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omplete pericardiu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Indentation in the Right Ventricle by an Incomplete Pericardium on 3-Dimensional Reconstructed Computed Tomography

  • Kim, Hak Ju;Kwak, Jae G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4호
    • /
    • pp.298-299
    • /
    • 2017
  • We report the case of a 17-year-old girl who presented with an indentation in the right ventricle caused by an incomplete pericardium on preoperative 3-dimensional reconstructed computed tomography. She was to undergo surgery for a partial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Preoperative electrocardiography revealed occasional premature ventricular beats. We found the absence of the left side of the pericardium intraoperatively, and this absence caused strangulation of the diaphragmatic surface of the right ventricle. After correcting the lesion, the patient's rhythm disturbances improved.

Conjoined Twins 1례 (A Case of Conjoined Twins)

  • 강미화;신손문;전진곤;김미진;남혜주;김성림;김종욱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2호
    • /
    • pp.255-261
    • /
    • 1988
  • 저자들은 본원에서 제왕절개술에 의해 태어난 후 약 3시간만에 사망한 dicephalus type의 conjoined twins를 1례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만성 교약성 심낭염 (23례 수술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chronic constrictive pericarditis: Report of 23 cases)

  • 박영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권1호
    • /
    • pp.61-68
    • /
    • 1968
  • In the 10 years from 1958 through 1968, 23 patients have undergone 24 times of operation for constrictive pericarditis at this department. Follow-up data were available for periods varying several months to almost 10 years from examination at this department or follow-up letters. There were 21 males and 2 females in this series. Range of the age varied from 2 years to 53 years. Seven cases were below 15 years of age. There were two hospital death, one expired two weeks and another four weeks after the pericardiectomy. In both of them, myocardial damage by disease process seemed to be major contributing factors. Clinical and histological study showed tuberculous origin in 12 cases, non-specific chronic infiammatory changes in 8 cases and in 3 cases previous pyogenic pericardial infection by staphylococcus preceded to the constriction. In 11 cases bone tissue was noted microscopically in the pericardium: Sixteen patients[70 %]had pleural effusions, five cases had bilateral, 6 right, and 5 left. Calcification was seen along cardiac border in 9 cases. In 15 catheterized patients, 6 showed pressure gradients between vena cava and right atrium, ranging from 6 mmHg to 10 mmHg. One case was reoperated 3 months after the original operation resulting in marked improvement. In this reoperated case the original pericardiectomy seemed to be incomplete. In 21 cases. excluding 2 hospital death, symptoms and physical findings improved markedly in every patient

  • PDF

흉선상피종의 치료 성적: 예후 인자 및 방사선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 (Treatment Outcome of Thymic Epithelial Tumor: Prognostic Factors and Optimal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 오동렬;안용찬;김관민;김진국;심영목;한정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85-91
    • /
    • 2005
  • 목적 : 본 연구는 흉선상피종의 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치료 성적과 예후 인자로서 WHO세포형의 중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방사선 조사 범위를 종양이 있던 부위로 국한하였을 때 재발 양상을 분석하여 조사 범위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2월부터 2004년 6월까지 흉선상피종으로 진단 받고 수술을 시행 받은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및 병리조직 소견 상 (1) 종양의 완전 절제가 의심되는 경우, (2) 병리 검사결과 절제연이 양성인 경우, (3) 조직병리가 WHO 세포형 B2이상인 경우, (4) Masaoka 병기 2기 이상인 경우에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추가하도록 권유하였으며, 실제 99명이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다. 방사선치료의 표적 용적은 종양 원발 부위에서 $1.5\~2$ cm 여유를 두고 결정하였으며, 매일 1.8 Gy또는 2 Gy씩, 주 5회 조사하는 통상분할조사법으로 목표선량은 54 Gy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87.3\%$였다. 단변량 분석결과 5년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연령(60세 이상 $77.8\%$, 60세 미만 $91.3\%$: p=0.03), Masaoka 병기(1기 $92.2\%$, 2기 $95.4\%$, 3기 $82.1\%$, 4기 $67.5\%$: p=0.001), WHO세포형(A-B1 $96.0\%$, B2-C $82.4\%$: p=0.001), 절제 정도(완전절제 $92.3\%$, 부분절제 및 조직검사 $72.3\%$: p=0.001)였다. 다변량 분석 결과는 WHO 세포형만이 유의한 차이(p=0.03)를 보였다. 육안적 완전 절제(R0-1 절제) 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종양 원발 부위에만 시행 받았던 Masaoka 병기 1-3기 환자 71명 중 총 5명에서 재발이 확인되었고, 재발 부위는 늑막강 파종이 2명, 심장막강 파종 및 폐 전이 1명, 폐 전이 1명이었고, 단 1명만이 종격동 림프절 재발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 조사범위 안에서 재발은 없었다. 결론 : WHO 세포형은 Masaoka 병기, 완전 절제 여부, 연령과 함께 흉선상피종 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후인자로 확인되었다. 또한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는 조사범위를 종양 원발 부위에 국한하여 시행하는 것이 재발 양상 및 부작용을 고려할 때 안전하고 유효한 방법으로 판단되며, 늑막강 및 심장막강 파종에 의한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보조적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