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supported prothesi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임플랜트 지지 오버덴춰의 응력분석 (A STRESS ANALYSIS OF THE IMPLANT - SUPPORTED OVERDENTURE USING STRAIN GAUGE)

  • 조혜원;권주홍;이화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3-103
    • /
    • 1999
  • Stress distribution on mandibular implants supporting overdentures were registered in vitro experimental model by means of 4 rosette gauges which were placed around the implant. The overdenture attach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Resilient Dolder bar, Rigid Bolder bar, Round bar, Hader bar & Dal-Ro attachment. An occlusal jig was placed on the overdenture and the loading sites were 3 points which mimicked working, balancing, and median relations. With 5 and 10kg loading, strains were measured by strain indicator(P-3500, Measurement group, Raleigh, USA), and using these data, maximum and minimum principal stresses and Von Mises stress were calculated and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re was a tendency of high stress concentration in the lingual side of the implant, and in the buccal side low stress was developed regardless of the attachment systems. The resilient Bolder bar concentrated highest stress among the attachment systems, and the Round bar and the Dal-Ro attachment provided comparatively low stresses around the implant. The rigid Bolder bar concentrated high stress in the mesial side, and the Dal-Ro attachment developed tensile stress patterns in the lingual and distal sides of the implant at the balancing relation.

  • PDF

하악 임플란트지지 오버덴춰에서 바 어태치먼트의 유지력이 임플란트의 축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VERDENTURE RETENTION ON THE AXIAL LOAD OF IMPLANT IN THE MANDIBULAR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 조혜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8-107
    • /
    • 2000
  • Three linear strain gauges (KFR-02N-120-C1-23, Kyowa, Japan) were placed around the abutment of implant future and the maximum axial loads on the mandibular implants supporting over dentures were registered in experimental model when the overdenture was removed. The overdenture attach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Round bar Hader bar, Dolder bar with and with out spacer. The retention of bar attachment was measured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while being con-trolled by Activating set and Deactivator except in case of the Hader bar. Simultaneously strains were recorded with the strain smart program in strain P-6000 series (Measurement group, Raleigh, USA). The maximum axial load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mount and the timing of the maximum axial loads were different between the right and left implant in all attachment systems. 2. The retention of bar attachment except Hader bar could be adjusted but the controllability was different among the attachment systems. 3. The more the axial load, the higher the retention with Hader bar and Dolder bar without spacer. but the tendency of increase was not shown with round bar and Dolder bar with spacer.

  • PDF

치과용 CAD/CAM 환봉밀링 방식과 CNC 밀링기를 통해 제작된 치과용 어버트먼트의 적합 정밀도 분석 (A Study on the Accuracy of Dental Abutments Manufactured by the Dental CAD/CAM Round Bar Milling Method and CNC Milling Machine)

  • 김정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7-71
    • /
    • 2023
  • 최근 치과보철물 제작 방식은 ICT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방식으로 변화를하고 있다. 특히 치과용 CAD/CAM이나 3D 프린팅의 등장으로 임상에서는 아날로그 방식에서 점진적으로 컴퓨터를 활용하는 디지털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식은 기존의 환봉제작 방식과 CNC 밀링기를 활용하여 제작하는 방식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보철물의 변연과 교합면을 제작할 때 보다 정밀하고 오차가 적은 제작 방법이 무엇인지를 얻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CNC 밀링기를 활용하여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식이 변연과 교합면의 적합도 모두에서 오차가 적고 정교한 가공이 가능하여 맞춤형 보철물 제작을 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악 소수치 잔존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부분틀니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maxillary partial edentulous patients using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 이보라;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8-135
    • /
    • 2014
  • 부분 무치악 환자는 고정성 보철, 가철성 국소의치,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로 수복될 수 있다. 그러나 소수 잔존치아만 남은 경우, 고정성 보철로는 수복이 어려우며, 국소의치 혹은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을 고려하게 된다. 이 경우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은 고정성 수복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충분한 개수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야 하며, 환자의 전신적, 국소적 여건이 합당해야 하고, 경제적 부담도 크다. 가철성 국소의치는 지대치에 의한 대칭적인 지지가 중요하며, 특히 중심선에 대해 편측으로 소수 치아만 남은 경우에는 지점선에 대해 지대치에 유해한 스트레스를 가하면서 지대치의 예후가 불량해진다. 이 경우,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의치의 유지 및 지지 요소로 활용하는 가철성보철물을 설계한다면 비용 대비 기능적이며 심미적인 보철 수복이 가능해진다. 본 두 증례는 상악 Kennedy Class I 부분 무치악 환자 중 편측으로 소수 잔존치가 전치에 국한하여 존재하는 경우로, 잔존치를 지대치로 사용하면서,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의치의 지지가 향상된 국소의치를 제작한 증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