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or 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17초

Establishing Required LOD and Positioning Accuracy for Indoor 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s in Public Administrative Works

  • Park, Junho;Lee, Jiyeo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3-112
    • /
    • 2017
  • Due to the large size and high complexity of modern buildings, the interest and the studies abo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are increas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ndoor spatial information were mostly about relevant technologies, and the application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less studied. In the present study, the public administrative work areas where indoor spatial information may be applied were identified by using a modified delphi technique. And the indoor LOD (Level of Detail) and indoor positioning accuracy for indoor 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s considering user requirements was established as standards for efficiently establishing and providing services. The required LOD and positioning accuracy for services was established by reestablishing indoor LOD and positioning accuracy and classifying services with reference to those. The indoor LOD was reestablished from LOD 0 to 4 by focusing on service utilization and general recognition, and the positioning accuracy was reestablished in three levels by considering the accuracy of the present positioning technology and service utilization status.

Construction of Indoor and Outdoor Spatial Information Integr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Vector Model

  • Kim, Jun Hyun;Kwon, Kee Wook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5-196
    • /
    • 2018
  •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outdoor and indoor spatial information service are separately utilized, an integration service system of spatial information that is linked from outdoor to indoor has been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0001.xml" corresponding to the file index key value, which is the service connection information in the building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was extracted from the prototype verification of the system, the search word of 'Kim AB' was transmitted to the indoor map server and converted from the outdoor map service to the indoor map service through confirmation of the navigation service connected information, using service linkage information and search words of the indoor map service was confirmed that the route was displayed from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to the destination in the building through the linkage search DB (Database) table and the search query.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was examined the possibility of linking indoor and outdoor DB through vector spatial information integration service system. The indoor map and the map engine were implemented based on the same vector map format as the outdoor map engin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nectivity of the map engine can be applied.

실내공간 표준안 IndoorGML의 개념 및 활용 (Basic Concept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Candidate Standard IndoorGML and its Applications)

  • 이기준;이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1-10
    • /
    • 2013
  • 실내공간은 공간정보 서비스의 새로운 대상이다. 최근 실내공간 측위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 등 이동기기의 보편화로 실내공간도 위치기반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가 가능하여지고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 정보의 교환 및 공유를 위한 표준화도 중요한 요구사항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국제공간정보 표준화기구인 OGC에서는 실내공간정보 표준인 IndoorGML 표준화 작업반을 2012년에 조직하고 2013년 9월 표준화를 목적으로 현재 작업 중이다. IndoorGML은 특히 실내공간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장 기초가 되는 네트워크 위상을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첫 번째로 현재 표준화되고 있는 IndoorGML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두 번째로 IndoorGML의 모델의 구체적 사항을 살펴보고, 세 번째 간단한 응용 사례를 제시한다.

개방형 BIM 기반 IFC 모델을 이용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Visualization Tool Using the Open BIM based IFC Model)

  • 류정림;문선기;추승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5호
    • /
    • pp.41-52
    • /
    • 2015
  • 2013년 국토교통부는 부가가치와 활용도가 높은 실내공간정보를 국가 핵심 공간정보로 구축 관리하기 위하여 '기본공간정보'로 추가 지정하였으며, 이에 전국의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와 계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측량/촬영 및 레이저스캐닝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할 경우 실내공간의 매핑으로 시각적 서비스차원의 활용은 유리하지만 시간적, 인적, 물적 자원의 소비가 크고 속성정보의 입력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가공을 필요로 하는 등 유지관리 측면과 국내 AEC/FM 분야 정보의 활용이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BIM 기반의 IFC 모델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시각화 기술과 연계하여 이해와 표현이 쉬운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실내공간정보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시각화 도구는 Autodesk사의 Revit 내부 프로그램인 IFC Exporter의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였으며 실내공간정보의 시각화를 위해서는 Direct3D Library를 사용하였다. 생성된 실내공간정보 객체는 XML 포맷과 상호호환이 가능하며 시설물 유지관리 분야의 COBie 연계, 항공촬영 혹은 UAV를 활용한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대규모 군사작전 시뮬레이션, 재해/재난 발생 시 대규모 피난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은 국가의 공간정보정책방향에 부합하고 기존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생성함으로써 정보생산의 단계가 간편하다. 또한, IFC 기반의 실내공간정보 객체로써 상호운용성이 높고 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며 데이터의 경량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CityGML ADE를 이용한 실내공간 데이터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oor Spatial Data Model Using CityGML ADE)

  • 강혜영;황정래;이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1-21
    • /
    • 2013
  • 최근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구축 및 활용이 높아짐에 따라 실내공간 기반의 공간정보 관리 및 활용에 대한 중요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건설기술의 발달에 따라 건물의 대형화 및 복잡화로 인하여 재난 및 재해를 대비한 실내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실내공간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복잡한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공간정보의 관리 및 서비스 활용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실외를 중심으로 개발된 3차원 공간모델 및 서비스 등을 실내공간으로 확장 및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실내공간에 대한 공간정보 구축을 지원하고 위상정보를 통한 실내공간 위치기반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3차원 실내공간 데이터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3차원 실내공간 데이터 모델은 CityGML 확장 객체모델과 객체간의 위상관계를 표현하는 IndoorGML을 참조하는 위상모델로 구성된다.

BIM기반 실내공간정보구축 및 위치정보 활용 서비스 동향 고찰 (Practices on BIM-bas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es)

  • 김민철;장미경;홍성문;김주형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41-50
    • /
    • 2015
  • Increasing size and complexity of indoor structures have led to much more complication in the spatial cognition and situational awareness. Contrary to outdoor environments, occupants have limited information regarding the indoor space syntax in terms of architectural and semantic information as well as how they interact with their surroundings. The availability of such information could give conveniences to both users and managers in various aspects. In order to visualize the exact location of rooms and utilities in 3D, many studies and projects have utilized BIM models because of its promising value of representing building components. In fact, the application of BIM provides definitive spatial indoor data and creates services for indoor space management and navigatio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practices on BIM-bas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es. It is expected that enabling of technologies, data-rich content and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products will accelerate the growth of the spatially-related markets in various fields.

BIM과 GIS 연계를 위한 실내 세밀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실내 시설물 관리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door Level of Detail(LOD) Model for the Linkage between BIM and GIS: Focusing on the Indoor Facility Management)

  • 강혜정;황정래;홍창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5호
    • /
    • pp.73-82
    • /
    • 2013
  • 최근 국내외적으로 실내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공간정보 구축 및 서비스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내공간 정보를 구축함에 있어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자료는 매우 유용하다. 이에, BIM 자료를 GIS에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BIM 자료를 GIS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변환기술과 자료 가시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 연구들이 대부분 실내공간 정보 구축을 위한 변환에 집중되어 있으며, BIM을 기반으로 구축된 공간정보들의 가시화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과 GIS 연계를 위하여 BIM 자료기반으로 실내 공간 자료를 구축했을 때, 실내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실내공간 세밀도(LOD:Level of Detail) 모델을 제시하였다.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지하철 역사의 3D 실내공간정보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using a Terrestrial LiDAR)

  • 고종식;정인훈;신한섭;최윤수;조성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89-101
    • /
    • 2013
  • 최근 공간정보 서비스 대상 영역의 범위가 실외 공간에서 실내 공간으로 급속하게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IT 모바일 등 첨단기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분야와의 융 복합을 통한 연계 활용으로 향후 실내공간정보의 다양한 서비스 수요를 창출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활용 가능한 실내공간정보 구축방법에 대해 살펴본 후, 서울 시청 지하철 역사를 대상으로 실내 고정밀 레이저 측량 및 3차원 벡터 가공기술을 활용하여 정밀 3차원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정밀 3차원 실내모델은 1:1000 수치지도와의 중첩분석을 통해 정확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X축으로 최대 0.04m Y축으로 최대 0.06m 이내의 위치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실내공간정보 구축 및 실내외 공간정보 연계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door Semantic Data Dection and Indoor Spatial Data Update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 Kwon, Su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170-1178
    • /
    • 2022
  • Indoor POI data, an essential component of indoor spatial data, has attribute information of a specific place in the room and is the most critic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Currently, indoor POI data is manually updated by direct investigation, which is expensive and time-consuming. Recently, research on updating POI us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indoor photographs has been advanc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However, the range of use, such as using only photographs with text information, is limited. Therefore, in this study, and to improvement this, I proposed a new method to update indoor POI data using a smartphone camera. In the proposed method, the POI name is obtained by classifying the indoor scene's photograph into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NN and matching the location criteria to indoor spatial data through AR technology. As a result of creating and experimenting with a prototype application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it was possible to update POI data that reflects the real world with high accurac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complement or substitute for the existing methodologies that have been advanced mainly by direct research.

  • PDF

Indoor Spatial Awareness Project and Indoor Spatial Data Model

  • Li, Ki-Joun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441-453
    • /
    • 2008
  • LBS, GIS 및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우리가 다루는 공간은 더 이상실외공간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그런데 실내공간은 실외공간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실내의 공간의 통합되고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서는 새로운 이론, 데이터모델 및 시스템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실내공간인지를 위한 기초이론을 개발하고, 핵심기술 및 시스템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공간인지(ISA) 프로젝트의 목표와 연구주제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실내공간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기초적 데이터타입과 연산자를 위한 프리즘데이터 모델을 소개한다. 또한 T. Kolbe가 제안한 실내공간 모델도 함께 소개한다. 이 모델은 다양한 공간을 통합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