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cator microorganism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8초

유기낙농가 사육환경 중 미생물 및 항생제 내성 분석 (Analysis of Microorganisms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Organic Dairy Farm)

  • 설국환;김현욱;한기성;이미정;장애라;오미화;김동훈;함준상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81-85
    • /
    • 2011
  • Recently, antimicrobial resistance of microorganisms has been a major concern of its relation to food safety and national health, therefore, customer's needs to organic animal food is still increasing.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usage of antimicrobials in animal farm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organic dairy farm environments. The isolates from dairy farms were Acinetobacter sp., A. lwoffi, A. johnsonii, A. towneri, Aerococcus viridans, Aeromonas media, A. veronii, Bacillus pseudofirmus, B. pumilus, B. licheniformis, Corynebacterium glutamicum, Escherichia coli, Enterococcus faecium, Lysinibacillus fusiformis, Paenibacillus illinoisensi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hominis, Streptococcus equinus, S. lutetiens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Indicator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organic dairy farms were tested for susceptibility to 20 types of antimicrobials. E. coli (ATCC 25922) isolated from dairy farm fence showed resistance to 8 types of antimicrobials, such as oxacillin, penicillin, vancomycin, etc., and E. faecium isolated from feces showed resistance to 9 types of antimicrobials, such as cephalothin, oxacillin, streptomycin, etc., respectively. However, these results showed less antimicrobial resistance compare with customary dairy farm.

  • PDF

A Study on Microbial Contamination of Foods Exposed to Multiple Environments

  • KIM, Dan-Bee;CHA, Seong-Soo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5권3호
    • /
    • pp.35-40
    • /
    • 2019
  • In this study, general bacterial counts and coliform counts, which are hygienic indicator microorganisms, were tested for candy, chocolate, and jelly which are easily available and enjoyed around. After dropping each sample on the desk, indoors, and outdoors, it is immediately collected, or washed and collected to confirm the myth of the 3-second rule. Immediately after removing the wrapping paper, each sample was dropped on the desk, indoors, and outdoors, and after 3 seconds from the moment of contact with the surface, and then collected in a sample bag using sterilized sanitary gloves. After the same operation, each sample was rinsed for 5 seconds using sterilized sanitary gloves and sterilized distilled water, and then collected in a sample bag. The number of bacteria detected in non-washing candies was 41 CFU/g at outdoor and the number of bacteria detected in non-washing chocolate was 76 CFU/g at outdoor. The number of bacteria detected in non-washing jellies was 79 CFU/g at outdoor. Coliform group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is showed good results at the level of m = 10,000 or less, which is an allowable value suggested in the Food Code. Also, effect of washing on contaminated food was confirmed. This result is remarkably low compared with the microorganism specimens shown in Food Code, and it is confirmed that contamination occurs but not high value. Therefore, the myth of the 3-second rule is true compared to the figures based on Food Code. However, i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bacteria that could survive and cross-contaminate on dry food surface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ygiene through food contact to unsanitary surfaces to minimize the risk of food poisoning.

젓갈류에서의 위생지표 미생물 및 식중독균 모니터링을 통한 미생물학적 연구 (Microbiological Study using Monitoring of Microorganism in Salt-Fermented Fishery Products)

  • 이선미;임종미;김기현;조수열;박건상;신영민;정지연;조준일;유현정;김규헌;조대현;임철주;김옥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8-20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현 식품공전에 기준규격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젓갈, 양념젓갈, 식해류 등 총 554건(젓갈 102건, 양념젓갈 448건, 식해류 3건)에 대해 위생지표 미생물인 대장균군, 대장균, 일반세균 및 식중독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과 장염비브리오균을 모니터링 검사하였다. 국내에서 제조 및 유통되고 있는 젓갈류에 대해 대장균군은 전체시료의 31.9%가 $0{\sim}20,000$ CFU/g의 범위로 검출되었고, 평균 2.3 logCFU/g를 보였다. 유형별로는 양념젓갈에서 시료의 37.7%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젓갈에서 대장균군의 검출률 5.9%와 검출량 1.4 logCFU/g에 비해 검출률에서 6배가, 검출량에서는 2배가 더 높은 값이었다. 미생물 한도시험법에 따라 실시한 대장균은 총 9건에서 검출되었는데, 이는 모두 양념젓갈에서 검출된 것으로 오징어젓, 낙지젓, 명란젓, 밴댕이젓, 갈치순태젓 등이었으며 일반세균은 $0{\sim}8.9{\times}10^8CFU/g$까지 넓은 범위로 검출되었다. 염도에 따라 분류해 본 결과, 염도변화에 따른 대장균군의 정량변화는 크지 않았지만, 대장균은 모두 식염도 10% 미만의 저염젓갈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일반세균수 역시 염도가 높아질수록 $5.5{\sim}3.6$ logCFU/g 까지 단계별로 8배, 10배씩 검출량이 낮아졌다(Table 4). 식중독균으로 분류한 황색포도상구균 및 장염비브리오균의 경우는 식품공전상의 정성시험법과 2배 희석시료를 사용한 정량방법으로부터 한 건도 검출되지 않아 이들 식중독균에 의한 오염에 대해 젓갈류는 다소 안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최근 젓갈의 저염화에 따라 대두되었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인 점검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궁극적으로 위생적이고 안전한 젓갈의 생산 및 관리를 위한 기준 규격 개정안을 마련하는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Qualitative Characteristics and Determining Shelf-Life of Milk Beverage Product Supplemented with Coffee Extracts

  • Yoon, Ji-Woo;Ahn, Sung-Il;Kim, Ha-Na;Park, Jun-Hong;Park, Sun-Young;Kim, Jae-Hoon;Oh, Duk-Geun;Jhoo, Jin-Woo;Kim, Gur-Y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05-312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helf-life of a milk beverage product supplemented with coffee extracts. Qualitative changes including peroxide value (PV), microorganism content, caffeine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were measured periodically in beverages kept at 10, 20, and $30^{\circ}C$ for 8 wk. Lipid oxidation of the product was measured by peroxide value analysis, and apparent changes were observed during a 4 wk storage period. Caffein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hanges in caffeine content were negligible during the storage period. Total aerobic bacteria, Escherichia coli, yeast, and mold were not detected in the products during an 8 wk storage period.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after 4 wk of storage overall acceptance was less than 3 points on a 5-point scale. In this study, PV was used as an indicator of the shelf-life of the milk beverage product. PV analysis revealed that a value of 20 meq/kg was the end of the shelf-life using the Arrhenius equation and the accelerated shelf-life test (ASLT). Assuming that the beverages are kept at $4^{\circ}C$ during distribution, calculation of when the PV reached the quality limit point (20 meq/kg) was done with the equation ln(PV) = 0.3644X - 2.21834 and, using that equation, $PV=e^{0.3644X-2.21834}$ was calculated. Therefore, 14.3086 wk was determined to be the shelf-life of the milk beverage supplemented with coffee when stored at $4^{\circ}C$.

주거용 아파트 엘리베이터의 미생물 오염도와 영향요인 조사 (Research on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s in Apartment Tower Elevators)

  • 심원보;서주희;이채원;정명진;김정숙;김형갑;정덕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56-464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elevators in apartment buildings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such microbial contamination. Methods: A total of 144 samples, including from the exterior buttons, interior buttons, elevator handrails, walls, ventilators and airborne bacteria were collected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from July to August 2013 for six different elevators. The samples were used to detect sanitary indicator bacteria (total bacteria,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pathogenic bacteria (E. coli O15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B. cereus, S. aureus) and fungi. Results: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bacteria were 0.3-3.8 and 0.0-2.4 log CFU/100 $cm^2$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coliform bacteria, the levels were 0.0-3.7 log CFU/100 $cm^2$ in the morning and 0.0-0.3 log CFU/100 $cm^2$ in the afternoon. However, E. coli was not detected among all samples. Bacillus cereus, pathogenic bacteria, was only detected in 13 (11%) among 144 samples. E. coli O15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S. aureus were not detected among all samples. Comparing the samples collected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we could confirm that the samples in the afternoon were cleaner.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samples in the afternoon were cleaner because these samples were collected following routine cleaning. Also, the levels of contamination in the elevators were low and the sanitary conditions were comparatively well-manage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for elevators be cleaned regularly to provide good conditions for people using elevators.

Isolation of $NH_4^+$-Tolerant Mutants of Actinobacillus succinogenes for Succinic Acid Production by Continuous Selection

  • Ye, Gui-Zi;Jiang, Min;Li, Jian;Chen, Ke-Quan;Xi, Yong-Lan;Liu, Shu-Wen;Wei, Ping;Ouyang, Ping-Ka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8호
    • /
    • pp.1219-1225
    • /
    • 2010
  • Actinobacillus succinogenes, a representative succinicacid-producing microorganism, is seriously inhibited by ammonium ions, thereby hampering the industrial use of A. succinogenes with ammonium-ion-based materials as the pH controller. Therefore, this study isolated an ammonium-ion-tolerant mutant of A. succinogenes using a continuous-culture technique in which all the environmental factors, besides the stress (ammonium ions), were kept constant. Instead of operating the mutant-generating system as a nutrient-limited chemostat, it was used as a nutrient-unlimited system, allowing the cells to be continuously cultured at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The mutants were isolated on agar plates containing the acid-base indicator bromothymol blue and a high level of ammonium ions that would normally kill the parent strain by 100%. When cultured in anaerobic bottles with an ammonium ion concentration of 354 mmol/l, the mutant YZ0819 produced 40.21 g/l of succinic acid with a yield of 80.4%, whereas the parent strain NJ113 was unable to grow. When using $NH_4OH$ to buffer the culture pH in a 3.0 l stirredbioreactor, YZ0819 produced 35.15 g/l of succinic acid with a yield of 70.3%, which was 155% higher than that produced by NJ113. In addition, the morphology of YZ0819 changed in the fermentation broth, as the cells were aggregate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fermentation.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YZ0819 can efficiently produce succinic acid when using $NH_4OH$ as the pH controller, and the formation of aggregates can be useful for transferring the cells from a cultivation medium for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확인시험에 관한 연구 (Study of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for Detec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 강정욱;배준태;연재영;김영호;김진화;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07-311
    • /
    • 2014
  •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는 산화환원지시약으로 미생물의 증식에 의한 산소 소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용해 후 무색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생리활성이 있는 조직에서는 탈수소 효소(dehydrogenases)에 의해 환원되어 빨간색의 불용성 1,3,5,-triphenylformazan (TPF)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성 미생물(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 Enterococcus faecium, Candida albicans)에 TTC 지시약을 활용하여 미생물 성장시험에 대해 확인하였다. 시험 균주에 TTC를 첨가하여 확인한 결과, 모두 탈수소효소 반응으로 인한 TPF 형성으로 붉은색 콜로니를 관찰하였다. 이후 TTC 0.04% 이상의 농도 및 12 h 이상 배양조건으로 최적화 실험 후 균주별 CFU 값을 통해 TPF 발현능을 확인하였다. 결국 TTC가 병원성 세균 및 효모균 성장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배양 시 세균의 경우 12 h, 효모균의 경우 48 h 이후부터 확인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TTC를 활용한 미생물 성장 확인 시험법이 더 신속 정확한 방법으로 화장품 연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서울·경인지역 유통판매중인 과자류의 위생지표 세균 및 식중독균 오염도 조사 (Monitoring of Microorganism Contamination in Children-Preferred Confectioneries in Korea)

  • 구은주;정소영;박지은;권유진;서동혁;정유영;조경철;이요아;민희은;김유진;김현정;김슬기;최선옥;임철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2-3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기호식품 중 하나인 과자류(과자, 캔디류, 츄잉껌, 빙과류)에 대하여 1,005건(과자 250건, 캔디류 255건, 츄잉껌 250 건, 빙과류 250건)에 대해 위생 지표 미생물인 일반세균 수, 대장균군/대장균과 더불어 식중독 원인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과자류에 대한 일반세균 수의 경우 전체 시료의 26.8%에서 검출되었고, 검출된 세균 수는 1.7 log CFU/g을 나타내었다. 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에는 과자 250건 중 45.2%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빙과류 28.8%, 캔디류 20.0% 및 츄잉껌 13.2% 순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위생지표 세균인 대장균군/대장균의 경우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균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캔디류를 제외한 나머지 유형에서 바실러스 세레우스만 검출이 되었고, 평균 검출량은 1.4~1.6 log CFU/g로 현행 식품공전상의 미생물규격인 3 log CFU/g 이하 수준으로 모두 적합한 제품이었다. 이는 식품공전 상에서 정하고 있는 미생물 규격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로 식품의 제조 유통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식중독 민감도가 높은 어린이들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미생물 기준규격을 고려해야 한다.

대학 내 급식소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Microbiological Safety Assessment to Secure Safety of Food Service in University)

  • 김경열;남민지;남보람;류희정;허록원;심원보;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9-58
    • /
    • 2010
  • 본 연구는 서부경남지역에 소재하는 대학 내 급식소에 대하여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고,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미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부경남지역에 소재하는 대학 내 급식소 4곳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하절기와 동절기로 구분하여 개인위생, 음용수, 조리된 음식 및 조리도구와 관련된 항목들에 대하여 위생지표세균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원료와의 접촉 빈도가 높은 칼, 도마 및 행주 등의 조리도구와 조리종사자의 손에 대하여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각각 1.1~5.5와 1.3~5.3 log CFU/($100\;cm^2$, hand)으로 높게 검출되었고, 조리된 음식과 음용수에서도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각각 0.8~6.4와 1.3~5.0 log CFU/(g, mL)으로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어 조리과정 중의 교차오염의 발생이 우려되었다. 또한 병원성 미생물 중 S. aureus가 조리종사자의 손과 조리된 음식에서 각각 2.8~3.0과 2.0~2.3 log CFU/(hand, g)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어 조리과정 중 개인위생불량으로 인한 교차오염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E. coli와 Salmonella spp.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학 내 급식소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등에 의해 생산된 안전한 원료를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HACCP system) 매뉴얼에 적용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널리 보급하고, 조리종사자에 대한 철저한 개인위생관리와 주기적인 위생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원료 입고에서 배식까지의 모든 과정에 대한 위해요소를 사전에 차단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남부지방 부추와 재배환경의 식품매개병원균의 분포 (Distribution of Foodborne Pathogens from Garlic Chives and Its Production Environment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정지은;오광교;서승미;양수인;정규석;노은정;류재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77-488
    • /
    • 2020
  • 본 연구는 남부 3지역에서 시설재배 3농가 총 9농가를 선정하여 2019년과 2020년도 재배 중인 부추와 부추 재배 토양, 퇴비, 농업용수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부추, 토양, 퇴비, 농업용수에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대장균)과 B. cereus, S. aureus를 조사하였다. 2019년 채취해 온 시료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A지역 일반세균수는 6.15-8.82 log CFU/g, 대장균군은 2.75-4.88 log CFU/g, 21.58-37.95 MPN/100 mL, B. cereus는 1.79-5.8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B지역 일반세균수는 6.41-8.44 log CFU/g, 대장균군은 1.57-2.82 log CFU/g, B. cereus는 2.48-6.00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C지역 일반세균수는 6.42-7.74 log CFU/g, 대장균군은 2.39-5.73 log CFU/g, 14.45-2419.6 MPN/100 mL, B. cereus는 1.48-5.5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C지역 III농가 토양에서 대장균이 1.8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2020년 채취해온 시료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A지역 일반세균수는 2.83-8.20 log CFU/g, 대장균군은 0.28-4.03 log CFU/g, B. cereus는 0.41-5.30 log CFU/g, S. aureus는 0.40-4.85 log CFU/g이 검출되었다. B지역 일반세균수는 0.84-7.25 log CFU/g, 대장균군은 3.13-3.56 log CFU/g, B. cereus는 1.69-2.82 log CFU/g, S. aureus는 2.44-3.78 log CFU/g이 검출되었다. C지역 일반세균수는 2.04-8.83 log CFU/g, 대장균군은 0.43-4.04 log CFU/g, B. cereus는 0.70-4.93 log CFU/g, S. aureus는 1.81-6.27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부추는 토양과 퇴비로부터의 오염, 농업용수로부터의 오염, 농업용수로 오염된 토양과 퇴비로의 오염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B. cereus가 오염될 수 있다. β-hemolysis 활성을 지니는 B. cereus가 부추와 재배환경시료로부터 분리되었기에 B. cereus의 오염 예방이 중요하다. 반면에 병원성 E. coli,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은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와 S. aureus의 오염을 줄이기 위해 농작물 재배 시 작물과 토양과 퇴비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멀칭 재배와 농업용수의 관리, 사용 후 퇴비 관리 등 재배 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미생물 오염도를 줄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산물로 인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작물과 재배환경의 모니터링 연구와 작업자의 위생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