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low channel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9초

외국인 직접투자의 기술확산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 비안정적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An Empirical Research on Relation between FDI and Technology Diffusion: Using Nonstationary Panel Data)

  • 김홍기;김종운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225-1249
    • /
    • 2005
  •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whether foreign direct investment plays a role as a channel of international technology diffusion. We used the annual panel data from 1980 to 2002. The nonstationary panel techniques, in particular group mean panel FMOLS(fully modified OLS) was exploited as an empirical methodology in order to tackle the heterogeneity between members and low frequency.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inflow direct investments lead to an increase in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Also outflow direct investments contribute to an higher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These results confirms that both inflow and outflow direct investments are important channels for international technology diffusion or spillover.

  • PDF

입구 유동 가진에 의한 사각 발열체 주위의 유동제어 및 열전달촉진 (II) 온도장 수치해석 (Flow Control and Heat Transfer Enhancement from a Heated Block by an Inflow Pulsation (II) Thermal Field Computation)

  • 리광훈;김서영;성형진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4권7호
    • /
    • pp.599-606
    • /
    • 2002
  • uniform temperature. The surfaces of the block are taken at a constant higher temperature. The channel walls are assumed to be adiabatic. Results on the time-dependent temperature field are obtained and averaged over a cycle of pulsation. The effect of the important governing parameters, such as the Strouhal number on the flow and the heat transfer is investigated in detai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circulating flow behind the block are substantially affected by the pulsation frequency. These, in turn,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thermal transport from the heated element to the pulsating flow. The frequency at which the enhancement is maximum is determined.

Muskingum 하도추적방법의 수문학적 재해석: 선형저수지모형과 선형하천모형의 선형결합 (Hydrologic Re-Analysis of Muskingum Channel Routing Method: A Linear Combination of Linear Reservoir and Linear Channel Models)

  • 유철상;김하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2호
    • /
    • pp.1051-106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Muskingum 하도추적모형을 수문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지체효과만을 고려하는 선형하천모형과 저류효과만을 고려하는 선형저수지모형의 선형결합으로 나타내었다. 유도된 모형은 일종의 순간단위도의 형태가 되며, 그 매개 변수는 Muskingum 모형의 매개변수와 동일하다. 즉, 추적시간간격 ${\Delta}t$ 또는지체시간 $T_c$ 후에 최초의 유출이 발생하게 되고, 총 유입량 중 x 만큼은 선형하천모형에 의해 저류효과 없이 빠져나가고 나머지(1-x) 만큼은 선형저수지모형에 의해 저류상수 $K_c$로 대변되는 저류효과를 나타내며 빠져나가는 형태이다. Muskingum 하도추적 모형과 그에 대응하는 순간단위도를 가상하도에 적용해 본 결과, 두 모형이 근본적으로 하도추적결과가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청댐 방류량에 대한 금남 및 공주지점까지의 하도추적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수교환방파제의 형상별 순유입유량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Net Inflow Rates of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of Different Shapes)

  • 이달수;이창훈;오영민;전인식;김창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spc3호
    • /
    • pp.393-397
    • /
    • 2003
  • The seawater exchange breakwaters can be effectively employed to conserve or enhance the water quality inside harbors by transmitting the exterior water into the harbor. In the present study, three shapes of the breakwater, that is, the flow conduit embedded type, the wave chamber type and the oscillating water channel type are compared far their water exchanging capability through regular wave experim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net influx of water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wave period for each breakwater type. The net influx of the wave chamber type is much greater than that of the flow conduit embedded type. It is also ascertained that the influx of the oscillating water channel type can be greatly enhanced by attaining the resonance condition inside the channel at the wave periods frequently occurring at the fields where the breakwaters are to be installed.

용접식 판형열교환기 헤더형상에 따른 채널 위치별 유량 분배 특성 고찰 (Investigation of Flow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t the Channel Location according to the Header Shape of Welded Plate Heat Exchanger)

  • 함정균;김의;안성국;조홍현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7-13
    • /
    • 2019
  • To improve the flow distribution at channel locations in the welded plate heat exchanger with "L"-type inflow, the flow visualization of Model 1 was carried out. Besides, the characteristics of flow distribution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ccording to the header shape. The inlet flow rate for each channel location was increased at the side channels but decreased at the central channels. In the case of Model 2, which has a slant structure added to the basic header of Model 1, the unevenness of inlet flow increased by 23% from 0.019 to 0.023 as compared to Model 1. On the other hand, Model 3, which has a baffle structure added to Model 2, showed 0.064 unevenness in inlet flow, which was a 36% reduction one compared to Model 1. To improve the distribution at each channel in the welded plate heat exchanger with "L"-type flow,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eader external shape for the guide of flow as well as the baffle structure for reduction of vortex flow.

낙동강과 금호강 합류부 구간에서 유입유량에 따른 흐름 및 하상변동 특성 변화에 관한 수치모의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Flow and Bed Change Characteristics by Discharge Variations at the Confluence of Nakdong and Geumho Rivers)

  • 장은경;지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659-66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하천의 지류와 본류가 만나는 합류부를 대상으로 유량변화에 의한 수리특성 변화를 2차원 수치모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대상 구간은 각각 본류와 지류에서 유입되는 유량으로 인해 복잡한 흐름이 형성되는 낙동강과 금호강 합류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구간은 단순히 합류각이나 하폭비 등으로 일반화하여 흐름 양상을 정의할 수 있는 구간이 아닌 본류의 만곡과 지류의 유입이 동시에 나타나는 특성을 갖고 있는 구간이다. 수치모의 조건은 해당구간에서 2012년에 실제 발생한 홍수사상을 모의조건으로 선정하였다.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었던 합류부 구간에 비해 합류 후 만곡부 구간에서의 가장 큰 유속이 발생하였으며 유속 및 하상변화 또한 동일한 구간에서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유량 변화에 의한 영향으로는 홍수에 의한 변화보다는 평수시 흐름이 이 구간의 흐름과 하상변화에 더 지배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본 연구의 대상구간에서는 하도 안정화를 위한 대처가 필요한 구간이 합류부 구간보다는 합류 후 만곡부 구간임을 알 수 있었다.

측방유입유량 및 유하시간을 고려한 Muskingum 최적 매개변수 도출 (Optimal parameter derivation for Muskingum method in consideration of lateral inflow and travel time)

  • 김상호;김지성;이창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12호
    • /
    • pp.827-836
    • /
    • 2017
  • 하도홍수추적 방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Muskingum 방법의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는 저류상수와 가중인자이다. Muskingum 방법은 상류유입지점에서 하류 유출지점까지 측방유입량이 고려되지 않지만, 실제 유역에는 강우로 인하여 측방유입유량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상하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저류상수 및 가중인자를 산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HEC-RAS 1차원 부정류 해석모형을 이용한 수리학적 홍수추적을 통해 측방유입유량이 제외된 상태에서의 하도에서 전파되는 유량을 산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저류상수 및 가중인자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저류상수가 유하시간과 관계있음을 감안하여 국내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사용되는 유하시간 경험 공식들을 저류상수로 적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량이 고려된 유하시간 산정 식을 개발하고, 유입량의 변화에 맞춰 유하시간을 업데이트하여 모의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유량을 고려한 유하시간을 저류상수로 적용한 경우, 유량의 상승 및 하강 과정, 첨두 유량, 그리고 첨두 시간에 대해서 잘 모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계 대한해협 서수도에 유입되는 Tsushima난류수의 기원-2 중층수에 대한 고찰 (In Summer, the Origin of Tsushima Warm Current Water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2 on the Water in the Middle Layer)

  • 윤종휘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1-76
    • /
    • 1990
  • 하계 대한 해협 서수도에는 연직적으로 특성이 서로 다른 세개의 수괴가 존재한다. 그 중 중층수에 대하여 인접 해역의 해수 특성과 상호 비교함으로써 그 기원과 유로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1) 중층수는 동지나 해의 대륙붕 상에서 형성된 Kuroshio수와 중국 대륙 연안수와의 혼합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중층수는 Kyushu Island 의 서쪽 해역, 경도 약 127 E 부근 해역과 제주도와 Goto Islands의 사이 해역을 거쳐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ES를 이용한 열린 공동 유동과 공동 내 물질 확산의 수치적 모사 (LARGE EDDY SIMULATION OF FLOW AND MASS EXCHANGE PROCESSES BETWEEN A CHANNEL AND AN OPEN CAVITY)

  • 장경식;박승오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239-243
    • /
    • 2005
  • Fully three-dimensional Large Eddy Simulation calculations of the flow past 2D cavity are conducted to study the purging of neutrally buoyant or dense miscible contaminants introduced instantaneously inside the cavity. The length to depth ratio(L/D) is 2 and Reynolds number based on the depth is 3,360. Fully developed turbulent inflow are fed at the inlet from precursor simulation of channel flow. Mean flow pattern and unsteady features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of Pereira and Sousa. From the study of mass exchange processes, it is found that the mechanism of removal of the contaminant is very different between the non-buoyant and buoyant cases. In the buoyant case, internal wave motion which interacts with a strong cavity vortex is dominant in the ejection mechanism of the contaminants.

  • PDF

굴곡형 흡입구에서의 유동 및 소음방사 해석 (A numerical study on the flow and noise radiation in curved intake)

  • 심인보;이덕주;안창수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1년도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 /
    • pp.76-80
    • /
    • 2001
  • Unsteady compressible Euler equation is solved and the high-order, high-resolution numerical solver, physical boundary condition, adaptive nonlinear artificial dissipation model and conformal mapping are applied to computation of steady transonic flow and unsteady acoustics.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xi-symmetric duct and two dimensional straight/S channel are studied and the computation results shows good agreements with linear analysis. In transonic case, local time stepping and canceling-the-residual techniques are used for convergence acceleration. The aspect of flow and acoustics in S-channel and the Pattern of noise radiation is changed by inflow Mach no. and static pressure at fan-f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