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Literacy

검색결과 889건 처리시간 0.031초

사회적 가상놀이에서 나타난 문해 관련 의사소통 및 정보 유형 (Literacy-Relate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ypes in Social Pretend Play)

  • 조은진;배재정
    • 아동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47-263
    • /
    • 1999
  • Literacy-relate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ypes naturally occurring in the dramatic play area were observed during free play over a 4 week period. Participants were 21 boys and 16 girls enrolled in a kindergarten class in Taegu. Types of literacy-related communication frequently used during social pretend play were Description, Suggestion, Question, and Answer. Negative types of literacy-related communication, such as Threat, Protest, and Warning were rare. Types of frequently occurring literacy information were about letters & words, and literacy functions.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spect to curricular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 PDF

정보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ariables Affecting the Information Literacy)

  • 박남진;최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5-232
    • /
    • 2006
  • 본 연구는 수강생의 정보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정보활용교육의 교육효과를 분석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정보활용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정보활용교육 수강 전후의 컴퓨터조작기술, 도서관관련지식. 도서관이용빈도 및 정보활용능력의 평균값 차이를 비교하였다. 정보활용교육 수강생의 사전교육경험과 컴퓨터조작기술, 도서관이용지식 및 자료이용빈도가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수강생의 수업만족도와 수강 후 견해와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Information Literacy of Adolescent)

  • 고해숙;김성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57-377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정보활용능력이 청소년의 건강정보이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고 이어서 청소년의 인구학적 통계 및 기타 다양한 특성이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중·고등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보활용능력은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학년, 학업성적, 건강에 대한 관심도, 학교 외 디지털기기 사용빈도 등이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문헌정보학과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있어서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Literac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in Public Library Services)

  • 송경진;차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15-240
    • /
    • 2014
  • 본 논문은 문헌정보학계와 실제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의 리터러시 개념의 사용 양태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리터러시 개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 계량서지적 분석, 사례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본 논문에서는 '특정 주제나 상황을 이해하고, 해당 주제와 상황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체나 정보,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능력'을 '리터러시'의 개념으로, 그리고 이러한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나 프로그램을 '리터러시 서비스'로 정의하였다. 더불어 실제 공공도서관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리터러시 서비스를 조기 리터러시 서비스, 성인 리터러시 서비스, 디지털 리터러시 서비스, 정보 리터러시 서비스의 4가지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 분석을 통한 디지털 정보 서비스 방안 탐색 (A Study on Exploring Digital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rough Analysis of PISA 2018 Reading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 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35-15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의 구성요인을 분석하여 학생과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 및 정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SA의 독서 리터러시의 개념은 사회적 기술적 환경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둘째, PISA 독서 리터러시 개념과 평가틀에는 독서 전중후의 전 과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평가틀은 Big6 Skills와 같은 정보 리터러시 모형의 인지적 과정과 유사한 요인을 다수 포함하였으나 차이점도 있었다. 넷째, 평가틀에는 디지털 독서가 반영되었다.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은 사서가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하여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 모형과 평가틀을 개발하고 시민들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기준과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정보이용능력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김지훈;최현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67-84
    • /
    • 2004
  • 정보이용능력은 대개 다양한 목적을 위해 정보를 효과적으로 찾고 관리하고, 이용하는 능력으로 이해되고 있다. 대부분 사람들은 일생동안 다양한 직업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정보이용능력을 학습해야 한다. 정보이용능력을 가진 자는 정보가 필요할 때를 인지하고 그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고 평가하고 이용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교육의 기본적인 목적은 학생들이 학습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므로 정보이용능력은 모든 학생에게 점차 중요하게 되고 있다. 본고는 정보이용능력의 정의와 표준 및 모델을 제시하고 이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정보이용능력에 관한 학습방법과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정보활용교육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 배경재;박희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41-265
    • /
    • 2013
  •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기획하여 실시하는 것은 현대 도서관의 핵심기능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내의 유관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활용능력 교육현황을 분석하고 이와 동시에 대국민 서비스의 지역 거점인 공공도서관의 의견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특히 공공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향후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시설 및 예산 등 필요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국립중앙도서관과 같은 국가도서관과의 연계 협력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립중앙도서관 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과 함께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주민의 정보리터러시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Information Literacy of Immigrants in Korea)

  • 이용재;이수상;조용완;장임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13-137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거주 이주민의 정보리터러시 실태를 파악하고 그들의 정보리터러시를 증진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부산과 경남지역의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 4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이주민의 정보리터러시 수준은 기초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었고, 특히 정보이용, 정보생산, 정보윤리, 정보통신기술 등의 분야들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주민의 정보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해 정보활용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효과적인 방안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 PDF

가정, 학교, 대중매체의 식생활교육 경험이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Home, School, and Mass Media) on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 김지은;최경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63-373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home, school, and mass media) on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54 adult consumers who answer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addressed the subjects' demographics,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home, school, and mass media), and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4.0. Results: First, the scores of mass media education experience were 3.41 ± 0.64, which was the highest, and 3.15 ± 0.74 for school education experience, which was the lowest. Second, the level of sub-literacies (task definition, information seeking strategy, location and access, use of information, synthesis, and evaluation) showed scores of 3.20 ± 0.72 ~ 3.47 ± 0.68, which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The synthesis literacy was the highest, as opposed to the information seeking strategy literacy, which was the lowest. The location and access and synthesis literacy were higher in women. Thir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all sub-literacies and each of three dietary education experiences (home, school and mass media).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the sub-literacies of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were home education, mass media, and school education in that order. Conclusions: The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was the highest through mass media. The factor that showed the highest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was synthesi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were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through home, school, and mass media.

Concept Analysis of Health Literacy for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using Hybrid Model

  • Sim, Jeong Eun;Hwang, Seon Yo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94-50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lear definition of the health literacy for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by analyzing the dimensions and properties using Hybrid concept analysis. Methods: The concept of health literacy of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yclic process of theoretical phase-field work phase-final analysis phase presented in the Hybrid model. We reviewed 26 literature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3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esults: The concept of health literacy in cardiovascular patients is derived from two dimensions and five attributes. Literacy skills, health information search ability and health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were derived as attributes in the individual functional dimension, while 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medical team and uti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support resources were derived at the interrelational dimension. It is defined as the individualized and integrated ability of an individual to explore and utilize the various health information needed to make appropriate health decisions during the chronic course after diagnosis of cardiovascular disease, to communicate proactively with medical staffs and to utilize support resources. Conclus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related research of health literacy measurement tools that can be used in cardiovascular nursing practice based on the attributes and indicators of health literacy for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