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hon dock ecosystem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인천항 선거내 해양환경의 이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Physicochemical Factors of Inchon Dock Ecosystem, Korea)

  • 유종수;이인규;이진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1호
    • /
    • pp.61-68
    • /
    • 1997
  • Due to its lack of wave action and tide ecosystem in Inchon dock lacks in marine characteristics. Structural condition in the dock is artificially similar to that of lak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water quality, to provide the basic physicochemical data and tl resolve the causation of ?미 blooming. Samples were obtained monthly from four stations in Inchon dock during January to December, 1991.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2.7^{\circ}C$ to $27.6^{\circ}C$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air temperature. Salinity varied between 24.7%-30.4% thus being influenced by freshwater discharged from a spring. Dissolved oxygen was concentrated from 0.1-13.92 mg/l and suspended solids were 6.9-231.0 mg/l. The physicochemical factors were similar to those investigated 10 years ago. However, increased concentration of nitrogenous nutrients initiated ?미 blooming and its process was accelerated to reach eutrophication. Algal blooming was proceeded in March and August.

  • PDF

인천권 폐쇄 해양생태계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일차생산력 (Fluctua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Closed Marine Ecosystem, Inchon Dock)

  • 유종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323-332
    • /
    • 1992
  • 인천항 폐쇄 해양상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일차생산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1990년 8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시료를 채집, 분석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chlorophyll-a로 분석한 결과 총 엽록소량은 $1.61-28.67\;\mu\textrm{g}$ Chl-a/l였는데 이 중 nanoplankton($2-20\;\mu\textrm{m}$)은 조사 시기와 정점에 따라 총 엽록소량의 19.0-82.3%를 차지하였고, picoplankton($0.2-2\;\mu\textrm{m}$)은 4.5-51.4%를 차지하였다. 한편, $^{14}C$ method를 이용한 식물플랑크톤에 일차생산력을 $49.4-4359.4\;mg\;C{\cdot}m^{-2}{\cdot}day^{-1}$로 측정되었는데, 이 중 미세플랑크톤($20\;\mu\textrm{m}$)의 기여율은 18.8-94.6%여서 세포 크기가 작은 개체군의 생물량과 생산력이 전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월변호를 보면 3월에 1차 대발생이 일어났고 8월에 2차 대발생이 일어났다.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실소요구량은 동계에 $0.7\;mg\;at-N{\cdot}m^{-2}{\cdot}day^{-1}$에서 하계에 $60.7\;mg\;at-N{\cdot}m^{-2}{\cdot}day^{-1}$로 증가하였고 질소계 영양염에 대한 회전시간(turnover time)은 동계에 149.9일에서 하계에 1.0일이여서 하계에 질소 이용율이 매우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동화수(assimilation number)는 하계에 증가하고 동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