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erial Museum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3초

20세기초 동아시아 박물관과 역사적 지식(知識)의 조형(造形) (Museums in East Asia and Shaping Historical Knowledge at early 20th century)

  • 하세봉
    • 동북아문화연구
    • /
    • 제28권
    • /
    • pp.339-363
    • /
    • 2011
  • This thesis examines analyzing how historic knowledge was shaped in museum. Examining by Tokyo Imperial Museum, Government General Museum of Taiwan, Yi Wang Ga Museum, Government General Museum of Chosun, and NanTong Museum of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tried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se museums are similar in that they adopt museums as modern system considering models of other countries(Europe or Japan) and exhibitions played important roles in gathering relics. Experts who leaded adoption of western civiliz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These experts were conservatives who valued tradition and relics while they aimed for western civilization. It originated in the character of museum system. Historical Knowledge by museums was constituted with five combinations of conceptions which are nationality, locality, coloniality, and artistry. Every museum cannot help having modernity for museum itself is modern system. Modernity was symbolized by museum building of western style in Yi Wang Ga Museum, Government General Museum of Chosun. Tokyo Imperial Museum revealed nationality in that it tried building of imperial history which includes colonies. In early time, Tokyo Imperial Museum pursued modernity and artistry, however it concentrated on artistry than modernity later. We can find locality in that Tokyo Imperial Museum tried to find meaning about Japanese art by relating with natural characteristics. It is Taiwan Governor Museum that extremely expressed coloniality and artistry was not considered. Government General Museum of Chosun could not be exceptions of features of coloniality, but it need to recognize that artistry was focused all over the exhibitions. It was NanTong Museum that most directly expressed locality. Like these, Museums of East Asia established in around 1900 made different historical knowledge by varying weigh of five factors, nationality, locality, modernity, coloniality and artistry.

제실 박물관에서 이왕가 미술관으로: 컬렉션 목록으로 본 소장품의 구성과 특성 변화 (The Transition from the Imperial Museum to the Yi Royal Household Art Museum: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as Seen through Its Inventory)

  • 목수현
    • 박물관과 연구
    • /
    • 제1권
    • /
    • pp.306-329
    • /
    • 2024
  • 1909년에 설립된 제실박물관은 한국 박물관의 효시이자 그 컬렉션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제실 박물관이 창경궁에 설립될 때에는 박물관만 설립된 것이 아니라 동물원, 식물원이 함께 설립되었다. 이 세 시설은 1911년 이후 함께 창경원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동물원과 식물원은 1938년에 박물관 소장품이 이전될 때에 창경원에 남게 되었고 이왕가 박물관 소장품 중 일부도 창경원에 남게 되었다. 이때 남겨진 소장품 가운데에는 왕실에서 사용하던 가마나 갑옷 등 민속품도 있었고 조류박제 등도 있었다. 이 조류 박제는 창경원 명정전의 회랑에 전시되기도 하였으며, 명정전 뒤쪽에 있는 표본실에도 전시되었다. 특히 조류 박제는 제실 박물관(이왕가 박물관)의 특성을 재고하게 하는 것이다. 제실 박물관은 설립 초기부터 고려 청자 등 도자기, 불상, 회화의 명품을 주로 수집하여 미술박물관의 성격이 두드러진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성격은 제실 박물관의 특성의 하나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제실 박물관은 살아 있는 동물을 수용한 동물원, 열대 식물을 기르는 온실 등을 포함한 식물원과 더불어 조류박제 등 표본을 수집함으로써 초기에는 박물학적 관점에서 종합 박물관의 특성을 지향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박물관의 일반 사무를 담당한 시모고리야마 세이이치는 1908년부터 1917년까지 조선산 조류 표본을 수집하고 이를 목록화함으로써, 동물원과 식물원이 단순한 놀이 동산의 성격만 지닌 것이 아니라 박물학적 목적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게 한다. 다만, 제실 박물관(이왕가 박물관)은 박물관이 지녀야 할 수집, 전시 기능에 더해 연구와 교육 기능을 해야 하는 근대 박물관의 특성에서 연구와 교육 기능은 상대적으로 미비했다. 조선산 조류 박제 등은 수집은 이루어졌으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이 박물관의 소장품이 박물학적 관점에서 수집되었으나, 보다 전문적인 연구로는 나아가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이왕가 박물관 소장품 목록과 이왕가 박물관 소장 조선산 조류 목록 등을 통해 이 박물관의 특성이 변화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대한제국기 서구식 문관 대례복 제도의 개정과 국가정체성 상실 (A Study on the Revision and the Loss of National Identity of Western-styled Court Costume in the Daehan Empire)

  • 이경미
    • 복식
    • /
    • 제61권4호
    • /
    • pp.103-11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vision of the western-styled court costume in the Daehan Empire. For this purpose, 1) historical documents were reviewed, 2) one set of the court costume of Chigimgwan and another set of the court costume of Juimgwan were probed, 3) the photos of people wearing court costum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14^{th}$ Imperial order of "official costume statute" had been revised in 1904, 1905 and 1907 through official gazettes. The last version of official costume statute enacted the more detail than the first rule. Second, the $15^{th}$ Imperial order of "official costume rules" had been revised in 1904, 1905, and transformed into official costume rules reform on $12^{th}$ Dec., 1906. The revision in 1905 made gold embroidery of court costume more simple than the first rule. The form of court costume was totally revised by change of the shape of adjusting on the top in the revised rule of 1906. Third, the revision in 1905 was actually manufactured and worn by the people because it can be confirmed in the relics of the court costume of $2^{nd}$ Chigimgwan in Yonsei University Museum, and the court costume of juimgwan in Kwangju Municipal Folk Museum. The relics made by the revision in 1906 had not been reported until now, but they can be confirmed in the photos left. Fourth, the sovereignity of the Daehan Empire was actually lost by $22^{th}$ Imperial family order which urged the servant having the title of nobility of Japan to wear the court costume of Japan. Therefore, the endeavor of the Daehan Empire which wanted to establish and develop the costume system of modern independent nation was discontinued.

명대(明代) 황실 관례(冠禮)의 행례(行禮) 특성 및 신분별 관례복(冠禮服) 연구 -조선(朝鮮)의 '익선관강사포(翼善冠絳紗袍)'에 대한 논의를 겸하여- (A Study on the Ritual Process and Costume for a Coming-of-age Ceremony of Imperial Court in the Ming Dynasty -Incidentally Mentioning about 'Yishanguan-Jiangshapao' of Joseon Dynasty-)

  • 溫少華;최연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3-252
    • /
    • 2021
  • The Gwan ceremony (冠禮) is a coming-of-age ceremony that takes place through traditional Gwan (冠: the hat) and clothes in the traditional era. The rite is performed by wearing hats and clothes three consecutive times (三加禮). It was an important rite which meant that underage children were formally recognized as members of society. This study examined costumes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various coming-of-age ceremony rites in the Ming dynasty imperial court of China. For the research data, this study mainly used authentic chronicles (正史), codes of law and books on Ming dynasty rituals. This study examined the costumes used in the coming-of-age ceremony for the emperor, Prince Imperial, Emperor's eldest grandson, and emperor's 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an analysis of the document structure, institutional changes by time, characteristics of costum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ite. Of particular note in their ceremony, the emperor is presupposed to be a 'human already full-equipped with virtue', which means that the costume is worn only once. It is a case in which the emperor's absolute identity is revealed through the rite and costume.

다니엘 리베스킨트 전시공간을 통해 본 조형적 내러티브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Narrative Seen from the Exhibition Space of Architect Daniel Libeskind)

  • 김영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207-214
    • /
    • 2012
  • Today, museum exhibition can be divided into two sub-categories: a. informative exhibition with various useful auxiliary media to convey knowledge and b. appreciative exhibition considering aesthetic conveyance and visual/perceptual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is, the concept of memorial exhibition as a field that tangible and intangible memories are transmitted and reproduced is creating another genre of exhibition. As an example of such a memorial exhibition above, the work of de-constructive architect Daniel Libeskind was selected. Jewish Museum and Imperial War Museum North both of which maximized the exhibition space by grafting architectural language to exhibition narrative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see if the same architectural language can be displayed differently in another form of exhibition after being drawn into the exhibition space depending on the changes in time and perspective. Therefore, in the narrative display combining the selection of exhibition contents and storytelling, the formative language of space can confirm that exhibition narrative as an ending structure changed into a retelling story with more extended meanings through interactive factors. Eventually, in this formative narrative, when the display of historical facts and exhibition themes is combined with the architectural language in an exhibition hall according to the approach direction, the memorial exhibition can create a formative language stimulating sensibility in the memories of space and a differentiated formative exhibition space where one is truly moved by oneness of contents.

  • PDF

명대(明代) 황실 구성원의 조회의례(朝會儀禮) 복식(服飾) 연구 (Study on the morning ritual costumes of the members of the Ming dynasty imperial family)

  • 溫少華;최연우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2호
    • /
    • pp.204-221
    • /
    • 2021
  • The morning ritual was a rite whereby a morning audience with the emperor was held for feudal lords sovereigns and subjects living in the precincts, monarchs or foreign envoys of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and other ethnic group. Distinction between the main and subordinate rituals, changes in the ceremony according to the times, and the position or rank of those participating in the rite, wer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ed the costumes worn for ritual. Accordingly, in this paper, the costumes worn by members of the Ming dynasty (emperor, prince imperial, prince)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period and detailed ceremonies with a focus on the morning ritual and costume systems presented in the official historical records. Through this study, only Mian-fu (冕服) and Pi-bian-fu (皮弁服) were defined by the costume system ase costumes worn in the morning ritual. However,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morning ritual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Tongtian-guan-fu (通天冠服), Yishan-guan-fu (翼善冠服), and Bianfu (便服: slightly casual wear) were also worn. It is worth noting that the color of Gunlong-pao (袞龍袍) wa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status; the Emperor wore yellow, the Prince Imperial and lower levels wore red, which was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academia. However, following confirmation of the custom costume for the morning ritual,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 of this differentiation appeared during the 3rd year of Emperor Yongle of Ming (1305). Previously five traditional colors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were used for the season.

일제하 총독부 박물관 문서와 관리체계 (The Document of Museum of Chosen General Government and its systemic management of document)

  • 김도형
    • 기록학연구
    • /
    • 제3호
    • /
    • pp.115-137
    • /
    • 2001
  • The Museum of Chosen General Government(MCGG) was a supreme organ to take charge of business affairs of historical remains Japanese imperial rule. The MCGG was established in Kyongbok Palace in 1915. The MCGG was changed the reorganization of the Chosen General Government(CGG) setups, the MCGG was to maintain the cultural assets, to excavate the ruins and to put on display the remains. However, the Japanese colonist took advantage of the MCGG for political purposes. They didn't use the MCGG to promote the research of Korea culture. Therefore, the MCGG was an organization to belong to the Department of Education of the CGG. In this reason, the MCGG produced the amount of public document to business affairs. Now, This document left in the Museum of Korea. We have seen the document to study the cultural policies and the cultural assets of the CGG. This document includes the abundant information for the historical remains and ruins at that time. Accordingly, this document will help to survey the archaeological research and historical research. In addition, this document will help to manage the cultural assets. What then is the advantage of this document? The first is to see the cultural policies of the CGG through this document. The Japanese colonist took advantage of Korea history, which was low-grade culture, to justify rule of the colony. Therefore, they needed collect Korean assets to verity their theory. The second is to see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MCGG. Indeed, this document includes information of organization of the MCGG, the policies and the process of the MCGG. In substance, we can see the systemic proceedings of the MCGG. The third is to provide historical materials to the historian. This document has the persons to plan the colonial culture policy of the MCGG, and events to rule the Korea culture. Moreover, the document of the MCGG would help to inquire into the truthfulness of history and to get the national identity.

생약연구소의 인삼연구와 약도개성 (Ginseng Research in Natural Products Research Institute (NPRI) and the Pharmaceutical Industry Complex in Gaesong)

  • 박주영
    • 인삼문화
    • /
    • 제3권
    • /
    • pp.54-73
    • /
    • 2021
  • 경성제국대학의 부속기관인 생약연구소는 현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천연물 과학연구소의 전신으로, 일제강점기 인삼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였던 종합연구기관이었다. 생약연구소는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약리학 제2강좌의 교수 스기하라 노리유키의 주도로 설립되게 되는데, 스기하라는 약리학 제2강좌가 설치되었던 1926년부터 고려인삼 및 한약에 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진행하였다. 약리학 제2강좌에는 의학 및 약물학 전공인 스기하라 외에도 조교수로 약학을 전공한 카쿠 텐민, 강사로 농학 및 임학을 전공한 이시도야 츠토무가 있었으며, 이들을 중심으로 1939년 생약연구소 설립 이전까지 약 36명의 연구자가 활동하였다. 이 중에서는 약 14명의 조선인 연구자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대체로 경성의전, 경성치전, 경성약전 등 전문학교 출신들로 기본적인 의약학 지식을 갖추고 한의학, 본초학 등 독자적인 의약체계를 활용하는 조선의 한약재 연구에 임하였다. 1927년부터 민병기, 김하식 등이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30년 이후 조선인 연구자는 증가하였다. 약리학 제2강좌는 조선의 약용식물 조사 및 한약재에 대한 약리학적 작용, 성분분석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으며, 또한 경성의전, 경성치전, 경성마약류중독자치료소, 지방도립의원 등의 기관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한편 1935년, 국내 최대의 인삼 산지인 개성에서는 "약도개성"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는 전시용 약품의 연구 및 양산화, 인삼 산업개편을 통한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민간단체, 개성부, 관동군, 경성제국대학 등이 참여한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1936년에 경기도립 약용식물연구소, 1938년에 경성제국대학 부속 약초원 및 병참 제약공장이 설치되었으며, 1939년, 약용식물연구소와 약초원이 결합하여 경성제국대학 부속 생약연구소가 설립되었고 스기하라는 생약연구소 소장이 되었다. 생약연구소에서는 인삼에 관한 약리학적 연구에서 더욱 나아가, 선려삼 등 인삼을 이용한 제품개발 및 판매, 그리고 인삼재배 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1941년 제주도시험장을 설립하여, 제주도산 약재를 사용한 구충제 판시를 생산하기도 하였다. 1945년 일제의 항복과 광복으로 스기하라를 포함한 일본인 연구자들은 급히 귀국하였다. 이후 생약연구소는 서울대학교에 인계되어,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출신 오진섭을 소장으로 우린근, 석주명 등의 학자들이 활동하며 한국 과학계의 선도적 역할을 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도사 미쓰요시(土佐光芳) 필(筆) <무라사키노 자일 놀이(紫野子日遊圖)·오이강 유람도 병풍(大井川遊覽圖屛風)> 시론 (Tosa Mitsuyoshi's Screen Paintings Gathering on the Year's First "Day of the Rat" and Boating on the Oi River fro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정미연
    • 미술자료
    • /
    • 제98권
    • /
    • pp.176-199
    • /
    • 2020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무라사키노 자일 놀이(紫野子日遊圖)·오이강 유람도 병풍(大井川遊覽圖屛風)>(이하 국박본으로 지칭)은 일본 교토 궁정의 화사(畫事)를 전담한 직책인 에도코로아즈카리(繪所預)였던 도사 미쓰요시(土佐光芳, 1700~1772)의 묵서와 인장을 지닌 김병풍(金屛風) 한 쌍이다. 이 병풍은 국립중앙박물관이 2018년 미국 뉴욕에서 구입한 것으로, 판매자에 따르면 20세기 초 어느 시점에 일본에서 미국으로 건너왔으나 그 자세한 시점은 불명이라고 한다. 여섯 면의 두 폭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이 병풍은 오른쪽 병풍에 새해 정월 자일(子日)에 야외로 나가 어린 소나무 묘목을 채집하는 궁중 행사인 '자일 놀이(子日遊)'의 장면을, 왼쪽 병풍에 교토 오이강(大井川)에 한시(漢詩), 와카(和歌), 관현(管弦)을 의미하는 세 척의 배를 띄워 유람했다는 '세 척의 배(三船の才)' 고사 장면을 그렸다. 이 작품은 훗코야마토에(復古やまと繪) 장르를 대표하는 화가인 우키타 잇케이(浮田一蕙, 1795~1859)가 고메이 천황(孝明天皇, 1831~1867)의 명으로 제작한 교토 센뉴사(泉涌寺) 소장 <무라사키노 자일 놀이(紫野子日遊圖)·오이강 유람도 병풍(大井川遊覽圖屛風)>(이하 센뉴사본으로 지칭)과 화제와 도상이 일치한다. 단독 작품으로 제작된 사례는 다수 찾을 수 있는 '자일 놀이'와 '오이강 유람' 화제가 서로 짝을 이루어 한 작품으로 제작된 작례는 현재까지 국박본과 센뉴사본뿐이다. 부케덴소(武家傳奏) 히로하시 가네타네(廣橋兼胤, 1715~1781)의 일기인 『히로하시가네타네코부고요닛키(廣橋兼胤公武御用日記)』에 따르면 1760년, 미쓰요시는 1709년(보영도(寶永度))에 건축된 교토 고쇼(御所)의 전각인 쓰네고텐(常御殿) 내부의 낡은 후스마에(襖繪)를 새 것으로 교체하는 임무를 맡았다. 미쓰요시는 이때 국박본의 주제와 도상을 구상할 기본 자료를 얻었다고 생각된다. 당시 쓰네고텐 내부에는 가노파 화가가 그린 '봄날의 야외 행차(春日野行幸)'와 '오이강을 떠다니는 세 척의 배(大井川逍遙三艘)'라는 화제의 후스마에가 연속되어 배치되어 있었다. 미쓰요시는 1760년 쓰네고텐 후스마에 교체 작업을 통해 '오이강 유람' 화제의 도상을 학습하고 '자일 놀이'와 '오이강 유람' 화제를 서로 짝을 지어 한 쌍의 병풍으로 제작한다는 구상을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새해 정월 첫 자일에 어린 소나무를 채집하는 행위는 장수(長壽)를 기원하는 길상적인 의미를 가진다. 오이강에 각각 한시, 와카, 관현을 의미하는 세 척의 배를 띄워 유람했다는 '세 척의 배' 고사는 교토 궁정의 필수 교양인 한시, 와카, 관현의 삼재에 모두 능통한 인재를 뜻한다. 이처럼 길한 주제의 병풍이 소용되는 자리로는 천황의 즉위식을 제일 먼저 고려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토 궁정 관련 화사를 전담했던 도사 미쓰요시가 천황 즉위식이나 연중행사 등 궁정 의례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국박본을 제작했을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베트남의 세계유산 등재 현황과 특징 (A Review of World Heritage Sites in Vietnam)

  • 주경미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93-114
    • /
    • 2017
  • 현재 베트남에는 ①탕롱 유적, ②호 왕조의 성채, ③미선 유적, ④호이안 고도시, ⑤후에 유적 등 5곳의 세계문화유산, ⑥하롱 베이, ⑦퐁나케방 국립공원 등 2곳의 세계자연유산, 세계복합유산인 ⑧짱안 경관유적 1곳 등 총 8곳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등재되어 있다. 지역적으로 보면 북부지역에 4곳, 중부지역에 4곳으로 분포하며, 남부지역에는 하나도 없다. 베트남의 자연유산은 모두 전형적인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 경관이며, 2000년대 이후 등재된 문화유산 지역들은 대부분 북부지역의 옛 왕조들의 수도였던 도성 유적이다. 지금까지 베트남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정책은 북부지역의 역사적 정통성을 강조한 유적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향후 베트남 정부의 문화 정책이 좀더 남북 지역간 격차를 줄이고 통합적으로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