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or data model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25초

폭발파 모델을 이용한 실내 음장 해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door Acoustic Field Analysis using the Blast Wave Model)

  • 송기혁;강우람;이덕주;김영남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42-150
    • /
    • 2015
  • A portable recoilless guided missile generates a strong back blast and impulsive noise at the nozzle when it launches. In the case of indoor operations, the hazard of the blast noise from a recoilless weapon increases due to limited indoor spaces. Also, the noise levels determine the operational feasibility of a weap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blast noise levels distribution in the indoor space in advance. In additio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ethod generally used for fluid related simulations, requires high computing cost and time to simulate the whole domains. The domain includes both blast wave region and large and various indoor space region. Therefore, an efficient method for predicting the far-field noise level within a short time should be developed. This paper describes an analysis model for predicting the indoor noise distributions by considering the shape effect of the building within a short time. A new developed blast wave model was implemented using the noise source. Additionally, noise reflections at the closed surfaces such as walls and noise transmissions at the opened surfaces such as windows and doors were considered in calculating the noise levels. The predicted noise level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obtained from the indoor launch test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program.

실내 수증기 발생량 예측을 위한 습기 전달 모델의 검증에 관한 연구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of Moisture Transfer Model for Prediction of Indoor Moisture Generation Rate)

  • 이동권;김의종;최원기;서승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41-47
    • /
    • 2006
  • Moisture in a build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building performance, human health, and comfort of indoor environment. However, there are still lacks in the knowledge of understanding the moisture problem well and controlling moisture. Accordingly, in order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control moisture contents in the indoor air, this study was to predict moisture contents transferred through building envelopes and indoor moisture generation rate. Moisture transfer model was made by physical relations in each node, and the indoor moisture generation rate was gained by comparing the model with experimental analyses. From the study, we found out that moisture generation rate was critical and day-periodic, so that we predicted the indoor moisture content by substituting the constant value gained from the average in a day for the moisture generation rate.

실내 수공간 도입에 따른 온열 환경 변화 분석 (Analysis of Thermo Environment Change by Introduction of Indoor Water Space)

  • 오상목;오세규
    • KIEAE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53-60
    • /
    • 2012
  • This research is an illustrative research to verify the thermo environmental change created after introduction of indoor pond through abridged model test and simulation analysis. Especially, temperature and comfort level are analyzed by adjusting factors like size of water space, distance length, and location. Summary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most effective size of water space is 7% of the indoor size, from southern sid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is about $1.6^{\circ}C$(5.5%), and for the comfort level, it is found that pmv index increases 8%. Second, based on the simulation of distance length with the sphere, it is more effective as it is close to the surface. If distance length is more than 0.5m, there is no effect on reduction of temperature and comfort level of indoor environment. Lastly, for the analysis by location of the introduced water space, simulation is undertaken by dividing the water space (14% of the indoor size) with front, side, rear and center types.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is found to be : front type ($-1.53^{\circ}C$), side type ($-0.82^{\circ}C$), rear type ($-0.44^{\circ}C$), center type ($-0.28^{\circ}C$), respectively. The indoor environment change data by introduction of water space, found in this research, is at initial phase, but it is deemed to be a basic data to refer when planning actual water space.

환기구 위치별 실내오염물질의 환기효과 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Ventilation Effect for Indoor Air Pollutants by Ventilation Hole Sites)

  • 이정주;이주상;김신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26-240
    • /
    • 1995
  •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achieve experimental data used for design of ventilation systems necessary for indoor air quality control and their operation and management. For the study, spatial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indoor air quality according to pollutant site in a simplified model chamber. In low flow ventilation, flow pattern of indoor air was mainly influenced by diffusion and additionally, spatial distribution was formed by convection. Distribution of ventil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each pattern of model chamber was evaluated. It was confirmed that diffusion patterns of a pollutant among sites were formed, centering around main stream areas of supply and exhaust outlets.

  • PDF

웹 및 건물정보모델기반 실내 환경 디지털 시각화 -온습도와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중심으로- (Web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based Visualization of Indoor Environment -Focusing on the Data of Temperature, Humidity and Dust Density-)

  • 황금화;이진국;전규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27-336
    • /
    • 2017
  • 최근 실외 및 실내 공기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관련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실내 환경의 여러 요소 중 특히 사람들의 쾌적감에 직접 영향을 주는 온열 환경과 눈에 보이지 않는 실내 공기 환경의 시각화는 그러한 이유로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거주자가 공기 질 등과 같은 실내 환경 상태를 기존의 숫자나 그래프 등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하여 기존의 실내 환경 시각화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개선방법을 모색하여 보다 효과적인 웹 및 건물정보모델기반 시각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해당 실내 환경 시각화 과정은 크게 네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는 건물 모델 데이터 생성, 실내 환경 데이터 생성, 시각화 표현 요소 생성, 데이터 매핑 및 시각화 결과 생성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생성된 시각화 결과는 다양한 실내 환경 요소의 동시 파악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대상 공간의 기하학적 모델과 측정된 실내 환경 데이터를 연계하여 시각화함으로써 실내 환경 상태의 파악이 직관적이며 즉각적이다. 본 논문은 IoT 등의 기술로 즉각적이고 자동화된 실내 환경 관리시스템의 개발방향과는 별개로, 실내 환경 데이터를 적절히 가공함으로써 사용자 및 관리자 등에게 관련 시각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접근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시설의 실내환경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의 열 및 음환경 실측조사에 의한 사례연구) (Analysis of the Indo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Facilities (Case Study of Thermal and Acoustic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by Field Measurement))

  • 조민관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59-65
    • /
    • 2007
  •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basic data for deciding remodeling of wornout educational facilities. In order of it, the indoor environmental standar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rmal environment and sound insulation of walls were examined through field measurement in the subjected open elementary school(J school) and modernization model of elementary school(Y school) which they are located in Seoul. As the result, standard for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of educational facilities which is esta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is not subdivided into indoor environmental performances considering usages and characteristics of classrooms for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he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in general classroom and in open classroom showed to be $11.2^{\circ}C$ and $12.1^{\circ}C$ respectively, while indoor temperature of special classroon was, on the whole,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classroom due to its specific heat flux of wall materials.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masonry brick wall of classroom satisfied the minimum standard of AIJ,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in the open elementary school and the modernization model of elementary school. That is to say, the movable partition wall between the classroom and the corridor disturbed students in their class in the open school.

패치산란모델을 이용한 실내 전파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oor Propagation Modeling using Patch Scattering Model)

  • 석우찬;김진웅;석재호;임재우;윤영중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772-77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영상법 기반의 3차원 광선추적법에 패치산란모델을 이용하여 실내 구조물을 고려할 수 있는 실내 전파모델링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내 구조물을 모델링하기 위한 패치산란모델은 패치형태의 직사각형 평면에 대한 RCS를 이용하여 입사에 대한 산란현상을 정의한 것으로써, 책상이나 테이블 같은 평면적인 실내구조물에 대한 산란현상을 각각의 구조물에 대한 영상 안테나를 발생시키는 복잡한 과정 없이 간단하게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RCS는 간단히 입사 전력에 대한 산란 전력의 비로 정의되며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수신 각도에서 바라보는 bistatic RCS를 물리광학(Physical Optics)을 이용하여 수식적으로 유도하여 패치산란모델에 이용하였다. 또한 실내의 다중경로 성분에 대해 계산하지 않는 패치산란모델을 실내에 적용하기 위하여 복잡한 수식보다는 단순한 보정값인 실내보정값을 정의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 값을 다양한 패치 환경의 측정에 의한 경험적 상수로 처리함으로써 RCS의 고려만으로는 실내에 적용할 수 없는 점을 극복하였다.

패치산란모델을 이용한 실내 전파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oor Propagation Modeling using Patch Scattering Model)

  • 석우찬;김진웅;석재호;임재우;윤영중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722-73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영상법 기반의 3차원 광선추적법에 패치산란모델을 이용하여 실내 구조물을 고려할 수 있는 실내 전파모델링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내 구조물을 모델링하기 위한 패치산란모델은 패치형태의 직사각형 평면에 대한 RCS를 이용하여 입사에 대한 산란현상을 정의한 것으로써, 책상이나 테이블 같은 평면적인 실내구조물에 대한 산란현상을 각각의 구조물에 대한 영상 안테나를 발생시키는 복잡한 과정 없이 간단하게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RCS는 간단히 입사 전력에 대한 산란 전력의 비로 정의되며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수신 각도에서 바라보는 bistatic RCS를 물리광학(Physical Optics)을 이용하여 수식적으로 유도하여 패치산란모델에 이용하였다. 또한 실내의 다중경로 성분에 대해 계산하지 않는 패치산란모델을 실내에 적용하기 위하여 복잡한 수식보다는 단순한 보정값인 실내보정값을 정의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 값을 다양한 패치 환경의 측정에 의한 경험적 상수로 처리함으로써 RCS의 고려만으로는 실내에 적용할 수 없는 점을 극복하였다.

  • PDF

공간 DBMS를 활용한 3차원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Developing a 3D Indoor Evacuation Simulator using a Spatial DBMS)

  • 김근한;김혜영;전철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1-48
    • /
    • 2008
  • 현재 활용되는 대부분의 3차원 모델은 3차원 객체의 가시화에 중점을 두고 있고 토폴로지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아 3차원 공간분석 및 응용에 있어 한계가 존재한다. 그리고 실내 공간의 수많은 객체들간의 관계를 완전 토폴로지 기반으로 구현하는 것은 복잡도나 연산속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현실성이 떨어진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간 DBMS를 이용하여 실내 3차원 공간을 보다 간단하게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건물 내 각 공간의 공간정보와 속성 정보를 테이블 단위로 저장하면 DBMS의 빠른 질의와 연산 및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질의를 통해 추출한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2차원 및 3차원으로 가시화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층별 CAD 데이터를 공간 DBMS로 저장하여 2차원상의 토폴로지를 구현하고, 이를 3차원으로 가시화 할 수 있는, 2D-3D Hybrid 데이터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모델을 공간 DBMS로 구축하고 공간 함수와 질의를 활용하여 2차원 및 3차원으로 가시화 하는 과정을 제시하였고, 이를 이용하는 사례로서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 PDF

BIM기반 실내공간정보구축 및 위치정보 활용 서비스 동향 고찰 (Practices on BIM-bas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es)

  • 김민철;장미경;홍성문;김주형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41-50
    • /
    • 2015
  • Increasing size and complexity of indoor structures have led to much more complication in the spatial cognition and situational awareness. Contrary to outdoor environments, occupants have limited information regarding the indoor space syntax in terms of architectural and semantic information as well as how they interact with their surroundings. The availability of such information could give conveniences to both users and managers in various aspects. In order to visualize the exact location of rooms and utilities in 3D, many studies and projects have utilized BIM models because of its promising value of representing building components. In fact, the application of BIM provides definitive spatial indoor data and creates services for indoor space management and navigatio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practices on BIM-bas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es. It is expected that enabling of technologies, data-rich content and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products will accelerate the growth of the spatially-related markets in various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