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Literacy

검색결과 888건 처리시간 0.027초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교과 내용 체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 박주현;강봉숙;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29-25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육의 정보활용교육에 포함될 내용을 구성하고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정보와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정보활용교육 교과서 3종과 2019-2020년에 개발한 '미디어와 정보 생활' 교과서 초안의 내용 체계 및 교과서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활용교육 교과서는 정보문제 해결과정 모형이 적용되었고 인쇄 및 디지털 미디어의 내용과 민주시민에게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도서관과 미디어의 종류를 계열성 있게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둘째, 도서관·미디어·정보·독서 리터러시는 정보활용능력 교과 내용을 구성하는 주요한 학습 요소였다. 셋째, '미디어와 정보 생활' 교과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체계에 맞게 교과역량, 일반화된 지식,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등을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정보활용능력 교과의 명칭 도출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niversity Libraries)

  • 장덕현;최고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60
    • /
    • 2008
  • 이 연구는 전통적인 도서관 이용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정보를 습득하는 것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활용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도서관 이용교육의 모형을 제안한 연구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도서관 이용교육은 서지교육의 개념에서 정보활용교육의 개념으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으며,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을 서둘러야 할 단계이다. 그러나 정보활용교육의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지침과 모형을 제시하는 노력은 아직 미흡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도서관 주체의 정보활용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ACRL, LIRT, SCONUL, ANZIIL의 홈페이지에 추천된 온라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정보활용능력의 전반적인 단계와 각 도서관의 학습과정을 단계별로 분석하였으며,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실시할 수 있는 교육모형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디자인분야 대학생의 정보문해 교육을 위한 핵심 정보문해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nalysis of Cor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Design Discipline)

  • 김순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39
    • /
    • 2006
  • 디자인분야 대학생들이 학업능력을 향상시키고 독립적인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반적 정보문해 교육에서 추구하는 일반적인 정보문해능력 이외에 보다 복잡하고 전문적인 정보문해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4개 대학교의 디자인분야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그리고 미국 디자인분야 교육 인증기관인 국립미술디자인학교협회의 디자인분야 학사학위 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문헌조사를 통해 분석된 디자인분야의 핵심 정보문해능력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디자인분야 전 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분야는 7개 범주 26개의 핵심 정보문해능력을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며, 이러한 정보문해능력들은 정보문해 교육의 시기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제품디자인 등 세부전공분야별로는 보다 더 전문적인 특정 정보문해능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이러한 디자인분야 특정 핵심 정보문해능력 이외에 디자인분야에는 일반영역/기초능력관련 일반학문분야에 대한 정보문해능력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재접근 및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Re-approach to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and Its Application to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 이정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59-17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리터러시라는 개념에 대한 재접근을 시도하는 연구로 개념에 대한 정리와 함께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데이터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이유와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도출하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데이터 리터러시는 다른 리터러시 개념들과의 상호작용에 있어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미래사회 인류가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데이터기반 문제해결능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념정의를 바탕으로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데이터 리터러시를 적용할 때 교육 서비스와 연구지원 서비스 측면 모두에 활용을 제안하였으며 각각의 구체적 서비스안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기반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을 데이터 리터러시로 규정하고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점을 구분함으로써 데이터 리터러시가 왜 현대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인가를 설명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어떠한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제안으로 마무리했다.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Information Literacy)

  • 이정연;최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15-334
    • /
    • 2006
  • 본 연구는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선정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통하여 각 집단의 수업전후의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였다. 교육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보활용능력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과는 각 영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정보윤리 영역과 정보분석 영역에서 그 효과가 높음을 보였다. 그러나 정보활용능력 교육은 기초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교육을 수강한 학생들은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신감과 도서관에 대한 인식도가 변화되었다. 이로서 정보활용능력의 교육은 인지적, 태도적 측면 모두 대학생들에게 교양과목으로서 효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정보 이해능력(Health Literacy)에 대한 개념분석 (Health Literacy: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 김성은;오진아;이윤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58-570
    • /
    • 2013
  • Purpose: In these days, the concept of health literacy becomes important because it is essential to have a clear grasp of patients' basic ability to understand health-care information. Therefore, we intended to discover attribut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health literacy through contextual analysis. Method: Following Rodgers'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we did a literary review. The databases KMBase, KoreaMed, Kstudy, NDSL, and RISS were searched for articles. Among published literature about health literacy, twenty articles which satisfied the inclusion criteria were chosen. Results: Health literacy consists of three attributes: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utilizing. Furthermore antecedents are as follows: health status, health belief, socioeconomic status, and information quality. Finally, we were able to explain the consequences of health literacy by showing improvement of self-care and interaction, and a decrease of social costs. Conclusion: We expect this study to guide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and as a concept analysis that examines the conceptual attributes in the context of health literac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design of a standardized tool and the program of health literacy promotion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대학생을 위한 웹기반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Development of Web-Based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Its Effect Analysis)

  • 박수희;최성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57-387
    • /
    • 2006
  • 본 연구는 웹기반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활용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정보활용교육을 웹기반으로 구축함에 있어 바람직한 사례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 하에 대학생들의 웹기반 정보활용교육에 관한 요구를 분석하고,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였으며, 면대면 교육과 웹기반 교육 두 가지의 프로그램을 실험을 통하여 활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가지 학습형태는 교육 효과 및 학습자 만족도의 면에서 동등한 수준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71-292
    • /
    • 2011
  • 정보활용교육은 학교도서관의 중요한 역할이다. 정보활용교육을 통해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명확하게 정립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2011년에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교과서로 발행된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개발과정과 의의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새로운 정보활용교육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한 과정으로 한국, 미국, 일본의 정보활용교육 방법과 교수매체 활용현황을 조사하였고, 우리나라 교과서 제도와 인정심사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결과로 약 6년의 기간을 거처 개발된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개발과정, 교육과정, 내용체제, 적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on the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 김성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46
    • /
    • 2011
  • 개인의 정보활용능력은 단기적으로는 현안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적으로는 평생학습을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개인의 경쟁력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정보활용능력이 개인의 성과와 상관관계를 가지는지를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검증해 보았다. 개인의 성과 지표로는 실험집단이 대학생인 점을 고려하여 학업성취도인 평점평균을 채택하였다. 검증결과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에 대한 자기효능감(self-efficacy)과 학업성취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상관관계는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정보활용능력이 개인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정보활용능력 관련 교과의 개설에 대한 당위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능력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of School Library in the USA)

  • 김종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29-252
    • /
    • 2003
  • 정보활용능력 교육은 학교도서관 운영에서 가장 핵심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효과적인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통해 교수 학습 과정에 통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학교도서관의 존립 근거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원리에 근거하여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선진 학교도서관 운영에 적용되는 정보활용능력 교육 체제와 내용에 대하여 경험적 관찰과 자료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분석한다. 미국 학교도서관의 현장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원리와 내용이 어떤 기준과 교과과정에 근거하는지 탐구하기 위해 국가적 기준과 여러 주의 교과과정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 조사하고 분석한 각 주별 교과과정의 내용과 체제는 우리 학교도서관 교과과정을 개발하고 운용하는 일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