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health

검색결과 12,783건 처리시간 0.039초

활성탄관에 포집된 혼합 유기용제의 보조탈착용매 변화에 따른 탈착률 비교 (Desorption Efficiency of Various Cosolvents for Organic Solvent Mixtures Collected on Activated Charcoal Tube)

  • 김강윤;노인봉;김현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09-221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suitable cosolvent to $CS_2$ so that desorp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for both polar and non-polar organic solvent mixtures collected on an activated charcoal tube. Cosolvents added to $CS_2$ include: DMF(N,N-dimethylformamide): $CS_2$ (v/v 1:99), DMF:$CS_2$(v/v 3:97), BC (butyl carbitol, 2-(2-butoxy ethoxy) ethanol):$CS_2$(v/v 1:99), and BC:$CS_2$(v/v 3:97)).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Comparing the desorption efficiency of $CS_2$ with those of $CS_2$ with 1, 3, 5 % DMF and 1, 3 % BC cosolvents for two different groups of charcoal tubes each containing 8 different polar and non-polar organic solvents with 3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s, the desorption efficiencies of the cosolvent-added $CS_2$ increased significantly for all polar organic solvents regardless of concentration levels tested. For non-polar organic solvents, no noticeable improvement was detected except xylene and trichloroethylene. The desorption efficiency of xylene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at of trichloroethylene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lowest concentration level tested. 2. Either 5 % DMF or 3 % BC was the most suitable cosolvent because the desorption efficiency for non-polar organic solvent mixtures was similar or slightly improved compared with that of $CS_2$, while those of for polar organic solvent mixtures were above 75 % except for cyclohexanone. 3. The smallest variations in desorption efficiency represented by the ratio calculated from the maximum to minimum desorption efficiency for all concentration levels tested were found when 3 % BC was used as a cosolvent.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sorption efficiency of $CS_2$ particularly for polar organic solvent mixtures collected on a charcoal tub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use of cosolvents such as 5 % DMF or 3 % BC. A caution, however, is in order for selecting a cosolvent whenever the cosolvent itself is being used in the workplace or th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cosolvent may interfere with the analytical results. In addition, to improve desorption efficiencies for such organic solvents as cyclohexanone or ketones, it is recommended to use suitable collection and desorption media other than the traditional method of charcoal tube collection/$CS_2$ desorption.

  • PDF

In Vitro Antibacterial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Galla rhois ethanol extracts and Sodium chlorate against Intramacrophage Brucella abortus

  • Cha, Chun-Nam;Hong, Il-Hwa;Yu, Eun-Ah;Park, Eun-Kee;Yoo, Chang-Yeol;Kim, Suk;Lee, Hu Ja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7-72
    • /
    • 2014
  • 본 연구는 오배자 에탄올 추출물 (GRE), 염소산나트륨 (SC) 그리고 오배자 에탄올 추출물과 염소산나트륨 합제 (GS)의 B. abortus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GRE, SC 그리고 GS를 B. abortus에 처리하여 배양한 후, B. abortus의 생존수를 확인하였으며, 마우스 탐식세포 내 감염된 B. abortus의 증식 억제효과를 경시별 (2, 24, 48시간)로 조사하였다. GRE, SC 그리고 GS는 각각 $400{\mu}g/mL$ 이하, 15 mM 그리고 0.6GS (GS 1, GRE $1,000{\mu}g/mL$ + SC 30 mM)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았다. 모든 처리구에서 B. abortus의 생존율은 용량-의존적으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GRE ($400{\mu}g/mL$), SC (15 mM) 그리고 0.5GS (GRE $500{\mu}g/mL$ + SC 15 mM)를 처리한 세포에서 배양 48시간 후에, B. abortus의 증식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GRE, p < 0.01; SC and 0.5GS, p < 0.001), 특히, GS를 처리한 경우, B. abortus의 세포내 증식이 GRE와 SC의 상승작용에 의한 강력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GS는 B. abortus에 대한 항균물질로서 유용할 뿐만 아니라, 식육과 우유 위생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추에서 분리(分離)한 미생물(微生物)의 발육(發育)과 Capsaicin의 분해(分解)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growth of fungi isolated from red pepper fruits and decomposition of capsaicin)

  • 정영옥;유태종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9권3호
    • /
    • pp.18-25
    • /
    • 1976
  • 고추의 저장중에 미생물 오염에 의해서 일어나는 신미성분(辛味成分)의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apsaicin이 함유된 배지에서 생육이 강하고 분해력(分解力)이 강한 우수균주로서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sp. KF-7 를 오염된 고추로 부터 얻었다. 2. 건조균체량(乾燥菌體量)은 capsaicin의 농도가 $2{\sim}3{\mu}g/ml$일 때는 약간 증가하였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감소하였다. 3. 배지중에 첨가한 capsaicin은 일주일 후에는 반으로 감소되고 2주일 후에는 거의 소실되었고 $30^{\circ}C$의 온도, 그리고 $pH\;7{\sim}9$일 때에 분해 소실되는 양(量)이 가장 많았다. 4. 고추분말로 된 고체배지에서 Aspergillus sp. KF-7은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고 Aspergillus oryzae는 수분함량이 13%일때 가장 잘 생육하였으며 배양 40일 후에는 capsaicin의 잔존률(殘存率)이 45%가 되었다. 5. 고추씨로 된 고체배지에서 두 균주가 생육하여 배양 4주(週) 후에는 각각 55%, 38%의 capsaicin잔존률(殘存率)을 나타내었다.

  • PDF

장애개념의 변화와 사회복지실천 현장 함의 (Changes in the Concept of Disabi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 김용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157-182
    • /
    • 2002
  •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변화해 가고 있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검토하고, 이러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어떤 과제들을 요구하고 있는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편적인 차원에서 장애에 대한 사회적 반응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패러다임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장애에 대한 사회적 반응 및 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가 우리나라의 실천현장에 요구하고 있는 함의들을 모색한다. 장애인에 대한 20세기 이전의 사회적 반응은 사회적으로 부적합하며, 장애는 개인의 책임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다가 20세기 중반기와 후반기를 거치면서 장애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중요하게 제기되었다. 이러한 장애에 대한 사회적 반응의 변화는 장애를 설명하는 개념적 모델에서도 변화를 초래하였는데, 이른바 개별적 모델에서 사회적 모델로의 변화이다. 또한 사회적 반응 및 개념적 모델의 변화는 세계보건기구의 장애정의 및 분류에 영향을 미쳐서 1980년, 1997년, 2001년에 걸쳐서 새로운 정의와 분류체계들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변화들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강점중심의 접근, 능력강화접근법, 사례관리, 자립생활모델 등을 통해서 설명된다. 장애에 대한 사회적 반응, 장애 개념, 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는 동일한 방향으로 일관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일관된 변화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 제기하는 실천현장에서의 함의는 사정과정에서 장애 당사자의 참여 강화, 사회 환경적 관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의 사정 도구의 재검토, 장애당사자의 자기결정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제공 기능의 강화, 장애 당사자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원조망에 대한 지원 강화,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강화, 배치모델에서 지원모델로의 전환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 PDF

연 '옐로우버드'의 개화와 결실 특성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Fruiting in Nelumbo pentapetala 'Yellow Bird')

  • 허북구;박재옥;박용서;임명희;박윤점;강종구;박석근;이동한
    • 화훼연구
    • /
    • 제17권2호
    • /
    • pp.81-87
    • /
    • 2009
  • 연 '옐로우 버드'의 개화와 결실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4월 18일에 근경을 분식(직경 70 cm, 높이 71 cm)한 다음 비가림 재배하였다. 식재본수의 90%에서는 2개의 꽃을, 나머지 10%에서는 1개의 꽃을 피웠다. 개화시기는 첫 번째의 꽃의 경우 7월 중하순에, 두 번째 꽃은 8월 초에 집중적으로 피었다. 추대는 주근경의 8번째와 10번째 마디에서 이루어졌다. 꽃은 황색으로 높이 12 cm, 폭 13 cm 크기였다. 불 개화 된 것은 21.4%였는데, 개화에 필요한 주근경의 마디 수를 확보하지 못한 것과 블라인드된 것이 주 원인이었다. 종자는 개화 후 30일 전후에 성숙이 되었다. 따라서 꽃을 관상할 목적으로 연 '옐로우버드'를 재배할 때는 주 근경의 마디수가 7월 중순 이전에 8마디 이상이 되도록 생장을 촉진시켜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광업 이직근로자에서 잠복결핵감염 위험요인 분석 (Risk Factors for Associated with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among Former Mine Workers)

  • 황주환;신재훈;백진이;최병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9-297
    • /
    • 2019
  • Objectives: To identify the positive rate of an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LTBI) in mine workers,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ose among former mine workers. Methods: Between January 2015 and May 2017, former male mine workers who had been subjects for epidemiology research for work-relate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and had received QuantiFERON-$TB^{(R)}$ Gold In-Tube(QFT-GIT) from the Institute of Occupation and Environment(IOE) under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KCOMWEL)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To identify significant variables for increased risk of LTBI,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A total of 736 male former mine worker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The positive rate of LTBI among subjects was 69.2%(509/736). The current smoking[odds ratio(OR), 2.3; 95% confidence interval(CI), 1.1-4.9], COPD(OR, 1.4; 95% CI, 0.9-2.3), department loading(OR, 1.8; 95% CI, 0.9-3.4) and mining(OR, 1.5; 95% CI, 0.9-2.5), and working duration of over 20(OR, 1.6; 95% CI, 0.9-3.1) and over 30 years(OR, 2.2; 95% CI, 0.9-4.9)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LTBI. The interferon-gamma(IFN-${\gamma}$) level after stimulation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MTB)-specific antigens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r=-0.126).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determined that the high positive rate of LTBI among mine workers was associated with not only the host factors but also the occupational exposure to mine dust.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메타버스 플랫폼 초기 이용자들의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ntions of early users of metaverse platforms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박선경;강윤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275-285
    • /
    • 2021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상세계 기반의 플랫폼인 메타버스의 기술수용의도 과정을 실증적으로 파악함에 목적이 있다. 이에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요인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써 일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용이성에는 지각된 즐거움, 상호작용성, 자기효능감, 사회적 영향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지각된 유용성에는 상호작용성과 사회적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지각된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모두 메타버스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호의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태도는 지속적 이용 의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메타버스에 대한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요인 간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메타버스 기술 채택의 요인 및 이용자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연구대상을 확장하고, 다양한 요인을 활용하여 연구한다면 이용자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 액체발효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Liquid Fermentation by Phellinus linteus Mycelium)

  • 신현영;김훈;정은진;김현경;손승우;서민근;김나리;서형주;유광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87-497
    • /
    • 2021
  • To investigate the industrial availability of liquid fermentation (PL-ferment) by Phellinus linteus mycelium as a postbiotics for the inhibition of inflammation, PL-ferment was fractionated into culture supernatant (CS), hot-water extract (HW) from PL-ferment, EtOH-precipitate (CP) fractionated from HW, and the dialysate (DCP) of CP. Compared to the other fractions, DCP which is expected to contain exopolysaccharide (EPS) as the major compon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duction of NO, IL-6, and MCP-1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and IL-6 and IL-8 in TNF-α and IFN-γ-induced HaCaT cells. The general compone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onents was observed between the fractions, whereas sugar composition analysis revealed that DCP had decreased glucose and increased mannose contents compared to the other fractions. This suggests that mannos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active fraction, DCP.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alysis revealed that DCP was mainly composed of low-molecular-weight material-removed high-molecular-weight polysaccharides of 18-638 kDa, suggesting that EPS originated from P. linteus EPS.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CP of P. linteus mycelium fermentation us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could be used industrially as postbiotic material.

석면 건축자재의 비산 방지를 위한 침투성 경화제 침투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netration Effect of Penetrating Hardener for Prevention of Scattering of Asbestos Building Materials)

  • 송태협;박지선;신현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324-330
    • /
    • 2018
  • 2007년 산업안전 보건법의 개정에 따라 우리나라도 유럽 및 일본과 같이 석면의 수입, 유통, 제조를 완전히 금지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의 석면의 문제는 기존에 시공된 석면 건축자재의 안전한 유지관리 및 친환경 해체, 그리고 폐기된 석면 건축자재의 안정적인 최종처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과거 우리나라는 매년 10만 톤의 석면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사용한 건축자재는 년간 100만 톤을 초과하였다. 이러한 석면 건축자재가 2006년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고, 이러한 자재는 향후 2044년까지 계속 유지될 것으로 환경부에서 예측한 바 있다. 석면 폐기물의 무해화 처리를 위한 사전 전처리 단계로 설치되어 있는 석면 건축자재에 침투성 경화제를 도포 하고, 해체 철거를 실시하면, 해체단계에서 석면의 비산을 억제하고, 무해화 단계에서 알칼리 공급 작용을 하여 무해화 처리 조건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석면 건축자재에 침투성 경화제가 안정적으로 침투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odium silicate를 주성분으로 하는 침투성 경화제와 증류수의 희석 비율에 따른 침투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시험결과 K성분의 침투에 따른 침투 깊이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증류수 희석 비율이 높을수록 침투효과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밀도 수준의 폐석면 건축자재의 무해화를 위한 사전 전처리 방법의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화학적 무해화를 위한 사전 전처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침투성 경화제와 중류수의 혼합비율의 최적화가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붕소 화합물로 처리된 편백목재의 연소시험에 의한 연기발생 (Smoke Generation by Burning Test of Cypress Plates Treated with Boron Compounds)

  • 정영진;진의
    • 공업화학
    • /
    • 제29권6호
    • /
    • pp.670-676
    • /
    • 2018
  • 붕산, 5붕산암모늄, 붕산/5붕산암모늄 첨가제로 처리한 편백목재 시험편의 연소가스 발생에 관한 시험을 하였다. 15 wt%의 붕소 화합물 수용액으로 각각 편백목재 시험편에 붓으로 3회 칠하였다.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연소가스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의 연기성능지수(SPI)는 공시편 보다 1.37~2.68배 증가하였고, 연기성장지수(SGI)는 29.4~52.9% 감소하였다. 그리고 붕소화합물로 처리된 시험편의 연기강도(SI)는 공시편보다 1.16~3.92배 감소되어 연기 및 화재 위험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의 최대일산화탄소($CO_{peak}$) 농도는 공시편보다 12.7~30.9% 감소되었다. 그러나 미국직업안전위생관리국(OSHA) 허용기준(PEL)보다 1.52~1.92배 높은 치명적인 독성을 발생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붕소화합물은 일산화탄소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나 편백목재 자체의 일산화탄소의 생성 농도가 높기 때문에 감소효과에 대한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