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Projection

검색결과 1,038건 처리시간 0.036초

순차영역분할과 투영정보를 이용한 영상검색 (Image Retrieval Using Sequential Clustering and Projection Information)

  • 원혁준;김태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906-91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영상검색 방법의 하나인 내용에 기반을 둔 검색방법으로 순차영역분할과 투영정보를 이용 한 영상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순차 분할된 영역의 색상평균값과 각 영역의 투영정보를 이용한 방법으로 영상의 공간정보와 컬러정보를 효과적으로 결합한 방법이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 보다 검색효율이 $11.6\%$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상의 밝기변화, 회전, 카메라의 위치 및 확대, 축소에 따른 영상의 공간변화에도 매우 강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용자의 성격에 따른 정보의 통제와 투사 전략: 인상관리를 위한 소셜미디어의 활용 (Information Suppression and Projection Strategies Depending on Personality Traits: Using Social media for Impression Management)

  • 윤혜정;이한별;이중정
    • 지식경영연구
    • /
    • 제18권3호
    • /
    • pp.147-162
    • /
    • 2017
  • As social media started to work as important communication tools, social media users have tried to manage their image, identity, and impression through social media. Social media service providers have been interested in providing various functions effectively disclosing users' emotion, such as posting, commenting, and sharing content; on the other hand, relatively few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vide social media functions for information suppression. In this study, therefore, we attemp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book users' personality and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Personal traits of users including public self-consciousness, positive self-expression, and honest self-expression were consid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are composed of two variables, which are suppression and proje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30 Facebook user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positive self-expression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formation suppression while both positive and honest self-express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formation projection.

양자화 제약 집합에 투영을 이용한 벡터 양자화된 영상의 후처리 (Post-processing of vector quantized images using the projection onto quantization constraint set)

  • 김동식;박섭형;이종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662-674
    • /
    • 1997
  • In order to post process the vector-quantized images employing the theory of projections onto convex sets or the constrained minimization technique, the the projector onto QCS(quantization constraint set) as well as the filter that smoothes the lock boundaries should be investigated theoretically. The basic idea behind the projection onto QCS is to prevent the processed data from diverging from the original quantization region in order to reduce the blurring artifacts caused by a filtering operation. However, since the Voronoi regions in order to reduce the blurring artifacts caused by a filtering operation. However, since the Voronoi regions in the vector quantization are arbitrarilly shaped unless the vector quantization has a structural code book,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ion onto QCS is very complicate. This paper mathematically analyzes the projection onto QCS from the viewpoit of minimizing the mean square error. Through the analysis,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projection onto a subset of the QCS yields lower distortion than the projection onto QCS does. Searching for an optimal constraint set is not easy and the operation of the projector is complicate, since the shape of optimal constraint set is dependent on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ltered and original images. Therefore, we proposed a hyper-cube as a constraint set that enables a simple projection. It sill be also shown that a proper filtering technique followed by the projection onto the hyper-cube can reduce the quantization distortion by theory and experiment.

  • PDF

프로젝션 화면에서 전경물체 검출 (Foreground object detection in projection display)

  • 강현;이창우;박민호;정기철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1권1호
    • /
    • pp.27-37
    • /
    • 2004
  • 색상 정보를 이용한 프로젝션 화면(projection display)상의 전경물체 검출(foreground object detection)은 조명 변화나 복잡한 배경 때문에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터의 입력 영상과 프로젝션 화면을 촬영한 카메라 영상들로부터 얻어진 색상 정보를 이용한 전경물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두 영상사이에 기하 왜곡과 색상 왜곡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두 영상사이의 관련된 화소를 찾기 위해 투영변환방법(projective transformation)을 사용하여 기하 왜곡을 보정한다. 프로젝션화면상에 전경물체가 없을 때 관련된 화소사이의 색상 차이를 프로젝션 화면상의 자연스러운 왜곡으로 모델링한다. 이를 다항식 근사 방법(polynomial fitting)으로 모델링한다. 영상 내 어떤 위치에서 관련된 화소 사이의 차이가 주어진 다항식에서 예측된 색상차이보다 클 때 전경물체가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실험 및 결과에서 제안된 전경물체 검출 방법이 디지털 데스크(DigitalDesk)같은 프로젝션 화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가변 차원 인접투사 알고리즘 (Variable Dimension Affine Projection Algorithm)

  • 최훈;김대성;배현덕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0권5호
    • /
    • pp.410-416
    • /
    • 2003
  • 인접투사 알고리즘(Affine Projection Algorithm: APA)에서 투사 차원은 적응필터 계수갱신에 사용하는 입력 벡터 요소 수이며, 이는 계수갱신을 위해 사용되는 투사 기저의 개수이다. 그리고 투사차원은 적응 필터의 수렴속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알고리즘에서 필요한 계산량을 결정한다. 적응필터가 수렴함에 따라 수렴속도가 감소하게 되므로, 수렴속도를 결정하는 투사차원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적응필터 계수갱신 시 계수벡터의 변화량을 수렴속도와 연관시켜 인접투사 알고리즘의 투사차원을 조정하는 가변 차원 인접투사 알고리즘(Variable Dimension APA: VDAPA)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적응필터의 수렴정도에 따라 투사 기저 수를 조정함으로써 APA의 계산량을 줄인다.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인접투사 알고리즘 및 NLMS 알고리즘과의 수렴속도, 계산량 면에서 성능을 비교하여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확인한다.

투영 벡터의 형상 정보를 이용한 영상검색 (Image Retrieval Considering Shape Information of Projection Vector)

  • 권동현;이태홍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8권4호
    • /
    • pp.651-656
    • /
    • 2001
  • 히스토그램 인터섹션은 영상에서 컬러가 가지는 값의 빈도 수를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영상을 검색하는 방법으로, 영상의 글로블 특성을 잘 나타내는 반면 영상에서의 위치 정보가 누락되어 다른 영상을 동일 영상으로 인지하기 쉽고, 영상 내에 포함된 형상 정보를 표현하는 적절한 방법은 아니다. 영상에 대한 1차원 투영을 이용하면 영상의 개략적인 형상 정보와 함께 위치 정보를 나타낼 수 있어 히스토그램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지만, 영상 크기에 따라 투영 벡터의 길이가 달라져 색인 데이타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투영벡터에서 영상이 가지는 형상 정보의 첨두치를 이용하여 첨두치들 간의 상대거리 및 최대 첨두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에 사용하였다. 검색 성능의 확인을 위하여 히스토그램 인터섹션 및 투영벡터만을 이용한 경우의 검색 결과와 비교하였고,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각 방법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 PDF

형상 정보의 거리를 고려한 영상검색 (Image Retrieval Considering Distance of Shape Information)

  • 권동현;김태선;이태홍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제14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7-190
    • /
    • 2001
  • The application of one-dimensional projection to each image enables to obtain shape or spatial information of imag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hat uses relative distances between peaks and their maximum value in the projection vector. In order to verify retrieval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results between the histogram intersection method, the projection only method. and the proposed one are compared and analyzed.

  • PDF

Reflection-type Three-dimensional Screen using Retroreflector

  • Song, Byoungsub;Choi, Sungwon;Sung, Hyunsik;Min, Sung-Wook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8권3호
    • /
    • pp.225-229
    • /
    • 2014
  • A reflection-type three-dimensional (3D) screen using retroreflector is proposed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a projected 3D image while keeping its perspective. For the projection-type 2D display, the diffuser is used to represent the 2D scene,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the aperture of the projection lens set. If the diffuser is adopted for the projected 3D image, only 2D images sectioned and blurred should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proposed screen can make the 3D image with the aperture limitation visible to be applied to the 3D image projection systems.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creen is verified by experiments.

Hybrid Projection 함수와 Rank Order 필터를 이용한 눈동자 검출 (Pupil Detection using Hybrid Projection Function and Rank Order Filter)

  • 장경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7-34
    • /
    • 2014
  • 이 논문에서는 hybrid projection 함수와 rank order 필터를 이용하여 눈동자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눈썹을 눈동자로 검출하는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hybrid projection 함수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에서 눈썹을 검출하고 눈썹이 포함되지 않도록 눈 영역을 설정한다. 눈 영역에서 rank order 필터를 사용하여 눈동자 후보점을 찾고 위치를 보정한다. 두 눈동자 후보점을 기하학적인 제약조건을 기반으로 쌍으로 묶고 각 쌍의 두 눈에 대한 유사도를 정합을 이용하여 측정하여가장작은값을 갖는 쌍을 최종눈동자로 결정한다. BioID 얼굴데이터베이스의 얼굴 영상 700개에 대한 실험 결과 92.4%의 검출율을 얻었으며 기존 방법보다 약 21.5%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TM 및 다면체 투영법(投影法)의 비교고찰(比較考察) (A Study on the Comparision Between Map Projection Methods of TM and Polyhedric)

  • 박외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9-132
    • /
    • 1998
  • 지형 및 공간에 관한 많은 양의 정보들은 축척 또는 활용목적 등에 따라 분류되어 다양한 형태의 지도로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단일 투영법을 근거로 생산되는 지도가 축척 및 활용목적 등의 다양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데에는 적합하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 대 축척인 1/50,000, 1/25,000, 1/5,000, 1/1,000 지도를 제작하는데 활용되고 있는 기존의 TM 투영법에 대해서 다면체 투영법과 비교 분석하여 다면체 투영법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수행방식은 타원체면에서 자오선 호장, 평행권 호장 그리고 타원체 면적을 계산하고, 이들 값을 TM과 다면체투영법을 활용하여 직교 평면에 투영하고 타원체 및 투영평면에서 투영 왜곡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지도의 축척별 오차의 허용범위를 규정하고, 두 가지의 투영법에 따른 왜곡량을 지도의 축척별 오차의 허용범위를 결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