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relevance

검색결과 806건 처리시간 0.023초

Beyond Categories: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Social Representations of Information Users' Collective Perceptions on 'Relevance'

  • Ju, Boryung;O'Connor, Daniel O.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권2호
    • /
    • pp.16-35
    • /
    • 2013
  • Relevance has a long history of scholarly investigation and discussion in information science. One of its notable concepts is that of 'user-based' relev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users construct their perspective on the concept of relevance; to analyze what the constituent elements (facets) of relevance are, in terms of core-periphery statu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constructions of two groups of users (information users vs. information professionals) as applied with a social representations theory perspec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244 information users and 123 information professionals through use of a free word association method. Three methods were employed to analyze data: (1)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elicit 26 categories (facets) of the concept of relevance; (2) structural analysis of social representations was used to determine the core-periphery status of those facets in terms of coreness, sum of similarity, and weighted frequency; and, (3) maximum tree analysis was used to present and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Elicited categories in this study overlap with the ones from previous relevance studies, while the findings of a core-periphery analysis show that Topicality, User-needs, Reliability/Credibility, and Importance are configured as core concepts for the information user group, while Topicality, User-needs, Reliability/Credibility, and Currency are core concepts for the information professional group. Differences between the social representations of relevance revealed that Topicality was similar to User-needs and to Importance. Author is closely related to Title while Reliability/Credibility is linked with Currency. Easiness/Clarity is similar to Accuracy. Overall, information users and professionals function with a similar social collective of shared meanings for the concept of relevance. The overall findings identify the core and periphery concepts of relevance and their relationships in terms of coreness, similarity, and weighted frequency.

영상에 대한 Semantics 축적이 가능한 Relevance Feedback (Semantics Accumulation-Enabled Relevance Feedback)

  • 오상욱;설상훈;정민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306-1313
    • /
    • 2005
  • Relevance Feedback(RF)은 사용자의 인지적 피드백(perceptual feedback)을 사용하는 영상 검색 기법 중의 하나로서,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얻게 되는 적합성 정보(relevance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사용자 질의(query)를 점진적으로 구체화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RF 기법에서는 이러한 적합성 정보가 매우 유용한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검객이 끝나는 순간 없애버리고 만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인지적 피드백 정보를 버리지 않고, 저장하는 새로운 개념의 RF를 제안한다. 새로 제안된 RF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축적되어 저장된 상위 레벨의 적합성 정보(high-level relevance information)를 하위 레벨의 특징벡터(low-level feature vectors)와 동적으로(dynamically)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검색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제안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 결과도 제시한다.

  • PDF

적합 판단 영향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Review of Relevance Judgments)

  • 유재옥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3-163
    • /
    • 1996
  • 정보검색시스템평가에서 적합 판단(relevance judgments)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 이유는 적합 판단의 결과에 따라 탐색성능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적합 판단과 관련하여 적합 개념의 이론적 배경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적합개념이 적합판단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적합 판단과정에서 판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는 문들에 관한 문헌조사연구 결과는 적합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다음의 네 종류의 변인이 파악되었다. 즉, 적합 판단근거로 제시되는 문헌대용물의 종류, 제시순서, 적합측정도구, 판단자 변인의 네 변인들은 적합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메시지 유형의 브랜드태도효과에서 자긍심을 느낀 소비자의 객체관련성의 역할 (Effects of Pride, Object Relevance and Message Type on Brand Attitude)

  • 최낙환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6호
    • /
    • pp.57-64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and message type on the object relevance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and to identify the mediation role of the object relevance in the effect of the message type on brand attitud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ypes of pride are classified into hubristic pride and authentic pride, and brand message types are divided into ability message and warmth message. Restaurant brand was selected by empirical study, an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2 (pride type: hubristic versus authentic) × 2 (message type: ability message versus warmth message) between-subjects design.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consisted of the undergraduates taking courses related to marketing. A preliminary step was taken to explore the difference in the perceived level of object relevance induced from each type of message between the consumer group that felt hubristic pride and the other group that felt authentic pride.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role of the object relevance in the effects of the message type on brand attitude by means of Bootstrap method for each of the pride groups. Results -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are summed up as follows. Regardless of pride types they felt in advance, consumers perceived their object relevance to be higher in the warmth information message than in the ability information message, and object relevance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It was analyzed that, regardless of pride types, object relevance played full mediation roles in the effect of warmth information versus ability information message on brand attitude.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it may be suggested that marketers of a brand should endeavor to develop a warmth information message rather than a ability information message to prompt consumers to perceive the object relevance between their own brands and consumers, regardless of pride types, as long as a consumer feels pride in adv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ir brand, the brand marketers are solicited to check the object relevance between their brand and consumers, then, seek for the managerial ways to promote such object relevance.

코스닥시장에서 회계정보의 매매관련성에 관한 연구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KOSDAQ)

  • 윤성용;박종혁;이호섭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5권
    • /
    • pp.203-222
    • /
    • 2008
  • This thesis examines whether accounting information-earnings and book values-has the value relevance in the KOSDAQ. The study is motivated by previous studies which have examined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Prior researches have focused on KSE(Korea Stock Exchange). But, prior researches have not examined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KOSDAQ. So, this study examined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which is disclosed by firms on KOSDAQ and whether accounting information between firms on KOSDAQ and KSE has the discriminative value relevance, underlying the expectation that KOSDAQ firms will have higher future profitability than KSE firms. In other words, book-value multiples of KOSDAQ firms is higher than book-value multiples of KSE firms and earnings multiples of KOSDAQ firms is lower than earnings multiples of KSE firms.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examined by a valuation framework presented by Ohlson(1995), which expresses the stock-price as a function of both earnings and book values of equ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accounting information of KOSDAQ has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stock price over the 2005-2007 period. KOSDAQ firm are divided by Venture firms and Small to Mid size firms. KOSDAQ Venture firms have the discriminative value relevance, compared with KSE firms. But, KOSDAQ Small to Mid size firms have not the discriminative value relevance, compared with KSE firms.

  • PDF

정보검색에서의 사용자 중심 적합성 판단 모형 (User-centered relevance judgement model for information retrieval)

  • 박정아;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489-500
    • /
    • 2009
  • 본 연구는 정보검색의 핵심 개념인 적합성을 사용자 중심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이다. 적합성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적합성 판단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기준들을 정의해 왔다. 본 연구는 적합성 유형별로 사용자가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준과 적합성 유형 간의 관계를 정보 검색 과제별로 연구함으로써 사용자 중심 적합성 판단 모형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7개의 사용자 적합성 판단 기준-주제성, 신선성, 신뢰성, 이해가능성, 특수 성, 구체성, 흥미성-과 3가지의 사용자 적합성 유형-인지 적합성, 상황 적합성, 정서 적합성-을 고려하였다. 이를 대학생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검색 과제 수행 후 설문에 답하는 반 제어(semi-controlled) 설문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제성, 신뢰성은 모든 검색 과제에 중요한 적합성 판단 기준이었고, 과제 유형별로 볼 때 사실 검색 과제에서는 주제성, 신뢰성, 신선성, 구체성, 흥미성이, 문제 해결 검색 과제에서는 주제성, 신뢰성, 이해가능성, 특수성이, 의사 결정 검색 과제에서는 주제성, 신뢰성, 신선성, 이해가능성, 구체성, 특수성, 흥미성이 적합성을 판단하는 주요 기준들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적합성 유형들 간의 관계도 실증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적합성 판단 기준과 적합성 유형 간의 관계를 정보 검색 과제별로 확인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사용자 중심의 적합성 판단 모형을 확립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PDF

통합 검색 환경에서 이용자 적합성 판단 기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 (Users' Relevance Criteria in Universal Search in Korea : An Exploratory Study)

  • 박정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3-133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 통합 검색 환경에서의 이용자 적합성 판단 기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10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semi-structured) 인터뷰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참가자들은 네이버, 다음 등과 같은 통합 검색 환경에서 본인들이 관심 있거나 필요로 하는 다양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과정에서 문서가 적합한지와 그 판단 기준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8개의 적합성 판단 기준과 비적합성 판단 기준, 그리고 검색 환경이 변화하여도 이용자가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준들이 크게 변화하지는 않지만 데이터 증가와 이용자 요구의 고도화로 특수성과 구체성이 중요한 적합성 판단 기준으로 부각되는 점을 발견하였다.

조세전략의 지속가능성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stainable Tax Strategies on Value Relevance)

  • 마희영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9권3호
    • /
    • pp.71-82
    • /
    • 2018
  • This study verifies whether the sustainable tax strategy provides unique information on earnings persistence and brings about the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Sustainability is measured by the 5-year coefficient of variation in cash ETR, such as in McGuire et al.(2013), which measures variability in long-term performance of tax avoidance.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this study is modified by the Ohlson model(1995), which explains the value of the firm by using accounting information such as net assets and net income and other non-accounting information. The samples of this study are the firms listed on the securities market from 2004 to 2015 and the final samples are 3,133 firm-year.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ncreases as firms have long-term and sustainable tax strategies. Most of the prior studies on tax strategies have examined the tax minimization strategy that minimizes the tax cost. However, this study is different in that the sustainability of the tax strategy affects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users to make decision using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상이한 적합성 판정과 전문검색시스템의 평가에 관한 연구 (Variations in relevance assessments and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full-text retrieval system)

  • 문성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3-141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문헌의 전문을 대상으로 얻어진 4개의 상이한 적합성 판정 세트가 전문검색시스템의 검색효율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각 적합성 판정 세트간의 검색효율성에는 주목할 만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적합성 개념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검색효율성의 평가에는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적합성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정교한 검색기법인 적합성 피이드백을 통합한 검색실험은 계속 연구되어야 할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 PDF

유사문헌집단에서 적합/부적합정보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ty of Relevance/Non-relevance Information in Homogeneous Documents)

  • 문성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7-29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문헌의 적합성수준을 적합성정도에 따라 4그룹(부적합한, 조금 적합한, 적합한, 매우 적합한)으로 나눈 후 서로 다른 심사자가 적합성 판정을 내린 4개의 적합성 판정세트(A, B, C, D)에서 "조금 적합한" 문헌을 부적합문헌으로 분류했을 때와 적합문헌으로 분류하였을 때에, 초록/표제 시스템과 전문검색시스템에서 적합성피드백으로 인한 검색효율성의 증진은 어느 쪽이 더 혜택을 받게 되는 지를 연구하였다. "조금 적합한" 문헌을 적합문헌으로 포함시켰을 때 초록/표제시스템이 전문검색시스템보다 모든 적합성판정세트에서 검색효율성의 증가율이 높았고, 반면에 전문검색시스템에서는 "조금 적합한" 문헌을 적합문헌그룹에서 제외시켰을 때 검색효율성의 증가율이 일관성 있게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전문검색시스템에서는 적합문헌으로 포함된 "조금 적합한" 문헌으로부터 얻어지는 적합성피드백 정보는 잡음의 역할을 하게 되어 검색효율성의 증진에 도움이 안 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특히, 매우 동질적인 문헌을 색인 및 검색대상으로 하고 있는 전문검색시스템에서는 잡음에 의해 초래되는 낮은 정확률을 개선하는 정교한 검색기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