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omplete removal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9초

Survival analysis of ex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based on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database

  • Hassam Ali;Joshua Zweigle;Pratik Patel;Brandon Tedder;Rafeh Khan;Saurabh Agrawal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1-157
    • /
    • 2023
  • Backgrounds/Aims: Cholangiocarcinoma (CCA) can be classified as intrahepatic CCA or extrahepatic CCA (eCCA). We intended to analyze and reports the survival outcomes for eCCA. Methods: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registry, site recode C24.0, was used to select cases of eCCA from 2000 to 2018. Patients with incomplete data or ages <18 years were excluded. Results: Male (52.69%) and White race (77.99%) predominated. Compared with 2000-2006, survival increased in 2013 (adjusted hazard ratio [HRadj]: 0.68, 95% confidence interval [CI] 0.58-0.70; p < 0.01). Surgery with chemoradiotherapy (HRadj: 0.69, 95% CI 0.60-0.7; p < 0.01) and surgery with chemotherapy (HRadj: 0.72, 95% CI 0.62-0.83; p < 0.01) improved survival over surgery alone. Compared with surgery without lymph node (LN) removal, surgery of four or more regional LN reduced the risk of death by 58% (HRadj: 0.42, 95% CI 0.36-0.51; p < 0.01). Compared with patients without surgery, patients who underwent bile duct excision (HRadj: 0.82, 95% CI 0.72-0.94; p < 0.01), simple or extended lobectomy (HRadj: 0.85, 95% CI 0.75-0.95; p = 0.009), and hepatectomy (HRadj: 0.80, 95% CI 0.72-0.88; p < 0.01) significantly improved survival. Patients with distal CCA had a 17% higher survival than perihilar CCA (HRadj: 0.83, 95% CI 0.74-0.92; p < 0.01) and LN dissection was equally beneficial for both subgroups (p < 0.01). Conclusions: Surgery with chemoradiotherapy has a proven increase in the 5-year survival of the eCCA. LN resection, bile duct excision, lobectomy, and hepatectomy have better outcomes.

경기 북부 지역 초등학교 영양사의 식자재 공급관리에 대한 인식도 및 실천도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Food Supply Management in Gyeonggi North Province)

  • 어금희;박영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62-571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dietitian's awareness and performance with regard to food suppliers' selection guidelines and purchase guidelines for the receipt of safe food material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03 dietitians working at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North province, and 190 responses were ultimately returned. Excluding responses with incomplete answers and significant missing data, 161 responses(79.3%) were ultimately utilized for data analysis. We determined that meat/poulty and seafood were purchased mainly by manufacturer's branch(59.8% and 78.3%), and processed food and kimchi were generally purchased by producer's cooperatives(47.7% and 44.9%). 78.3% of the contracts were made via informal purchasing and the frequency of contracts was less than 3 times per year(53.4%). Market studies were conducted individually(54.7%), and by group(47.2%). Dietitian and parents volunteered(50.3%) or dietitians, and school and foodservice staffs(45.3%) participated - together in receiving and inspection. School contracted with $4{\sim}5$(39.1%) and $6{\sim}8$ food suppliers(29.8%). Dietitians(42.3%) or school councils(40.2%) evaluated food suppliers once per semester(60.2%). The majority of dietitians(96.3%) conducted sanitary education for food suppliers once per semester (68.3%). All 13 guidelines which were usually used to evaluate food suppliers were thought to be important(more than 4) based on a 5 scale(1: never important, 5: very important). Among them, 'sanitary storage status of food products(4.85)', 'have a chill car(4.83)' and 'proper control of refrigerator, freezer and storage room(4.81)' were the most crucial guidelines. As dietitians evaluated food supplier's-observances of 13 guidelines, 'have a chill car(4.89)', 'hold medical examination of employees(4.89)' and 'hold liability insurance for handling product(4.80)' were fulfilled relatively well. The guidelines for conducting education for their employees(4.45) and keeping their establishment and equipment sanitary(4.79) were important, but were not observed well(3.39 and 3.37). Addition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observance score of the 'HACCP certificate' were fairly significant(4.44 and 3.54). Dietitians tended to report that purchasing management related to the removal of foodborne illness factors(4.71), return confirmation(4.50) and purchase specification(4.32) were important.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highest in the process of changing food suppliers when the contracts were violated more than three times. Dietitian's age, education work experience and employment type had no observable effects on how important they considered purchase management to be, but their work experience significantly affected performance in terms of the removal of foodborne illness factors(p<0.05). As supplier management is the most critical factor, it is clearly desirable to educate suppliers at specialized training centers and to supervise suppliers in accordance with the established sanitary guidelines.

Thermo-splint를 이용한 불안정한 관골궁골절에 대한 효과적인 고정방법 (The Effective Reduction Method of Unstable Zygomatic Arch Fracture with Thermo-Splint)

  • 김순흠;이수향;최현곤;신동혁;엄기일;송우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1호
    • /
    • pp.110-115
    • /
    • 2008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management of unstable zygomatic arch fracture. The reduction methods of arch fracture were relatively simple but the maintenance of reduction state is very troublesome. On this, authors introduce an effective management method of unstable zygomatic arch fracture. Methods: Authors experienced 23 cases of unstable segmental zygomatic arch fractures and used Thermo-splint in all cases. All the arch fractures were reduced through Gillies' approach under the general anesthesia. After the reduction, the most effective suspension points were marked on the covering skin of the fractured arch. A needle of heavy nonabsorbable suture material was inserted toward the marking site under the reduced zygomatic arch. And then Therm-splint was dipped in the hot water, and we got the splint pattern of patient face. Reshaped Thermo-splint was trimmed and fixated with previous suspension suture materials. More additive suspension was done if necessary. The splint was applied for in two to three weeks postoperatively. Results: In all the cases, good cosmetic and functional results were observed without severe complications. There were 4 cases of incomplete reductions but they also had no specific problems. There were no facial nerve symptom and scar(stitch mark). Postoperative slight tenderness and trismus were completely subsided after removal of the splint. Conclusion: The Thermo-splint safely protect and maintain the postoperative reduction state. The application, maintenance and removal were easy and simple. It could be reformed to any contour of face and had enough rigidity for supporting. Above all these things, effective prevention of displacement and easy manipulation were significant merit. Authors experienced good results with Thermo-splint, and would introduce it for another method of management of zygomatic arch fracture.

산성광산배수에 의한 한창탄광 부근 지하수의 오염과 자연정화처리시설 효율에 관한 연구 (Th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by Acid Mine Drainage in the Vicinity of the Hanchang Coal Mine and the Efficiency of the Passive Treatment System)

  • 지상우;김선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2호
    • /
    • pp.9-18
    • /
    • 2003
  • 폐탄광에 의한 주변 지하수의 오염원과 오염 경로의 파악을 위해 강원도 평창군 소재 한창탄광을 대상으로 계절 변화에 따라 SAPS(Successive Alkalinity Producing System)를 이용한 자연정화 처리시설 공정의 각 단계와 폐석침출수, 탄광부근 샘물시료가 채수 및 분석되었다. 또한 지하수의 오염원 규명과 SAPS조에서의 황산염 환원 발생여부를 확인하고자 황동위원소 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지역의 지하수에서 계절적인 변화와 관계없이 높은 수소이온농도와 금속농도가 나타나는 것은 산성광산배수가 계절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처리시설은 산도(acidity) 제거량이 평균 18.17 g/$\textrm{m}^2$/day이고 가장 오염부하량이 많았던 9월에는 59.02 g/$\textrm{m}^2$/day 이며, 금속제거능은 거의 100%에 이르러 다른 지역의 처리시설에 비해 높은 정화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처리시설의 각 공정 단계별로는 황 함량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고 황동위원소 조성의 변화도 거의 없었는데 이는 황산염환원박테리아에 의한 황산염환원 작용은 매우 미약하거나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화학조성과 황동위원소 조성을 통해 샘물은 폐석침출수에 의해, 처리시설내 석축침출수는 폐석침출수와 갱구유출수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지역은 갱구유출수에 대한 처리시설이 가동중에 있으나 폐석침출수에 대한 대책은 없는데 이는 다른 폐광지역에서도 유사한 상황이므로 폐석침출수에 대한 오염방지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침윤성 방광암 환자에서 방광 보존 치료 (Combined Modality Therapy with Selective Bladder Preservation for Muscle Invading Bladder Cancer)

  • 윤선민;양광모;이형식;허원주;오신근;이종철;윤진한;권헌영;정경우;정세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237-244
    • /
    • 2001
  • 목적 : 침윤성 방광암 환자를 대상으로 TURBT (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과 유도 항암화학요법(neoadjuvant MCV chemotherapy) 후 방사선 항암화학 병용요법(cisplati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을 받은 환자에서 치료의 적응도, 국소 반응율, 방광 보존율과 생존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0월부터 1998년 6월까지 TURBT 시행 후 병리 조직검사 상 침윤성 방광 이행상피암으로 진단 받은 병기 T2-T4, Grade II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과정은 TURBT 후 4주 간격으로 2회의 유도 MCV(methotrexate, cisplatin, vinblastine) 복합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고 그 후 cisplatin과 방사선 동시 병용요법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15$ MV X-ray를 사용하여 하루 1.8 Gy씩 $39.6\~45\;Gy$를 전 골반에 $4\~5$주간에 걸쳐 조사하였다. 치료 종료 후 방광내시경을 통해 관해율을 판정하여 완전 관해인 경우 $1\~2$주 후 보강 방사선조사를 cisplatin과 병용하여 19.8 Gy를 시행하였다. 부분 관해인 경우 근치적 방광 절제술을 예정하였고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항암제 병용 강화 방사선치료를 받도록 하였다. 환자의 추적관찰기간은 $34\~67$개월로 중앙값이 49.5개월이었다. 결과 : 총 26명의 환자가 유도 항암화학요법을 위해 등록되었으며 유도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항암화학 병용요법을 완료한 환자는 21명$(81\%)$이었다. 유도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항암화학 병용요법 후 방광내시경을 통해 완전 관해 판정을 받은 환자는 21명 중 7명$(33\%)$이었고 부분 관해 환자는 14명$(67\%)$이었다. 완전 관해 환자 중 강화 항암제 병용 방사선 19.8 Gy를 받은 환자는 7명 중 6명$(85\%)$이었고, 이들 중 5명$(14\%)$은 재발 없이 방광을 보존하였다. 부분관해 환자중 1명이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받았으며 3명이 TURBT와 2회의 MCV 항암요법을, 10명이 추가의 항암화학 방사선 병용요법을 받았다.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받은 1명은 수술 소견상 방광 내 종양이 존재했으나 수술 후 재발이 없었다. 전체 21명의 환자중 12명$(58\%)$이 방광을 보존하면서 생존하고 있고 8명이 방광암으로 사망하였으며 1명이 다른 질병으로 사망하였다. 전체 환자의 중앙 생존기간은 27개월이며, 5년 생존율은 $55\%$ 였다. 유도 항암화학요법과 항암제 방사선치료 후 완전 관해 환자의 경우 5년 생존율은 $80\%$, 부분 관해 환자 $14\%$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유도 항암화학요법과 항암제 병용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grade 3 이상의 혈액학적 부작용의 빈도는 각각 백혈구 감소증 6명$(29\%)$, 혈소판 감소증 1명$(4\%)$이었으며 이로 인한 화학요법의 지연은 1명$(4\%)$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 침윤성 방광암 환자에서 유도 항암화학요법 및 항암제 병용 방사선치료를 적용하여 방광 보존을 및 5년 생존율에 있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완전한 TURBT와 유도 MCV 항암요법과 cisplatin 방사선 병용요법에서 완전관해 여부가 방광보존가능성과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생각되고 만약 완전관해를 이루지 못하면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생물막 반응조에서 아질산염 축적에 미치는 운전인자 영향과 하수슬러지 가용화에 의한 탈질반응의 외부탄소원 공급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Operating Parameters on Nitrite Accumulation in a Biofilm Reactor and Supplement of External Carbon Source for Denitrification by Sewage Sludge Solubilization)

  • 안혜민;이대성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63
    • /
    • 2013
  • 고농도 질소를 함유한 하 폐수를 아질산염 축적 경로를 통하여 처리하고자 생물막공정과 연속혼합반응조의 탈질공정을 결합하여 운전하였다. 생물막 반응조의 폴리에틸렌 담체 표면에 아질산염 산화균에 비해서 암모늄 산화균의 성장을 촉진하여 아질산염을 선택적으로 축적하고자 반응조 온도를 $35^{\circ}C$로 유지하면서 석달 이상 장기간 운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입수 암모늄(500 mg-N/L)의 일부만 아질산염(240 mg-N/L)으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pH를 7.5에서 8.0으로 증가시켰을 때, 아질산염 산화균들이 높은 암모니아 농도에 성장 저해를 받아 생물막 공정에서 아질산염 축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었다. 생물막 공정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12시간으로 운전하였을 때, 반응조의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유입수의 암모늄이 완전히 산화되지 않았다. 하수슬러지의 생분해성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가용화 기술을 적용한 결과, 알칼리와 초음파 처리를 순차적으로 병합하였을 때, 가장 높은 가용화율(58%)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탈질반응조의 외부탄소으로 사용하였다. FISH 분석결과로부터 담체표면에 암모늄 산화균인 Nitrosomonas와 Nitrospirar계열의 미생물들이 우점종이었으며 일부 아질산염 산화균인 Nitrobacter 계열의 미생물도 소량이지만 관찰되었다.

탈질에서 질소성분 및 유기탄소 농도가 $N_2O$ 배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Compounds and Organic Carbon Concentrations on $N_2O$ Emission during Denitrification)

  • 김동진;김헌기;김유리
    • 청정기술
    • /
    • 제17권2호
    • /
    • pp.134-1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하폐수 탈질 과정에서 전자수용체의 종류와 농도, 전자공여체/전자수용체(C/N)비율, 그리고 전자공여체의 복합도(complexity)가 $N_2O$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탈질 질소원의 농도가 높을수록 $N_2O$ 배출량도 증가했으며 ${NO_2}^-$를 이용하는 경우가 ${NO_3}^-$에 비해 $N_2O$ 배출량이 높아 ${NO_2}^-$$N_2O$ 배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NO_2}^-$-N 50 mg/L에서 $N_2O$-N으로의 전환율 9.3%와 수율 9.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O_3}^-$-N은 50 mg/L에서 전환율이 5.6%, 수율은 11.0%로 나타났다. 유기탄소원/질소(C/N) 비율이 감소하면 질소 제거율은 감소하나 $N_2O$로의 전환율은 증가하였다. 실제 하수를 전자공여체로 이용한 경우가 단일 탄소원인 acetate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N_2O$ 배출량이 1/10 이하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는 복합 탄소원이 전자공여체로 이용될 경우 단일 탄소원(acetate)에 비해 다양한 탈질 대사(경로)를 이용하고 이것이 $N_2O$ 배출량 저감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과산화수소에 의한 시안의 분해특성 (Characteristics of Cyanide Decomposition by Hydrogen Peroxide Reduction)

  • 이진영;윤호성;김철주;김성돈;김준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2호
    • /
    • pp.3-1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시안 성분을 제거함에 있어 처리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과산화수소에 의한 시안분해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용액중의 과산화수소의 자가분해반응은 pH와 금속촉매(Cu) 유무에 크게 좌우된다. pH 10 이하에서는 자가분해반응은 미미하여 90%이상의 과산화수소가 잔류하지만 pH 12에서는 90경과시 잔류 과산화수소가 9%이하로 낮아졌다. 금속촉매 첨가(5 g Cu/L)한 경우 pH 12에서도 40분 경과후 대부분의 과산화수소가 분해되었다. 유리시안의 휘발성은 용액의 pH에 크게 좌우된다. 동일한 240분 경과시 pH 8이하에서 대부분의 시안이 휘발하는데 반하여 pH 10이상에서는 10%미만이 휘발하였다. 비촉매반응에 의한 과산화수소의 시안분해실험에서는 $H_2$$O_2$/CN 몰비 4까지 과다하게 증가하여도 8%가량의 시안이 잔류하였다. 그러나 구리촉매반응에 의한 과산화수소의 시안분해 실험에서는 과산화수소 및 구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해속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일정량 이상 첨가시 과산화수소의 자체분해 반응에 의해 $H_2$$O_2$의 시안분해 효율이 감소하며 과산화수소와 구리의 적정투입량은$ H_2$$O_2$/CN 몰비 2, Cu 몰비 0.05로서 이때의 분해속도는 22 mM/min, $H_2O$$_2$효율은 57%이었다. 또한 이러한 적정조건에서 70분 반응시 완전제거가 가능하였다.

성인에서 발생한 중배엽성 신종의 폐전이 1예 (A Case of Lung Metastasis of Mesoblastic Nephroma in Adulthood)

  • 문진욱;김길동;신동환;한창훈;정재호;박무석;정상윤;이재혁;김영삼;김세규;김성규;장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4호
    • /
    • pp.402-407
    • /
    • 2003
  • 저자 등은 성인에서 드물며, 또한 국내에서 원격전이를 일으킨 예가 보고된 바 없는 중배엽성 신종이 35세 여자 환자에서 발생하여 신적출술 7년 후 폐전이로 하나의 큰 종괴를 형성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석회화 건염의 보존적 및 수술적 치료 결과 (Conservative and Arthroscopic Treatment of Calcific Tendinitis)

  • 최창혁;김신근;이호형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167-174
    • /
    • 2007
  • 목적: 석회화 건염에 대하여 보존적 치료 및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 후 석회질 소실정도와 임상경과를 비교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석회화 건염으로 진단받은 126예 중 6개월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주사치료 64예 및 수술 치료 12예를 대상으로 하여 석회질의 소실정도와 임상증상의 호전을 비교 관찰하였다. 126예의 평균연령은 53세, 여성이 77%였으며, 극상 건에 침범한 경우가 84%였다. 결과: 주사 치료의 경우 77%(49/64)에서 증상의 호전을 볼 수 있었다. 방사선적으로 석회질의 완전소실을 볼 수 있었던 경우는 36%(23/64)였고 불완전 소실은 17%(11/64)였으며, 석회질 크기에 변화가 없었던 경우가 47%(30/64)였다.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한 석회질은 83%(10/12)에서 평균 3.9개월에 완전 소실되었다. 결론: 용해기의 급성통증은 스테로이드주사로 증상의 호전을 볼 수 있었다. 형성기의 석회화건염에 대한 관절경하 수술적 치료 시 완전제거를 시행할 필요는 없으나, 완전한 증상완화를 위해서는 석회침착물의 완전 소실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