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vidual Malocclus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9초

Angle씨 분류 I급 부정교합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CONSIDERATION OF ANGLE'S CLASSIFICATION CLASS I MALOCCLUSION)

  • 강흥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7-110
    • /
    • 1977
  • Class I malocclusion is essentially a dental dysplasia. Rotations, individual tooth malpositions, missing teeth, tooth size discrepancies, etc., fall under this classification. There are two types of class I malocclusions. One is identified by and insufficient denture base to accommodate the teeth; the other has more denture base than tooth material, creating spaces in the arch. The tooth material-to denture base discrepancies may be slight, calling for only a little increase in arch length for alignment and the correction of minor rotations. Discrepancies may also be great, in which case it becomes necessary to reduce tooth material by extraction, so as to make the tooth material more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denture base. The author had attempted orthodontic treatment of a class I malocclusion case of 13-year old boy in which high canines and impacted mandibular second premolars were involved. The author obtained good results.

  • PDF

치아교정의 역학적 해석을 의한 유한요소 모델링 및 치아의 거동해석 (Finite Element Modeling and Mechanical Analysis of Orthodontics)

  • 허경헌;차경석;주진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4권4호
    • /
    • pp.907-915
    • /
    • 2000
  • The movement of teeth and initial stress associated with the treatment of orthodontics have been successfully studied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To reduce the effort in preprocessing of finite element analysis, we developed two types of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based on the standard teeth model. Individual malocclusions were incorporated in the finite element The movement of teeth and initial stress associated with the treatment of orthodontics have been successfully studied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To reduce the effort in preprocessing of finite element analysis, we developed two types of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based on the standard teeth model. Individual malocclusions were incorporated in the finite element models by considering the measuring factors such as angulation, crown inclination, rotation and translations. The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he wire activation with a T-loop arch wire was carried out. Mechanical behavior on the movement and the initial stress for the malocclusion finite element model was shown to agree with the objectives of the actual treatment. Finite element models and procedures of analysis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suitably utilized for the design of initial shape of the wire and determination of activation displacement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icatory performance and skeletal malocclusion

  • Park, Jung-Chul;Shin, Hyun-Seung;Cha, Jung-Yul;Park, Jong-Ta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5권1호
    • /
    • pp.8-13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ransfer of different occlusal forces in various skeletal malocclusion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FEA). Methods: Three representative huma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es of three skeletal maloc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Seoul, South Korea. The CBCT scans were read into the visualization software after separating bones and muscles by uploading the CBCT images into Mimics (Materialise). Two separate three-dimensional (3D) files were exported to visualize the solid morphology of skeletal outlines without considering the inner structures. Individual dental impressions were taken and stone models were scanned with a 3D scanner. These images were integrated and occlusal motions were simulated. Displacement and Von Mises stress were measured at the nodes of the FEA models. The displacement and stress distribution were analyzed. FEA was performed to obtain the 3D deformation of the mandibles under loads of 100, 150, 200, and 225 kg. Results: The distortion in all three skeletal malocclusions was comparable. Greater forces resulted in observing more distortion in FEA. Conclusions: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fully evaluate the impact of skeletal malocclusion on masticatory performance using information on muscle attachment and 3D temporomandibular joint movements.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13세-15세 청소년들의 부정교합에 관한 역학적 연구 (PREVALENCE AND SEVERITY OF MALOCCLUSION IN CHILDREN 13 TO 15 YEARS OF AGE LIVING IN SEOUL)

  • 송경원;김진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1-130
    • /
    • 1984
  • Childrens between the ages of 13 and 15 years, living in Seoul, were examined in order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malocclusion in the permanent dentition. This survey encompassed 981 children and an individual chart was prepared for each subject recording an original HMAR score and classification of occlusion according to Angle. Also, subjective evaluation of "treatment needs" was carried out in 581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the 981 children in this survey, 12,1 percent showed excellent occlusion. (0 point) 2. The 14 percent of the children who had a score of 24 and above all appeared to belong to the "treatment highly desirable" or "treatment mandatory" category. 3. The incorporation of SAR (Supplementary Assessment Record) into the HMAR can provide more sensitive method for evaluating severity of malocclusion. 4. According to Angle's classification 77.4 percent of all malocclusion belonged to Class I, 1.3 percent to Class II, Division 1, 0.9 percent to Class II, Division 2, and 11.3 percent to Class III. 5. The mean HMAR score for Class I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for either Class II, Division 1 or Class III. (P < 0.05) 6. A clos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degree of "treatment needs" and the value obtained by the HMAR scoring. (chi-square test, p < 0.05)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an HMAR scores of the various subjectively defined categor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1)

  • PDF

부정교합 환자의 교정치료전 치근흡수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n Root Resolution in the Malocclusion Patients before Orthodontic Treatment)

  • 황충주;송영윤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9-237
    • /
    • 1999
  • 영구치의 치근흡수는 대개 특별한 상황, 즉 외상, 감염, 교정적 치아이동, 또는 전신질환의 경우에만 일어난다고 생각되어 왔지만,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영구치의 치근흡수를 나타낼 수 있음이 보고된 이래로 치근흡수의 원인을 밝히려는 많은 연구가 있었다. 특히, 교정치료와 연관된 치근흡수의 빈도 및 심각도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영구치열기의 부정교합 환자에서 교정치료전 치근흡수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 중에서 제 3대구치를 제외한 모든 영구치의 치근 형성이 완료된 사람을 대상으로 전치부는 평행촬영법으로 촬영한 구강내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구치부는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교정치료전 치근흡수의 빈도 및 심각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개 치아에서 치근흡수의 빈도 및 심각도와 나이, 성별, Angle씨 분류법에 따른 부정교합 분류, 수평피개 및 수직피개, 상하악 전치부 치축각도 등의 분류에 따른 치근흡수의 빈도 및 심각도,그리고 개개 치아에서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특징 및 뚜렷한 교합마모면과 치근흡수의 빈도에 대해서 분석해 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연구에서 조사된 모든 사람에서 하나 이상의 치아에서 치근흡수를 나타내었고, 총 22,099개의 치아 중에서 7,920 개의 치아, 즉 $35.84\%$에서, 또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빈도가 높았다(p<0.01). 2. 개개 치아에서의 치근흡수 감수성은 전체적인 이환치아에 대해서는 하악 전치, 상악 전치 순으로 감수성이 높았지만, 뚜렷한 치근흡수에 대해서는 상악 중절치, 상악 제 1 소구치, 상악 측절치 순으로 감수성이 높았다. 3. 상하악 전치의 치축 각도에 대해서는 상악 전치 치축 각도가 클수록 상악4전치의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고, 하악 전치 치축 각도가 클수록 하악 4 전치의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4. 수평피개보다는 수직피개가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개방교합의 경향이 커질수록 치근흡수의 빈도가 높았다. 5. 개개 치아에서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특징에 대해서는 반대교합과 개방교합을 함께 나타내는 치아에서 치근흡수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 PDF

Cervical Headgear와 Hotz 장치를 이용한 II급 I류 부정교합의 치료 : 증례 보고 (Treatment for Class II Division I Malocclusion Using Cervical Headgear and Hotz Appliance: A Case Report)

  • 조용제;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0-78
    • /
    • 2016
  • 성장기 아동의 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에는 많은 악정형장치가 사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여 발전되어 왔다. Headgear는 II급 부정교합 중 상악이 과성장된 경우 상악골의 성장 억제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구외장치이다. Hotz 장치는 주로 II급 I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cervical headgear와 함께 사용한다. 이 증례 보고는 상악의 과성장과 상악전치의 전향을 가진 3명의 II급 I류 부정교합 환자들에 관한 것이다. 모두 cervical headgear와 Hotz 장치를 이용하여 성장기에 악정형 치료를 시작하였다. cervical headgear와 Hotz 장치를 이용하여 치료한 후, 각 환자의 상황에 맞는 후속 치료를 다음과 같이 시행하였다: 고정식 교정장치, 유지 및 계속적 악정형 치료를 위한 class II activator, 기존의 Hotz 장치를 이용한 유지. 환자들을 악정형 치료하고 각각의 상황에 맞는 후속 치료를 하였으며 돌출된 안모와 상악전치 전향의 개선, 전치부 총생의 개선, 상악골 성장 억제 등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8-10세 아동에서 III급 부정교합의 구성요소에 대한 측모 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study of the components of Cl III malocclusion in children 8-10 years of age)

  • 김형돈;유대진;김일규;오성섭;최진호;오남식;김의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9-174
    • /
    • 2000
  • III급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여러 치료 방법들이 소개되었고 치료 방법은 술자의 선호도와 경험, 그리고 치료 성공률과 같은 술자에 관한 것이 아니라 환자가 갖고 있는 문제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환자가 갖고 있는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III급 부정교합의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된 바 있으나 그 결과는 인종과 연령에 따라 각기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장 변형 치로의 대부분이 행해지는 시기인 8-10세의 우리나라 성장기 아동을 대상으로 III급 부정교합의 본질을 나타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알아보아 환자가 갖고 있는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적절한 치료 방법의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는 125명의 8-10세 환자들의 측모 두부방사선규격 사진을 이용하여 McNamara방법에 의해 4가지 수평요소와 1가지 수직요소를 계측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II급 부정교합은 한가지의 임상적 실체가 아닌 악골과 치아의 다양한 상태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 상악골의 후방 위치가 III급 부정교합자들의 가장 흔한 특징이었다. 3. 상악 전치는 대부분 후방 위치하였다. 4. 하악 전치는 대부분 전방 위치하였다. 5. 하악골은 정상적 위치인 경우가 많으나 전돌과 후퇴도 있었다. 5. 수직적으로는 과도한 성잘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우리나라 성장기 아동의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수직적 성장 억제와 상악골의 수평적 성장 촉진에 대한 치료 기법들의 적용이 많은 경우에서 더욱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creening for variations in anterior digastric musculature prior to correction of post-traumatic anterior open bite by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type A: a technical note

  • Zdilla, Matthew J.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1권3호
    • /
    • pp.165-167
    • /
    • 2015
  • It has recently been reported that long-standing post-traumatic open bite can be successfully corrected with botulinum toxin type A (BTX-A) injection into the anterior belly of the digastric muscle (ABDM). The report documented an individual with bilaterally symmetrical and otherwise unremarkable anterior digastric musculature. However, the existence of variant anterior digastric musculature is common and may complicate the management of anterior open bite with BTX-A injection. Screening for variant ABDM can be accomplished via ultrasound,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reening for variant ABDM should be performed prior to BTX-A injection in order to account for musculature that may exert undesired forces, such as inferolateral deviation, on the anterior mandible in patients with anterior open bite.

전치부 및 치은의 노출량과 교합평면의 캔팅을 고려한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전치열의 원심이동 (TAD driven whole dentition distalization with special considerations for incisal/gingival display and occlusal canting)

  • 백철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6호
    • /
    • pp.333-343
    • /
    • 2019
  • Many orthodontists face difficulties in aligning incisors in an esthetically critical position, because the individual perception of beauty fluctuates with time and trend. Temporary anchorage device (TAD) can aid in attaining this critical incisor position, which determines an attractive smile, the amount of incisor display, and lip contour. Borderline cases can be treated without extraction and the capricious minds of patients can be satisfied with regard to the incisor position through whole dentition distalization using TAD. Mild to moderate bimaxillary protrusion cases can be treated with TAD-driven en masse retraction without premolar extraction. Patients with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can be the biggest beneficiaries because both sufficient maxillary incisal display, through intrusion of mandibular incisors, and distalization of the mandibular dentition are successfully achieved. In addition, TAD can be used to correct various other malocclusions, such as canting of the occlusal plane and dental/alveolus asymmetry.

  • PDF

성장기 골격성 I 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모두부방사선 계측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analysis in children with skeletal Class I malocclusion)

  • 문윤식;김정국;정현성;성상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159-172
    • /
    • 2001
  • 악안면 기형과 부정교합의 성공적인 교정치료를 위하여 안모의 3차원적인 평가가 필수적 이지만 교정의사는 주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 기초한 진단 및 치료계획에 익숙하다. 이는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 관한 계측치, 악골의 폭경 성장에 관한 지식과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 관심이 부족한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골격성 I 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6세에서 16세 사이의 남자 130명과 여자 171명을 대상으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상의 두개골 및 상하악골의 폭경을 계측하여, 연령과 경추골 발육지표(CVMI)에 따른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다항 회귀모형 (polynominal regression models)과 변수선택법(method of variable selection)을 이용하여 적합한 회귀모형(regression model)을 각 성별에서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령에 따른 각 계측치의 평균 및 개별 계측치(individual measurement)의 70%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을 추정하여 그래프로 작성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모든 폭경 계측치는 나이 또는 CVMI의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6세부터 16세까지의 총변화량은 상악골 폭경 보다는 하악골 폭경이 그리고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더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Mx-Mn difference, Mx-Mn width differential, Mx/Mn ratio는 연령과 CVMI에 따른 남녀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3.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나이에 따른 남녀 계측치의 평균 및 신뢰구간을 70%로 추정하여 상악골폭경, 하악골 폭경, Mx-Mn difference, Mx/Mn ratio에 대한 그래프를 얻었다. 4. 한국인의 상하악골 폭경은 성장기 동안 서양인에 비하여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성장기 부정교합환자의 폭경 성장 평가와 폭경 부조화의 진단에 이용한다면 치아 석고모형 만을 이용하는 한계를 적절히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