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place

검색결과 14,450건 처리시간 0.037초

Efficient Registration Plan of Place Names for Reinforcement of Active Region in Antarctica

  • Yun, Hee Cheon;Park, Joon Kyu;Lee, Jong Si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6_2호
    • /
    • pp.549-557
    • /
    • 2013
  • The Antarctica continent does not belong to any countries so that a place in the region has some different place names between countries. Korea gave Korean place names to the places around the King Sejong Station, and the names have since been used by Korean researchers on the Antarctic. However, they have yet to be registered officially at CGA(Composite Gazetteer of Antarctica) by November 2010. Therefore, to prepare for the possible disputes over territorial claims in Antarctica and to expand and specify activity areas, this research trie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advanced countries' committees on place names of Antarctica, their procedures of registering names and their registration criteria, and thereby suggest an efficient plan for registering place names of Antarctica. If the plan suggested in this research is actively reviewed and applied, it will be able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advancing the place names of Antarctica and research on the Antarctic.

"삼국유사" 기이편 '수로부인'조에 근거한 헌화가(獻花歌)와 해가(海歌) 배경지 추정에 관한 연구 (The Estimation on the Background Place of Heonhwa-ga(獻花歌) and Hae-ga(海歌) Based on the Suro-buin(水路夫人) Item, Giyi(紀異) part in Samgukyusa(三國遺事))

  • 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2-100
    • /
    • 2014
  • "삼국유사" '수로부인'에 나오는 '헌화가'의 배경 설화를 토대로 헌화가와 해가의 배경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추정해보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헌화가 배경지는 경북 영덕군 남정면 부경리 지경천 골곡포(骨谷浦) 부근 암석단애지 일대로 판단된다. 2) 해가 배경지(임해정 옛터)는 헌화가 배경지인 골곡포에서 이틀거리(약 60km)에 위치하는 울진의 월송정 일대로 판 단된다. 3) 일부 지자체에서 주장하는 헌화가 배경지와 해가 배경지는 지자체들의 장소 마케팅(place marketing) 차원에서 설정된 경향이 강해 설득력이 없다.

  • PDF

재미 한인청소년의 집에 대한 장소애착,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lace Attachment to Home, Acculturative Stres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Korean Youth in the United States)

  • 이진숙;데지레 친
    • 아동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33-48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ce attachment to home, acculturative stres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Korean youth in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better understand how place attachment to home and acculturation stress impacts upon youth's psychological adjustment, as measured by depression and self-esteem. The subjects consisted of 225 Korean youths (113 males and 111 females) residing in Michigan in the USA, of whom 47.6% attended middle school while 52.4% of whom attended high school. The instruments utilized were the acculturative stress scale (Sandhu and Asrabadi, 1994), the place attachment scale (Choi, Lee, & Han, 2009), Radloff's depression scale (CES-D), and Rosenberg's self-esteem scal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ssess the predictive effects of place attachment to home and acculturative stress on youth's psychological adjustment, alongside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lace attachment to home and acculturative stress impacted upon depression and self-esteem, as experienced by the youths examined.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both youths' place attachment to home and acculturative stress in the acculturation process.

아동보육시설에서 '장소애착'을 형성하는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센다미츠루의 아동보육시설 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orming 'Place Attachment' in Child Care Facilities - By Focusing the analysis of Senda Mitsuru's Child Care Facilities -)

  • 문재은;이경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1호
    • /
    • pp.33-44
    • /
    • 2018
  • During the course of play, children gain special experience in a place where they can explore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feel emotional stability. This experience of attachment to the place of play is very important in that play can serve as a measurement of the child's growth and development. Therefore,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child should be understood as a meaningful place that affects a child's life beyond the place of p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patial planning method where the formation of place attachment is considered in the design of child care facilities, as this is where preschool children spend much of their early formative years.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 First, we survey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development and place attach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found that the factors that form place attachment were summarized as accessibility, complexity, segmentation and nature friendliness. Second, we examin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itsuru Senda, a Japanese architect who has been intensively studying children's play environment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lay proposed by his academic research. Finall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supporting play shown in Senda's work, and the four factors of place attachment formation and proposed a planning method for space design applicable to child care facilities.

북한산성 지명의 분포와 변천: 『북한지(北漢誌)』 수록 지명을 중심으로 (The Distribution and Changes of the Place Names in Bukhansanseong : Focusing on the Place Names in Bukhanji)

  • 김순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25-353
    • /
    • 2017
  • 본 글의 목적은 북한산성 안에 분포하는 지명들의 지리적 분포와 문화적, 역사적,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 나아가 지명 변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을 기초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존하는 지명 자료 중 가장 많은 북한산성 지명을 담고 있는 문헌으로 평가받는 "북한지(北漢誌)" (1745)를 중심으로 시대별 지명 자료를 수집하였고, 후부 지명소에 따라 자연 지명과 인문 지명으로 나누어 지명의 분포 및 유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북한산' 등의 주요 지명들을 선정하여 지명의 의미와 그 변천 양상을 전부 지명소를 중심으로 기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삼국시대에 활발하게 통용되던 북한산이란 지명은 고려시대에는 삼각산, 조선시대에는 다시 '북한산' 및 '북산' 이란 지명으로 적극적으로 사용되었고, 1711년 북한산성이 축조되면서 북한산이란 지명 통용이 공식화되면서 지명 언중들에 의해 활발히 인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북한지"에 수록된 지명들이 자연 지명 중 산지와 하천 지형을 가리키는 지명들과 이러한 지리적 환경에 자리 잡고 있는 산성 관련 각종 인공 시설물 명칭들, 특히 이 책을 편찬한 승려 성능을 통해 동일시된 불교적 정체성과 이데올로기를 담은 불교 관련 지명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플레이스 브랜딩 관점에서 본 철도역사의 계획방향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Directions of Railway S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lace Branding)

  • 우희경;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72-180
    • /
    • 2014
  • A railway station appears in the form of multi-use station building where cultural and commercial elements such as shopping and leisure are mixed, getting out of simple space configuration oriented to the space for station work, where a passenger stays for a little while. Now, a railway station is a place expanded to the inside of city, and builds a relationship with urban fabric, and therefore it should receive the social change in the time together with the surrounding infrastructure, and should inevitably form the urban environment. And it should become the 'Place' so as to be capable of playing a role of buffer and a role of regional gateway landmark by making users included in the inside through various uses with regard to the dispersed urban connection. Hence,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planning through the place branding of railway station. In the method of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that place branding had was investigated, and an analysis was made on the basis of 10 place branding strategic elements and 6 railway design guidelines. And it was intended to set a direction in which the existing place branding strategy could be applied to the railway station, and was intended to derive the place branding planning strategic elements of railway station. Hence, the planning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5 kinds in connection with railway station. First, identity should be embodied through the strategy of constructing the symbolic image of railway station. Second, a role of mediating variously approaching flows in the city should be played. Third, the spatial layout of railway station,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e, should be arranged. Fourth, special characteristics should be intensified through creative storytelling that stimulates emotion. Fifth, an organic change is gradually necessary for sustainability. These planning elements should be applied in harmonious combination. Therefore, a new railway station can be maded by building identity and placeness and by giving the value through these planning directions in the future.

고속전철 PSC 박스거더 교량의 합성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Composite PSC Box Girder High-speed Railway Bridges)

  • 김영진;김병석;강재윤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4-60
    • /
    • 1998
  • PSC box bridges by MSS construction method in high-speed railway may not be cast in place at one step. Web and bottom flange(U member) in the cross section are cast in place at first, then top flange will be cast in place later with some time lag. In this section, stress distributions of U member and top flange are different with those in generally complete cast in place cross section. In the composite section composed of two different aged members, the redistribution of stresses takes place. This results from time-dependent strain characteristics of concrete and the effects of forces applied at the various stages. For comparison in the present paper, two models, one with the composite cross section and the other with generally complete cast in place cross section, are analyzed. The longitudinal stress differences of two models on considering construction stages are compared. A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stresses of cross section between two models, the composition of cross section is considered for rational design of PSC box girder bridge.

  • PDF

동해 무릉계(武陵溪) 명승 탄생의 문화사적(文化史的) 배경 (The Cultural History of Mureung Valley, the Scenic Site designated as National Cultural Property)

  • 이상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1호
    • /
    • pp.22-43
    • /
    • 2019
  • 강원도 동해시에 소재한 무릉계는 역사 경관 학술적 가치가 뛰어난 곳으로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37호로 지정되었다. 별유천지(別有天地)라 불릴 만한 수려한 비경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과거 많은 선현들의 유람이 있었고, 이들이 남긴 시문과 각자 등의 역사 유적이 풍부하게 남아 있다. 무릉계는 두타산(頭陀山) 무명의 한 골짜기였으나 1577년 삼척부사 김효원(金孝元, 1542~1590)의 유람을 통해 '무릉계'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후 당대 명사들이 유람함으로써 명성을 얻게 된다. 지역민뿐만 아니라 외부 인사들도 애호하는 유람 명소였다. 무릉계는 사람들의 유람을 통해 선계 강학처의 의미가 부여된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한다. 그 명성은 수그러들지 않아 현재까지도 유람 명소로 각광받고 있다. 무릉계를 유람한 사람들은 그 과정이나 감흥을 시문으로 남겼다. 이러한 시문에는 무릉계가 품고 있는 심미적 이미지가 표현되었으므로, 시문을 통해 대중들에게 무릉계의 이미지가 형성되어가고 그 명성이 알려진다. 무릉계를 제재로 한 시문은 무릉계의 장소적 의미와 명성을 알릴 수 있는 전거가 되었다. 무릉계에 새겨진 수많은 각자는 무릉계의 명성을 현장에서 직접 보여주며, 사람들로 인해 그 공간이 어떻게 변모해가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시문이나 각자 등은 오늘날 무릉계의 역사 유적으로 남아 무릉계의 문화사적 의미와 그 명성을 더욱 각인시켜준다. 특히 각자를 통해 조선 후기 화가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이 무릉계를 유람한 것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무릉계는 일찍이 척주팔경의 하나로 지목되었고 무릉계만을 대상으로 한 별도의 무계팔경도 만들어진다. 지역에서 가장 아름다운 자연경관의 정수로 인정받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무릉구곡이 설정됨으로써 경관의 장소적 의미를 넘어 성리가 구현되는 도학의 장소로도 의미가 부여된다.

두모계 지명의 분포와 취락입지 (The Distribution of Place Name 'Dumo' and Location of Settlements)

  • 나유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884-898
    • /
    • 2012
  • 지명에는 해당 지역과 그 지역주민들의 삶에 관한 정보들이 녹아 있다. 특히,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고지명은 더 많은 공간적 속성들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지명의 하나인 고지명 '두모'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분포와 특성을 고찰하였다. '두모'는 Nam(1996)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한 지명군으로, 어원적 의미를 살펴본 결과 지명 자체에 산이나 물과 연관된 지형적 입지 조건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국에 걸쳐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하는 가운데, 85%가 인문지명으로 사용되고 있었고 그중에 73%는 취락명이나 행정구역명 등 취락지명이 차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모계 지명의 마을 220개만을 가지고 두모계 취락의 입지와 지명의 확산을 심층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모계 취락이 주로 남 동향을 취하고 배산임수의 지형적 조건을 갖추고 있었으며, 마을의 확장에 따라 두모계 지명이 분화되면서 여러 개의 두모계 지명이 함께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도시 '본정통'의 장소 기억 -충무로.명동 일대의 사례- (Place Memories of the Downtown 'Bonjeong-tong': the Case of Chungmu-ro.Myeongdong Area in Seoul, Korea)

  • 전종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33-452
    • /
    • 2013
  • 일제강점기에 기원한 일본식 지명이자 상업 중심지로서의 본정통은 오늘날까지 우리나라 도시들에서 번화가를 일컫는 대명사로 통한다. 이 연구는 서울의 충무로와 명동 일대를 사례로 도시 본정통이 함축하고 있는 다양한 장소 기억들을 탐색한 것이다. 연구자는 장소 기억이라는 개념을 지리학의 입장에서 정초한 다음, 이 개념을 매개로 본정통이라는 한 장소에 쌓인 기억의 다층성과 경합성에 주목하며 본정통의 장소 기억을 세 가지 층위로 재구성할 수 있었다. '식민 권력의 상징' vs. '근대의 표상', '금융 자본주의의 심장' vs. '문화 예술인의 마당', '유행의 공간' vs. '정체성의 장소'가 그것이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도시에서 우리 삶의 흔적이 여기 저기에 수평적으로 산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안의 한 장소 그 자체가 일종의 팔림세스트라는 점을 강조하였고, 따라서 도시 공간에 대한 연구에서 수평적 접근보다는 수직적 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