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genous

검색결과 1,494건 처리시간 0.024초

토착한지의 특성 - 외발 초지법 분류를 중심으로 - (Properties of Indigenous Korean Paper(Hanji) - Classification of Oebal(single frame)Papermaking Methods -)

  • 전철;김성주;진영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88-104
    • /
    • 1999
  • 본 시험은 외발 뜨기 한지와 쌍발 뜨기 한지를 구분하고 각각의 물성 차이 중 특히 4가지 강도에 대해 상대적 우위와 가로 세로 강도의 차이를 파악했다. 그 결과, 섬유 배향성을 특별히 고려하지 않은 외발 뜨기는 쌍발 뜨기와 비교해 가로, 세로 강도 차이가 다소 적다는 것 외에 특별히 뛰어난 점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외발 뜨기 한지가 질기다고 느껴지는 것은 좋은 원료와 토착식 제법으로 여러 장(2~8장) 겹쳐서 절대적인 강도를 향상시켰기 때문이며 상대적인 강도인 지수비교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부가적으로 도침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었다. 도침은 내절도를 두드러지게 향상시켰으며 인열지수(인열강도)를 뺀 열단장과 파열지수(파열강도)를 높이는 역학을 했다. 특히 열단장(인장강도)의 향상을 가져왔다. 그리고 토착식 제법의 외발 뜨기는 여러 겹을 겹칠수록 인열지수가 증가(다른 강도에 비교해 상대적인 증가임)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도침과 토착식 한지는 서로 부족한 강도를 훌륭히 보완하는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섬유 배향성을 고려하여 초지하고 도침을 실시해야 외발 뜨기 고유의 강도적 특징을 살릴 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오늘날에 토착 외발 뜨기 방식으로 제조된 전통 한지들은 전체적인 강도면에서 토착 한지류와 비슷했으며 2겹지의 경우엔 가로 세로 강도차이도 토착한지 수준이었다. 그러나 강도들간의 우열 특성에서는 인열강도가 특히 낮았던 쌍발 뜨기 한지와 전체적으로 고른 강도를 보인 토착 외발 뜨기 한지의 중간에 위치하여 개선의 여지를 찾을 수 있었다.

  • PDF

토착성에 기반한 아시아 여성주의 연구 시론 (Rethinking 'the Indigenous' as a Topic of Asian Feminist Studies)

  • 윤혜린
    • 여성학논집
    • /
    • 제27권1호
    • /
    • pp.3-36
    • /
    • 2010
  • 본 논문은 '토착성'에 대해 여성주의적으로 재위치시키고자 하는 시론적 작업이다. 한편으로 '토착성'은 넓게는 세계를 통합적으로 의미화해 온 방식으로서 오랜 전통과 실천을 통해 특정 지역 사회가 보유해온 성질이며, 좁게는 시간의 시험을 통과한 실용성을 지닌 생활환경 지식 등 안에 보유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젠더 관점에서 본 '토착성'은 문제적이다. 특히 전통의 이름으로 가부장제와 성차별주의를 온존해 온 사회가 표방해 온 '토착성'은 여성의 몸과 주체성을 결박하는 강한 구속력을 갖는다. 그리하여 여성주의 진영은 '토착성'을 연구주제로 취급하는데 주저함을 갖고 있다. 하지만 보수적이고 가부장제적인 토착 사회로의 회귀를 의도하는 측에서 토착성을 낭만화하거나 실체화하는 경향이 있다 해도, 사실 토착성은 "저기 밖에" 고형물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특히나 지구적 상품경제를 떠받쳐온 도구적이고 분절적인 지식 체계에 대안을 모색하려고 할 때 (아시아를 비롯한) 비서구적 토착 지식은 사람과 사회, 자연을 이어왔던 통합적 인식체계의 전범이 될 수 있다. 이는 '토착 지식'을 무시간적인 인공물로서가 아니라 역동적이고 살아 있어서 문화적으로 의미있는 체계로 재구성하고자 할 때 가능하다. 또한 생태여성주의적인 토착 지식의 재개념화와 함께 토착의 르네상스 현상은 비서구 문화와 지식 체계에 힘을 실어주면서 주변화된 지역 공동체의 문화적 성원권에 대한 의식을 증강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그간 타자화되고 저평가된 토착 지식이 생태적 시민성의 자원으로 국가 경계를 넘어 재구성될 수 있음을 논변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생리(生理) 및 생태학적(生態學的) 특성(特性) -제(第) 1 보(報).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토양특성(土壤特性)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Distributed in Korea -I.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the Indigenous Rhizobia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 류진창;이성재;서장선;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8-49
    • /
    • 1986
  • 우리나라 대두작부형별(大豆作付型別)로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토양(土壤)의 이화학적특성(理化學的特性) 및 공존미생물(共存微生物)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에 관(關)하여 조사(調査) 비교(比較)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전국(全國) 60개(個) 밭 토양(土壤)의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의 분포(分布)는 $2{\sim}197{\times}10^4cells/g$ 범위(範圍)였으며, 대두작부간(大豆作付間) 평균(平均)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는 대두무재배지(大豆無栽培地)는 $20.5{\times}10^4cells/g$, 대두재배지(大豆栽培地)에서는 $35.6{\times}10^4cells/g$로서 대두무재배지(大豆無栽培地)보다 높은 균수밀도(菌數密度)를 보였다. 이들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를 토성별(土性別)로 보면 양토(壤土)>사토(砂土)>사양토(砂壤土)>식양토(埴壤土)>식토(埴土) 순위(順位)로 많았으며, 9개(個) 농업기후대권간(農業氣候帶圈間)에는 경기만권(京畿彎圈)이 $10{\sim}15{\times}10^4cells/g$로 제일 적었고, 남부권(南部圈)이 $71{\sim}145{\times}10^4cells/g$로서 높은 분포밀도(分布密度)를 보였다. 2.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는 일반토양미생물(一般土壤微生物)인 호기성총세균(好氣性總細菌) 및 총사상균수(總絲狀菌數)와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나 총방선균수(總放線菌數)와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3.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와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에서 산도(酸度), 유효인산(有效燐酸), 치환성(置換性) 석회(石灰), 고토(苦土), 동(銅) 및 붕소함량(硼素含量)과는 유의(有意)한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나, 치환성(置換性) 나트리움, 알루미늄, 활성철(活性鐵) 및 황산(黃酸)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 PDF

Indigenous Food Habit of the Hajong Tribe Community in Bangladesh: Implication for Sustainable Extraction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North-East Bangladesh

  • Rana, Md. Parvez;Sohel, Md. Shawkat Islam;Akhter, Sayma;Hassan, Mohammad Rakib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101-109
    • /
    • 2009
  • The Hajong are the ancient tribal forest community among the ethnic minorities of the North-East region of Bangladesh.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ree income groups highlighting their indigenous knowledge. A total of forty-five households (fifteen from each income groups) were assessed using different participatory appraisals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 special type of indigenous knowledge on food habit was explored in the Hajong community, which correspond to the severe dependence on forest resources. They collect their food resources from homestead forest (45%) followed by forest (40%), market and others. They have indigenous hunting procedure to trap the animal in the forest. Twenty three tree species were tremendously planted in their homestead forests which are the very important source of food. Male are highly responsible to collect the food materials from forest as well as other sources.

  • PDF

Color Removal from Dyeing Effluent using Activated Carbons Produced from Various Indigenous Biomass

  • Islam, Md. Shahidul;Das, Ajoy Kumar;Kim, In-Kyo;Yeum, Jeong-Hyun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4-100
    • /
    • 2010
  • Colored compounds adsorption from the textile dyeing effluents on activated carbons produced from various indigenous vegetable sources by zinc chloride activation is studied.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in chemical activation were found to be the chemical ratio of $ZnCl_2$ to feed (3:1), carbonization temperature (460-470 $^{\circ}C$) and time of activation (75 min). The absorbance at 511 nm (red effluent) and 615 nm (blue effluent) are used for estimation of color. It is established that at optimum temperature ($50^{\circ}C$), time of contact (30-40 min) and adsorbent loading (2 g/L), activated carbons developed from rain tree (Samanea saman) saw dust and blackberry (Randia formosa) tree saw dust showed great capability to remove color materials from the effluents. It is observed that adsorption of reactive dyes by all types of activated carbons is more than that of disperse dyes. It is explained that because of its acidic nature the activated carbon can adsorb better reactive dye particles containing large number of nitrogen sites and $-SO_3Na$ group in their structure. The use of activated carbons from the indigenous biomass would be economical, because saw dusts are readily available waste worldwide.

한국 재래종 옥수수 체세포 염색체의 C-분염패턴 (C-banding Pattern of Mitotic Chromosome in Korean Indigenous Maize)

  • 이인섭;최봉호;거스타프손 제이 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29-433
    • /
    • 1996
  • Giemsa C-banding 방법에 의하여 한국 재래종 옥수수 핵형 및 염색체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옥수수의 근단 생장점을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이 방법은 한국 재래종 옥수수의 핵형 분석 및 염색체의 특성 연구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재래종 옥수수에서는 각각 10개의 heterochrornatic knob이 발견되었으며 이것들의 크기와 위치는 계통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모두가 6번 염색체에 부수체를 가지고 있었다. 10번 염색체를 100으로 해서 비교해 본 각 염색체들의 상대적 길이는 조사된 계통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 PDF

Effect of Algal Inoculation on COD and Nitrogen Removal, and Indigenous Bacterial Dynamics in Municipal Wastewater

  • Lee, Jangho;Lee, Jaejin;Shukla, Sudheer Kumar;Park, Joonhong;Lee, Tae K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5호
    • /
    • pp.900-908
    • /
    • 2016
  • The effects of algal inoculation on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total nitrogen (TN) removal, and indigenous bacterial dynamics were investigated in municipal wastewater.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municipal wastewater inoculated with either Chlorella vulgaris AG10032, Selenastrum gracile UTEX 325, or Scenedesmus quadricauda AG 10308. C. vulgaris and S. gracile as fast growing algae in municipal wastewater, performed high COD and TN removal in contrast to Sc. quadricauda. The indigenous bacterial dynamics revealed by 16S rRNA gene amplification showed different bacterial shifts in response to different algal inoculations. The dominant bacterial genera of either algal case were characterized as heterotrophic nitrifying bacteria. Our results suggest that selection of indigenous bacteria that symbiotically interact with algal species is important for better performance of wastewater treatment.

독도의 외부유입종 분포와 관리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non-indigenous plants in Dokdo)

  • 송임근;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8-107
    • /
    • 2012
  • 독도의 외부유입종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조사하였다. 식재로 인해 생태계 교란이 많이 이루어진 1973년을 기준으로, 1973년 이전은 30분류군(52.6%), 1973년 이후는 24분류군(42.1%)과 재배종 3분류군(5.3%)으로 구분되었으며, 최근 독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많은 탐방객들의 방문이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유입종에 대한 관리가 요구된다.

Cultural Landscape and Ecotourism in Bali Island, Indonesia

  • Hakim, Luchman;Kim, Jae-Eun;Hong, Sun-K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the role of ethnoecology in supporting tourism. We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island of Bali (Indonesia), the famous tourism destination. We review the culture, nature and ecotourism prospects of Bali and then extend our discussion to examine the role of indigenous philosophies in building the destination’s image. Bali has a rich 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that have been utilized and managed through an indigenous philosophy called Tri Hita Karana. Ethnoecology is widely applied and appreciated in the society and has produced Balinese cultural landscapes that have become significant tourism attractions. There has been a recent increase in tourist desire to explore genuine Balinese culture, so ethnoecology has a significant role in the quest to preserve and conserve such indigenous cultural landscapes. Ethnoecology is a key to ensuring and sustaining the images and authenticity of Bali Island. In this paper, we considered the landscape of rice paddies as a cultural landscape and resource for tourism.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addy terrace landscapes is based on the ethnoecology of Tri Hita Karana;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nature and ecotourism in Bali Island, knowledge of indigenous philosophy is indispensable. Cultural landscapes that link human and natural systems are not only places of natural beauty but also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human adaptations to nature.

부산, 경남지역에서 수집된 한국 재래종 옥수수의 이삭 및 낟알의 특성 (Ear and Kernel Characteristics of Korean Indigenous Maize Lines Collected in Pusan and Kyungnam)

  • 이인섭;박종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9-165
    • /
    • 2001
  • In order to reserve abundant germplasm for breeding new corn varieties, major characteristics of ears and kernels were evaluated with a total of 210 Korean indigenous maize lines collected from various parts of Pusan City and Kynugnam Province, Korea The average ear length and ear diameter of indigenous maize lines collected was 12.52cm and 3.33 cm, respectively. The average ear weight of the maize lines was 63.70g. The ears collected from the north-west mountainous region were the heaviest, and The ears from the south coastal region were the lightest. The average kernel weight per ear was 50.54g, and the kernel weight per ear by region showed a tendency similar to the ear weight. The kernels of maize lines collected in the north-west mountainous region were the longest, and kernel width and thickness were the largest in the west plain region. 100 kernel weight and embryo weight the largest in the lines collected in the north-west mountainous region. The degree of pericarp thickness was the smallest in the lines collected in the south coastal region, and largest in the lines collected in the west plain region. Except fo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idth and 100 kernel weight, all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es show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