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ome Elasticity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 추정 (Estimating the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in Korea)

  • 양정승
    • 노동경제논집
    • /
    • 제35권2호
    • /
    • pp.79-115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을 보다 정확히 측정하고자 시도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들에서 세대 간 소득탄력성 추정치가 낮았던 주요한 이유는 표본 선택 문제에서 기인함을 보였고, 이러한 문제를 수정한 OLS추정치는 선행연구들에 비해 다소 높았다. 또한 희귀분석에서 발생하는 하향편의를 희귀분석 방법에 의해 항상소득과 임시소득의 분산을 추정하여 계산하였다. 추가적으로 다른 표본들을 연결하여 도구변수 추정을 함으로써 표본 선택 문제가 야기할 수 있는 편의 정도의 범위를 설정하고자 시도하였는데 이러한 방법들에 의한 추정 결과는 단순 희귀분석에 의한 결과와 비슷하거나 다소 높았다.

  • PDF

비선형 공적분모형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소득탄력성 추정 (Time-Varying Income Elasticity of CO2 emission Using Non-Linear Cointegration)

  • 이성로;김효선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3권3호
    • /
    • pp.473-496
    • /
    • 2014
  • 본 논문은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소득과의 비선형적인 관계를 시간변동계수를 갖는 공적분모형으로 추정하였다. 특히 이산탄소배출량의 소득효과를 시간에 따라 서서히 변하는 것으로 모형화하였고, 이를 비모수적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선진국의 경우 소득탄력성이 시간에 대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 반면에 개발도상국의 소득탄력성은 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경제 발전단계에 따라 소득이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환경쿠즈네츠곡선에서 의미하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고, 또한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 상에서 의무준수 대상국(Annex I)과 Non-Annex I 국가 구분이 필요하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러한 차이는 선진국에 비하여 개도국의 경우 소득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이 상대적으로 더욱 가속화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기후변화협약 상에서 개도국에 대한 기술이전 및 재정지원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에 대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내국인 국제관광수요에 대한 소득 및 여행가격효과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Income and Travel Price Effects on Korean nternational Tourism Demand)

  • 박진석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1호
    • /
    • pp.279-2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륙별로 선정된 13개 국가에 대한 내국인 국제관광수요의 특성을 소득 및 여행가격탄력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990:1부터 2006:2까지의 분기별 자료이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국인의 13개 국가별 국제관광수요와 실질소득, 그리고 여행가격변수들 사이에는 안정적인 장기균형관계가 존재한다. 둘째, 13개 국가들에 대한 국제관광수요의 소득탄력성은 모두 '1'보다 크게 나타나 국제관광은 사치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소득탄력성은 국제관광 대상 국가별로는 차이가 존재하지만 여행거리별로는 일관된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소득탄력성이 큰 국가로는 호주, 필리핀, 태국, 중국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13개 국가들에 대한 국제관광수요의 여행가격탄력성 역시 국가별로 차이가 존재한다. 즉 여행가격탄력성은 탄력적인 경우와 비탄력적인 경우가 혼재하였으며, 전체적으로는 탄력적인 경우가 비탄력적인 경우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행가격탄력성이 가장 높은 국가로는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낮은 국가로는 홍콩과 미국을 들 수 있다.

식료품 소비구조의 분석 -소득을 중심으로(1975~1985년)- (An Analysis of the Food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1975~1985)

  • 김미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9-122
    • /
    • 1988
  •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the food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of wage-Earner's Households n terms of the changes in income during 1975∼1985. For the purpose of these time-series analysis and cross-section analysis, household survey data 'Annual Report on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was used.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proportion of the food expenditures h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of income in the city families during 1975∼1985. The Income-Elasticity and limit spending habits h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income in the city families during 1975∼1985. 2.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food consumption of each income class, the results reflected the Engel's law. That is to say, the higher income was, the more absolute expense for food was, but the rate of it was.

  • PDF

제주-내륙 간 국내선 항공여객수요모형 및 탄력성의 추정 (Estimation of Air Travel Demand Models and Elasticities for Jeju-Mainland Domestic Routes)

  • 백승한;김성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63
    • /
    • 2008
  • 제주-내륙 간 국내선 항공여객수요는 여가통행의 대표적인 시계열 특성인 1년을 주기로 증감을 반복하는 전형적인 계절변동 패턴을 보인다. 본 연구는 10년(1996${\sim}$2005) 동안의 제주-내륙 간 월별 시계열 총량자료를 이용하여 단순시계열모형과 부분조정모형 및 이들 모형별 탄력성(소득, 운임)을 추정하였다. 탄력성 추정결과 단순시계열모형의 경우 소득탄력성은 탄력적(1.55), 운임탄력성은 비탄력적(-0.49${\sim}$-0.59)으로 추정되었다. 부분조정모형의 경우 소득탄력성은 단기에는 비탄력적(0.51), 장기에는 탄력적(1.88)으로 추정되었으며, 운임탄력성은 장 단기 모두 비탄력적으로 추정되었으나, 단기(성수기:-0.13, 비수기:-0.20)보다는 장기(성수기:-0.48, 비수기:-0.72)가 보다 더 탄력적으로 추정되었다.

단감의 생산요소 수요구조분석 (A Study on the Factor Demand Structure of Sweet Persimmon)

  • 유리나;황수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843-5849
    • /
    • 2015
  • 본 연구는 단감농가의 생산비절감방안 모색을 위해 생산요소 수요구조를 분석했다. 2001~2013년간 농산물소득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초월대수 비용함수를 추정하고 노동, 자본, 중간투입재간 가격 및 대체탄력성을 계측했다. 분석결과 생산요소 모두 가격변화에 따른 수요변화가 크지 않고 특히 비용부담이 가장 큰 노동의 가격상승에 따른 타 생산요소의 대체성이 낮아 구조적으로 단기간에 노동 수요를 줄이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산비절감을 위해서는 노동에 비해 수요가 탄력적인 중간투입재, 특히 탄력성이 큰 비료와 기타재료비를 중심으로 비용절감이 이뤄져야함을 시사한다.

돼지고기 부위별 수요함수 추정 - 수도권 소비자를 중심으로 - (The Estimation of the Demand Function of Pork Cuts)

  • 남국현;최영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3권1호
    • /
    • pp.27-37
    • /
    • 2016
  • This paper estimated the demand function of the cuts of pork by using the consumer panel and the weather data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ith a log-log model and AIDS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price elasticity of demand for cuts of pork is high in the sequence of arm shoulder, leg, special cuts, tenderloin, blade shoulder. In contrast, spare rib, belly and loin are classified as low price elasticity of demand. The income elasticities of demand for leg and blade shoulder are 11% and 7.6% respectively. The loin is classified as inferior goods, because demand decreases when income increase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show that the demand increases highly in the sequence of loin, arm shoulder, spare rib, belly if housewife is older, and the demand of belly increases when family number increases. Belly substitutes every cut except spare rib, and tenderloin substitutes special cuts. Spare rib, on the other hand, does not substitute other cuts. In addition, job status, family member, husband job, purchasing place, consumer characteristic, eating-out times, purchasing time, and weather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가계분석에 있어서 Engel curvedml 함수형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ms of Engel Curves in the Analysis of Household Budgets)

  • 배연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7-101
    • /
    • 1990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test to fit forms of the Engel curves to data. The comparisons were confined to the linear, semi-logarithmic and double-logarithmic forms. Data from the 1970-1987 Urban Household Economy Survey were used to estimate the Engel curves. The twelve categories of consumption expenditure were considered for investigation. Parameters of the Engel curves were derived from OLS and TSLS. In this paper the size of the family was used as the deflater.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Comparing with the R2 of three fom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linear form generally gave a better fit to data than the other forms did. Only for housing and clothing and foot wear, did the semi-logarithmic form give a better fit. Only for meals outside the home, fuel, light and water charges, and miscellaneous, did the double-logarithmic form give a better fit. 2. Comping with the income elasticities based on the alternative form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stimates were since each form made different assumption as to the way in which elasticity varied. In general, the semi-logarithmic form gave the highest estimate and double-logarithmic form did the lowest estimate. The difference between semi-logarithmic and the other forms were greater than the those of linear and double-logarithmic form. 3. It was found that the income elasticity varied with the difinition of income used as an explanatory variable in Engel curves.

  • PDF

횡단면 자료를 이용한 주택용 전력의 수요함수 추정 (Estimation of residential electricity demand function using cross-section data)

  • 임슬예;임경민;유승훈
    • 에너지공학
    • /
    • 제22권1호
    • /
    • pp.1-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전국 521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횡단면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여 주택용 전력의 수요함수를 추정하고자 한다. 주택용 전력의 수요함수는 수용가의 전력 수요행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가격과 같은 주요 정책변수의 효과를 사전적으로 진단하는 데, 그리고 수요예측을 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수요함수의 모수에 대한 강건한 추정치를 얻기 위해 오차항의 분포에 있어서 동분산 및 정규성의 가정을 하지 않는 최소절대편차 추정량을 사용하였다. 가격탄력성 및 소득탄력성은 각각 -0.68 및 0.14로 추정되었으며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격탄력성 및 소득탄력성은 모두 가격 및 소득 변화에 비탄력적인 주택용 전력수요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는 주택용 전력이 필수적인 재화로서 가격이 변동된다고 해서 급격하게 수요를 조정하기 어려우며 소득이 변동된다고 해서 수요가 빠르게 조정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가구특성에 따른 소비지출행태 분석 (An Analysis of Consumer Expenditure Patterns according to Household Characteristics)

  • 박문수;정호근;고대영;이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564-557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Price-Scaling AIDS 모형을 바탕으로 가구별 특성의 차이가 소비지출 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서비스 품목들의 소득탄력성은 비서비스 품목들의 소득탄력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나 향후 가구소득이 늘어날 경우 서비스 품목들에 대한 더 큰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품목별 가계의 소비지출행태는 연령별, 소득수준별로 상이한 모습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서비스 품목에 대한 지출비중이 높은 전통적인 가계지출구조에서 보건, 교육, 통신 등과 같은 서비스품목에 대한 지출비중이 높은 구조로의 전환이 촉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서비스품목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한 가계소비지출 구조의 변화는 관련 서비스 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서비스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더욱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분야에 대한 잠재수요 및 성장가능성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더불어 해당 서비스 시장의 형성 및 확대와 관련한 공급측의 적절한 대응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