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lined Road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초

자동차 연비향상을 위한 복합재료 적용 타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uitability of Composite Materials for Enhancement of Automotive Fuel Economy)

  • 주연진;권영철;최흥섭
    • Composites Research
    • /
    • 제32권5호
    • /
    • pp.284-289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KIA K3 (1.6) 가솔린 자동차의 연비(km/liter)식을 동력학적 힘-모멘트 평형 방정식, 구동력 및 에너지 방정식을 구성하고 분석하여 유도하였다. 이를 통해 차량의 속도(V), 자동차 총 중량(M), 타이어-노면의 롤링저항계수($C_r$), 도로 경사각(${\theta}$)과 항력계수($C_d$), 차량의 횡단면적(A)과 같은 공기역학적 매개변수가 자동차의 연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경량금속합금, 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료와 같은 대체재료가 기존 자동차의 강재, 주철재를 대체하여 차량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가능성 등을 Ashby의 재료지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속(100km/h)에서 연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매개변수는 그 크기순으로 자동차의 속도 V와 공기역학적 매개변수인 $C_d$, A, ${\rho}$ 및 동력학적 매개변수인 $C_r$, M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저속(60 km/h)에서는 동력학적 매개변수로는 V, M, $C_r$의 순서로, 공기역학적 매개변수로는 $C_d$, A, ${\rho}$ 순으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Role of Tobacco Warning Labels in Informing Smokers about Risks of Smoking among Bus Drivers in Mangalore, India

  • Mallikarjun, Sajjanshetty;Rao, Ashwini;Rajesh, Gururaghavendran;Shenoy, Ramya;Mithun, Pai B.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9호
    • /
    • pp.8265-8270
    • /
    • 2014
  • Background: Smoking tobacco is considered as a leading cause of preventable death, mostly in developing countries like India. One of the primary goals of international tobacco control is to educate smokers about the risks associated with tobacco consumption. Tobacco warning labels (TWLs) on cigarette packages are one of the most common statutory means to communicate health risks of smoking to smokers, with the hope that once educated, they will be more likely to quit the habit. Materials and Methods: The present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WLs in communicating health risks of tobacco usage among 263 adult smokers working as bus drivers in Karnataka State Road Transport Corporation (KSRTC), Mangalore, India. Information was collected on demographic details, exposure and response to health warnings on tobacco products, intention to quit and nicotine dependency. Results: The majority (79.5%) of the respondents revealed negative intentions towards quitting smoking. Nearly half of the participants had a 'low' nicotine dependency (47.5%) and 98.1% of the respondents had often noticed warning labels on tobacco packages. These health warnings made 71.5% of the respondents think about quitting smoking. Respondents who noticed advertisement or pictures about dangers of smoking had better knowledge, with respect to lung cancer and impotence as a consequence of tobacco. A higher exposure to warning label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nicotine dependency levels of smokers among the present study population.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respondents who noticed advertisement or pictures about the dangers of smoking thought about the risks of smoking and were more inclined to think about quitting smoking. As exposure increased, an increase in the knowledge and response of participants was also observed. Conclusions: Exposure to tobacco warning labels helps to educate smokers about health risks of tobacco smoking. It may be possible to promote oral health among bus drivers by developing strategies to educate them about these risk factors.

전복사고 운전자를 대상으로 자동차 안전장치에 대한 행동특성 분석 (An analysi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drivers in roll-over accident)

  • 이효주;김호중;이강현;이명렬;최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329-7334
    • /
    • 2015
  • 본 연구는 전복에서 사고의 특성과 운전자의 행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1년 1월에서 2014년 5월까지이며 연구대상은 전복사고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운전자 10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교통안전공단 인체상해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여기에는 자동차의 손상정도와 환자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리된 내용으로 차량의 기본정보와 환자정보, 손상의 역학적 원인과 사진 상의 손상정보, 환자의 임상적 손상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Chi-square test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차량종류에 따른 손상정도계수(Injury Severity Score) 평균 점수는 작은 차량에서 6.00점, 높은 차량에서 11.78점, 그 외 차량에서 14.70점을 보였고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267). 안전벨트 착용 여부에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안전벨트를 유의하게 착용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P=.007), 차량 종류나 날씨 등이 안전벨트 착용 여부와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P=.755, P=.793). 하지만 차량의 크기가 작을수록 운전자들이 안전벨트를 차용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고, 날씨가 맑은 날 오히려 안전벨트를 좀 더 착용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복 사고에서도 다른 사고 유형에서와 마찬가지로 안전벨트 착용 여부가 손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