Heon Kim;Ji-Yong Moon;Heung-Woo Park;Yoon-Seok Chang;Maarten J.H.I Beekman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 /
    • 제39권1호
    • /
    • pp.123-136
    • /
    • 2024
  • Background/Aims: Despite short-acting β2-agonist (SABA) overuse being associated with poor asthma outcomes, data on SABA use in South Korea is scarce. Herein, we describe prescription patterns of SABA and other asthma medications in patients from the South Korean cohort of the SABA use IN Asthma (SABINA) III study.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ith asthma aged ≥ 12 years, who had ≥ 3 consultations with the same healthcare provider, and medical records containing data for ≥ 12 months prior to the study visit. Patients were classified by investigator-defined asthma severity (per 2017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recommendations) and practice type (primary or specialist care). Data on disease characteristics, asthma treatments, and clinical outcomes in the 12 months before the study visit were collected using electronic case report forms. Results: Data from 476 patients (mean age, 55.4 years; female, 63.0%) were analyzed. Most patients were treated by specialists (83.7%) and had moderate-to-severe asthma (91.0%). Overall, 7.6% of patients were prescribed ≥ 3 SABA canisters (defined as over-prescription). In patients prescribed SABA in addition to maintenance therapy, 47.4% were over-prescribed SABA. Most patients (95.4%) were prescribed a fixed-dose combination of an inhaled corticosteroid and a long-acting β2-agonist as maintenance therapy. Although asthma was well-controlled/partly-controlled in 91.6% of patients, 29.6% experienced ≥ 1 severe asthma exacerbation. Conclusions: SABA over-prescription was reported in nearly 50% of patients prescribed SABA in addition to maintenance therapy, underscoring the need to align clinical practices with the latest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and educate physicians and patients on appropriate SABA use.

천식환자에서 Fluticasone propionate와 Beclomethasone dipropionate의 치료효과 비교 (Fluticasone Propionate and Beclomethasone Dipropionate in Asthmatic Patients)

  • 양동규;김영삼;안철민;고원기;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5호
    • /
    • pp.629-641
    • /
    • 1999
  • 연구배경: 스테로이드는 천식의 장기적인 치료에 사용하는 약물로 치료효과는 기도에 대한 항염증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luticasone propionate(FP)는 치료효과가 크고 주로 폐에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약물로서 beclomethasone dipropionate(BDP)에 비해 2배 정도의 역가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를 통해 FP와 BDP의 치료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50명의 천식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에게 무작위적으로 FP 혹은 BDP를 4주 동안 투여하였다. 처음 2주간의 Run-in period에는 $\beta_2$-기관지확장제반을 투여하였고 그 후 무작위적으로 FP 또는 BDP를 투여하였다. FP는 diskhaler를 이용하여 하루 2 회 $250{\mu}g$씩 총 $500{\mu}g$을 투여하였고, BDP는 reservoir dry-power device-RPD 를 이용하여 하루 2회 $400{\mu}g$씩 총 $800{\mu}g$을 투여하였다. Run-in period 및 치료 기간 종에 매일 아침과 저녁의 최고호기유량과 주간과 야간의 천식증상점수, 주간과 야간의 응급 & 기관지확장제 사용횟수 등을 측정하였다. $FEV_{1.0}$과 FVC는 치료시작전과 치료 후 2주 간격으로 3 회 측정하였다. 결 과: FP를 투여한 환자 중 3 명과 BDP를 투여한 환자 중 7명이 탈락되어, 총 40명의 천식환자를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FP 및 BDP 투여 후에 아침과 저녁의 최고호기유량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최고호기유량의 일중변이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폐기능 검사 결과 $FEV_{1.0}$은 FP를 투여한 군에서 증가하고, FVC는 양 군에서 모두 증가하지 않았다. 주간 및 야간의 천식증상 점수가 호전되고, 응급 $\beta_2$-기관지확장제 사용횟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두 군 사이의 치료효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고호기유량의 증가, 일중변이의 감소, 증상의 호전 및 응급 $\beta_2$-기관지확장제 사용횟수의 감소는 FP를 투여한 군에서 더 빨리 나타났다. 결 론: 천식환자에게 매일 FP $500{\mu}g$과 BDP $800{\mu}g$을 투여하였을 때, 두 군간의 치료효과는 유사하였다. 효과는 FP를 투여한 군에서 더 빨리 나타났고 부작용으로 치료를 중단한 경우는 없었다.

  • PDF

중등증 이상의 COPD 환자에서 흡입용 스테로이드와 지속성 β2-항진제 복합제제사용시 용량의 차이가 급성악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bination Therapy of Inhaled Corticosteroids and Long-acting Beta2-agonists on Acute Exacerbation in Moderate to Severe COPD Patients)

  • 정혜철;하은실;정진용;이경주;이승현;김세중;이은주;허규영;이승룡;김제형;이상엽;신철;심재정;인광호;강경호;유세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2호
    • /
    • pp.164-169
    • /
    • 2005
  • 연구배경 : ICS/LABA는 천식에서 효과가 입증되었으나 COPD에서는 덜 알려져 있다. 최근 COPD 환자에서 고용량의 ICS/LABA의 사용시 급성악화를 줄인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등도와 고용량의 ICS/LABA사용시 용량에 차이에 따른 COPD의 급성악화를 비교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 1일부터 2004년 8월 31일 사이에 고대안암병원에 내원하여 진단된 46명의 중등증 이상의 COPD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flu/sal $250{\mu}g/50{\mu}g$ 하루 2번 사용한 군(A군)과 flu/sal $500{\mu}g/50{\mu}g$ 하루 2번 사용한 군(B군)으로 나누어 1년 기간 동안 급성악화의 횟수 및 입원 횟수, 처음악화까지 걸린 기간을 분석하였다. 결 과 : A 군 26명중 11명에서 급성악화를 경험하였고, 평균 악화 횟수는 0.96회, 입원횟수는 0.15 회였다. B군 20명중 11명에서 급성 악화를 경험하였고 평균 악화 횟수는 1.05회, 입원횟수는 0.30 회였다.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처음악화까지 걸린 시간도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중등증 이상의 COPD 환자에서 ICS 와 LABA 복합제제를 사용 할 때 고농도와 중등도 용량에서 급성 악화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향후 COPD 에서 ICS/LABA 사용시 효과적인 용량에 대한 연구가 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흡입용 스테로이드인 Budesonide 6주 치료가 기관지 천식환자의 기관지 과민반응과 부신피질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6 Weeks of Treatment with Inhaled Budesonide o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d Adrenal Function in Asthmatic Patients)

  • 김관형;오용석;김치홍;권순석;김영균;한기돈;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3호
    • /
    • pp.219-227
    • /
    • 1992
  • 연구배경 : 기관지 천식의 병인에 염증반응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고 염증을 억제하기 위해 스테로이드제제가 치료제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흡입용 스테로이드는 전신적 부작용이 적어 경구용 스테로이드보다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하여는 아직 논란이 많다. 이에 저자들은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흡입용 스테로이드인 budesonide의 효과와 전신적 부작용의 지표로서 부신피질-뇌하수체축에 대한 영향을 알고자 본 실험을 했다. 방법 : 강남성모병원에 내원한 기관지 천식환자 23명에서 내원당시, placebo투여 2주후, budesonide투여후 3주와 6주에 임상증상, 폐기능 검사, 히스타민 기도 유발검사, 오전 8시와 오후 4시의 ACTH 및 cortisol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1) 폐기능의 변화 : PEFR, FEV1, FVC가 budesonide 치료 3주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치료전보다 의미있는 개선효과가 있었다. 2) 증상의 변화 : 호흡곤란 치료후 3주일과 6주일후에 의미있는 증상의 개선이 있었다. 객담 : 치료후 3주일과 6주일에 치료전보다 의미있는 증상의 개선이 있었다. 수포음 : 치료후 3주일과 6주일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3) 히스타민 기도 유발 시험 : 치료 3주일에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치료 6주일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4) 혈중 Cortisol의 변화 : Budesonide 6주일 치료후에 오전 8시와 4시의 cortisol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5) 혈중 ACTH의 변화 : Budesonide 6주 치료 전후의 혈중 ACTH에는 영향이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기관지 천식의 치료에 흡입용 스테로이드인 budesonide는 하루 $800{\mu}g$씩 투여할 경우 치료후 3주일부터 유의한 증상의 개선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6주일후에는 3주일보다 임상증상이 더욱 개선되고, 부신피질-뇌하수체축에는 뚜렷한 억제능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한 천식과 골다공증과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of Asthma and Osteoporosis in the Residents of the Local Community)

  • 박경용;이석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3호
    • /
    • pp.316-323
    • /
    • 2009
  • 본 연구는 천식과 골다공증유병유무와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골다공증의 예방 및 관리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의 기초 자료는 ‘200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를 이용하였다. 조사 시기는 2008년 9월부터 2008년 11월 까지였고, 충남의 7개 군 및 대전시 서구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주민 6,3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천식이 있다고 응답한 203명 및 골다공증이 있다고 대답한 465명의 특성을 질병이 없는 군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천식 유병유무와 골다공증 유병유무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천식대상자 중에서 천식치료여부와 골다공증 유병유무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추가로 좀 더 광범위한 연구 분석과 추적조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