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ortant Folklore Material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중요민속문화재로서 삼척 신리 물레방아와 물레방앗간의 특징 (Features on the Water Mill and Water Millhouse at Sinri, Samcheok as Important Folklore Material)

  • 최장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9-16
    • /
    • 2014
  • It is very hard to find out water mill and water mill house installed nearby a streamlet to use water to polish cereals by pounding like a visage of its old days. It plays an important part in folkloric, hydrographical and architectural aspects as important folklore material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folkloric, hydrographical and architectural features of water-mill and water-mill house itself so that to find the way how to build and fabricate the materials and frame members.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composition principle and fabrication method of water mill and water millhouse on the side of architecture.

중요민속자료(복식)의 보존처리 (The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Important Folklore Materials-Clothes)

  • 한성희;이규식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4호
    • /
    • pp.94-108
    • /
    • 1993
  • The cultural properties of cloth are of animal orgin (silk), or of vegetable orgin(cotton, hemp, ramie). As clothes are of an orginic material, they were subjected to damage by chemical, phisigical or biological factors, viz, moulds insects, lights, humidity and temperature changes, etc. And these factors promote that clothes generally result from various types of deterioration. In 1992, We were performed the conservation treatments for total 9 pieces of cloth, such as 3 pieces of General PAK SHIN-RYONG(Important Folklore Material No.110) 3 pieces of Madam Jung(Important Folklore Material No.115) and 1 piece of King Se-jo(Important Folklore Material No.219). The procedure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for clothes describe the following below. 1) The washing and dry-cleaning to remove the contaminated substances from cloth was used 0.2% stearyl potassium soap solution and the mixture solution compound of n-Hexane, C6H14. and n-Decane, C10H22. And after the washing and dry-cleaning, the dry of clothes was carried out in a warm condition. These steps were repeated in 2 times over for each cloth. 2) The repair of clothes was attached the similar textiles to stronger fabric linings by needlework.3) The reprodution was made for cloth of King Se-jo to equalize the type, color, quality and skill of materials. 4) After these above procedures, all clothes fumigated to prevent the biodeterioration by using the mixed gas of methyl bromide and ethylene oxide as insecticide and fungicide. 5) Finally for the purpose to keep in a safety long-term condition, the treated clothes sealed with Biaxially Oriented Polyvinylacohol Film(BO-PVA film) and Helium, purity 99.999%, filled up in sealed BO-PVA film bag.

  • PDF

제주도 방언의 주거 문화 관련 어휘 연구 -서귀포시 성읍민속마을을 대상으로- (Study on Vocabulary Relating to the Housing Cultures in Jeju Dialect: Around Seongeup folk village, Seogwipo-si)

  • 김순자
    • 한국어학
    • /
    • 제80권
    • /
    • pp.49-8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systematize Jeju dialectal words about Jeju traditional housing culture and study them on the basis of lexical semantics. Vocabularies related to the names of the traditional thatched-roof house and its partial names, thatching, supplementary facilities, housing culture, etc. were categorized after recording in an ethnographic way from Seongeup folk village which is Important Folklore Material no.188, and studied them linguistically. Informants are fore people who were born and bred in Seongeup-ri and they are over 70. They have a lot of experiences building thatched-roof houses from a young age. There are 9 different categories - the kind of the house, partial names, exterior space, materials, tools, words about actions, doers, units, and folklore. Some new words related to Jeju traditional housing, which had not been in the list of Korean dictionary, could be introduced as a result of the study. For example, rice which are made when doing earth work is called Heukppap and adzes used to sharpen stones are called Dolchagui. The finding of These new words hopefully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Korean language as well as enrich vocabulary on housing. Furthermore, the collected vocabularies and oral materials could be used as important educational materials to comprehend Jeju traditional housing culture.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神位) 디자인 형태 분석 (Design Style Analysis of Jeju Naewotdang Musindo Folk 10 God's Paintings)

  • 강연심;박영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61-71
    • /
    • 2015
  • 최근 문화 창조산업에 있어서 문화 콘텐츠 개발은 중요한 실천적 과정이다. 제주도의 설화와 신화 연구는 지역기반 문화 콘텐츠 개발의 근간이 될 수 있다. 제주 내왓당 신화의 대상인 무신도(巫神圖) 10신위는 전해오는 제주 무신도 중에 채색화로는 유일하며, 제주도 민속자료 제7호와 국가 중요민속자료 제2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앨리아데는 "신화의 상징적 사고의 이미지들은 언어와 추론적 이성에 선행하고, 인간존재와 공존하며 아무렇게나 만든 창조물이 아니라 어떤 필요성과 기능에 응하고 있다"고 하였다.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 역시 타지방과는 달리 우리나라 초기 인류의 사고(감정)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는 이미지와 상징들의 원형과도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미지와 그 상징적 의미에 접근하기 위해 우시우스 웡(Wucius Wong)의 디자인이론을 중심으로 시각적 요소, 상관적 요소, 실재적 요소로 구분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신위들의 재현들을 통해 무신도 기능적인 측면들을 표현해주고 있으며 고대 우리나라 복식과 인류사상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주신화연구중 이미지를 중심으로 분석적 연구를 진행하여 제주신화의 근원적 연구와 문화콘텐츠 개발를 위한 조형논리를 제공한다.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토마스 피셔 희귀서 도서관(Thomas Fisher Rare Book Library)의 '게일 문서' 현지조사 및 목록작성 연구(硏究) (Field research and cataloging of Gale's Papers on Thomas Fisher Rare Book Library in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 서강선
    • 동양고전연구
    • /
    • 제71호
    • /
    • pp.305-349
    • /
    • 2018
  • 제임스 스카츠 게일(James Scarth Gale: 1863~1937)은 캐나다에서 근대한국에 파송된 선교사이다. 제임스 게일은 선교사 중 한국학 연구에 기여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게일은 뛰어난 언어학자이면서 번역가였고, 한국역사 및 한국 민속학자였으며 저술가였다. 게일은 한국의 역사 문화 민속 언어에 해박했던 한국학의 대가였다. 근대의 한국학에서 우리는 두 사람에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 명은 일본의 다카하시 도루이고, 다른 한 명은 캐나다 출신의 영국인 제임스 스카츠 게일이다. 다카하시 도루가 한국학을 체계화하고 정립한 인물이라면 게일은 한국학을 세계에 알리고자 한 인물이다. 다시 말해서 게일은 한국학의 세계화를 최초로 시도한 인물이다. 다카하시의 연구와 저서는 한일합방을 통한 내선일체의 구도 속에서 전파의 범위가 일본에 국한되지만 게일의 연구와 저서는 영국을 포함한 유럽과 미국을 포함한 북미대륙에까지 전파되었다. 당시 게일의 연구는 한국학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창구역할을 하였다. 게일 문서는 주로 한국에 관한 것으로 제임스 게일의 원고에 대한 자필문의 선장본 성책문서와 초안 및 타자기로 타자한 타이핑 원고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서신 일반서적 일기 두 번째 부인의 일기, 게일이 수집한 한국어 원고 및 출판된 기사가 포함되어 있다. 게일의 자료는 그가 한국에서 선교사(1888~1927)로 있을 때의 원고와 은퇴 후 영국에 정착(1927~1937)하여 사망할 때까지의 원고를 포함하여 1888년~1937년까지 작성하여 남긴 유고이다. 게일의 문서는 근대의 서양인에 의한 한국학 연구와 선교사(宣敎史) 등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