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acted Tooth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22초

의도적 맹출술이 시행된 상악 매복 견치의 치료기간과 관련된 용인에 대한 3차원 단층촬영을 이용한 분석 (Factors Associated with Treatment Duration Time of Forced Eruption in Impacted Maxillary Canines Using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 김민수;김형우;이승수;이의묵;최보영;김봉철;이재인;윤정훈;이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1권6호
    • /
    • pp.346-354
    • /
    • 2013
  • Early identification of maxillary canine impac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treatment duration time. Analysis used by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is more important than before in treatment plann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treatment during time of forced eruption of the impacted maxillary canine using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17 patients were analysed in Daejeon dental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16 patients with unilateral impactions and 1 patient with bilateral impaction). In total, 18 maxillary impacted cannines were analysed by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 1.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ge of patient and treatment duration time. 2.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ance of occlusal plane to cusp of maxillary impacted canine and treatment duration time,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ngth of maxillary impacted canine and treatment duration time. 3.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ngulation of midsagittal plane to axis of maxillary impacted canine and treatment duration time,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occlusal plane to axis of maxillary impacted canine and treatment duration time. In conclusion, age, tooth length, distance from the canine cusp tip to the occlusal plane, angulation of tooth axis to occlusal plane and midsagittal plane allow that we can predict treatment duration time.

Cone beam CT와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이용한 매복 상악 견치의 3차원적 분석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AND PANORAMIC RADIOGRAPHS)

  • 전상윤;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6-117
    • /
    • 2013
  • 견치의 맹출은 영구치열의 이행에 중요하다. 견치 매복의 원인으로 유치의 조기 상실 또는 만기 잔존, 신생물 등이 있으며 측절치 이상이 상악 견치 매복을 야기할 수 있다. 치료되지 않은 매복 견치는 부정교합, 낭종 등을 야기하고 교정치료를 복잡하게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매복된 상악 견치의 위치를 조사하여 치료 및 합병증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상악 견치 매복으로 진단된 89명의 파노라마사진과 전산화단층영상을 사용하여 견치의 위치를 평가하였다. 시행된 치료와 합병증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가장 흔한 매복 위치는 치열궁 영역이었고 협측과 구개측 순이었다. 교정적 견인이 가장 빈번히 선택되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인접치를 변위시키는 경우가 가장 흔했다. 협측에 매복 시 변위를 일으키는 경향이 높았고, 협측에 매복될수록 교정적 견인이 덜 시행되었다. 중절치 근심에 매복 시 치근 흡수를 일으키는 경향이 더 높았다. 그러므로 상악 견치에 대한 검진을 통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의 시행이 필요하다.

발육중인 치아종으로 인한 맹출 장애 (ERUPTION DISTURBANCE ASSOCIATED WITH A DEVELOPING ODONTOMA)

  • 류재량;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05-511
    • /
    • 2010
  • 치아종은 느린 성장을 나타내는 양성종양으로 치성종양의 약 22%를 차지한다. 대부분 치아발생 과정 중 치배증식기에 시작되며, 성장이 제한적이고 특별한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환자가 자각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치아 맹출 장애를 주소로 이를 확인하는 과정 중에 흔히 진단되며, 10대에 가장 많이 발견된다. 치아종은 주로 방사선 사진을 통해 진단되는데, 발생 초기 및 초기 석회화 단계에서는 방사선 사진에서 확인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석회화되지 않은 치아종도 치아의 맹출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방사선 사진 촬영을 통한 확인이 필요하다. 치아종에 의해 맹출 장애가 발생한 경우 매복치의 발육정도와 매복위치에 따라 치아종을 제거한 후 자발적 맹출을 기대해 보거나 매복치의 외과적 노출, 교정적인 견인 등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특별한 원인 없이 맹출 장애를 보여 정기검사 또는 매복치의 맹출 유도를 위한 치료도중, 치아종이 석회화된 후에 방사선사진 상에 관찰되어, 맹출 장애 원인이 발육중인 치아종에 의해 야기되었음을 확인하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변위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맹출유도 (THE ERUPTION GUIDANCE OF AN IMPACTED DILACERA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 강근영;양규호;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50-556
    • /
    • 2005
  • 매복치아란 어떤 원인에 의하여 구강점막이나 악골내에서 치아의 맹출이 중지된 상태를 말하며, 악궁내의 어떠한 치아도 매복될 수 있으나 가장 흔하게 이환되는 치아는 상, 하악 제 3대구치, 상악 견치, 상, 하악 제 2소구치, 상악 중절치의 순으로 나타난다. 이 중 상악 영구 전치의 매복률은 0.1-0.5% 정도이며 매복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유전치의 외상, 과잉치, 치근단 병소로 인한 매복이 흔하며 조기에 적절히 치료되지 못하면 정중선의 변위, 인접치에 의한 맹출공간 감소, 치조골 높이의 차이 등의 결과를 유발한다. 치료로는 주기적 관찰방법, 매복치의 맹출로가 정상이며 치근이 미완성일 경우 상부 연조직과 경조직을 단순히 제거하여 맹출을 유도하거나 외과적 노출 후 매복치를 교정하는 방법, 치아이식술, 발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들은 상악 중절치의 맹출 지연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환아들로 상악 중절치의 변위 매복을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하악 제3대구치 발치 시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악하선과 설신경 손상: 증례보고 (Injury of submandibular gland and lingual nerve as complication third molar tooth extraction in mandible : a case report)

  • 임재성;윤현중;이상화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2호
    • /
    • pp.137-141
    • /
    • 2011
  • The extraction of an impacted third molar tooth is associated with many complications during the procedure and postoperative care. These complications include bleeding, swelling, pain, infection, as well as root fracture, proximal tooth injury, alveolar bone fracture, lingual nerve and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etc. With the exception of a fractured root dislocation in the submandibular space, no direct submandibular gland injury related to extraction surgery has been reported until now. A 40 year old man visited the department of oromaxillofacial surgery at Yeouido St. Mary's Hospital for an extraction of the right mandible third molar. A partial third molar impaction was diagnosed by a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A surgical tooth extraction was practiced including buccal cortical bone osteotomy. During socket curettage, an encapsulated cyst-like lesion and a verified $3{\times}3\;cm$ neoplasm in the apically lingual direction were found during process of dissection. A biopsy confirmed that the neoplasm involved the submandibular gland and nerve trunk. This unusual anatomical organ injury during the surgical tooth extraction procedure is reported as a new complication during impacted third molar extraction.

만곡된 치근을 가진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견인을 이용한 치험례 (ORTHODONTIC TRACTION OF IMPACED CENTRAL INCISOR WITH DILACERATED ROOT)

  • 김영진;박호원;이주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37-443
    • /
    • 2005
  • 상악 중절치는 만곡이 주로 일어나는 치아로 만곡에 의해 치아가 매복된 경우 인접치아가 기울어지거나 정중선이 편위되는 등의 교정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치아의 만곡은 외상과 낭종, 기타 원인으로 발생하며 치아의 형태나 치근의 만곡도, 악골 내의 위치, 자발적인 맹출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치료를 결정해야 한다. 치아가 순설측으로 만곡된 경우는 자발적인 맹출이 어려우므로 발치를 포함한 보철적 처치나 발치 후 재식술, 외과적 치관노출을 동반한 교정적 처치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증례는 치근이 순측으로 만곡되어 매복하고 있는 상악 중절치를 폐쇄맹출법을 이용해 교정적으로 견인하여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

Common dental anomalies in Korean orthodontic patients: An update

  • Ku, Ja Hyeong;Han, Byoul;Kim, Jaehyun;Oh, Jiyoung;Kook, Yoon-Ah;Kim, Yoonj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324-333
    • /
    • 2022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pattern of dental anomalies (DAs), 2) to compare DAs according to the type of malocclusion, and 3)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ooth impaction and other DAs in the Korean orthodontic population. Methods: A total of 3,240 orthodontic patients were classified as Class I, Class II, or Class III malocclusion groups. The presence and location of common DAs, including impaction, microdontia, agenesis, supernumerary tooth, transposition, and fusion, were identified by examining diagnostic records. Furthermore, samples were classified as Group 1 without impaction or Group 2 with impaction. The prevalence of other DAs concurrent with impaction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Group 1. Results: Impaction was the most prevalent DA, followed by microdontia, agenesis, and supernumerary. Class I and Class III groups showed the same order of prevalence, but agenesis was more frequent than microdontia in the Class II group. The prevalence of the four DAs was lowest in the Class III group. Overall, 8.6% of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Group 2. The incidence of DAs other than impaction and the prevalence of multiple concurrent DA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 Impaction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upernumerary tooth, transposition, and fusion. Conclusions: The prevalence and pattern of DAs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malocclusion. As there was a higher risk of other DAs in patients with impacted teeth, early detection of the impacted tooth and a detailed diagnosis of other possible DAs may be essential.

치아종에 의해 매복된 하악 제2 유구치의 교정적 견인 (ORTHODONTIC TRACTION OF THE LOWER DECIDUOUS SECOND MOLAR IMPACTED BY AN ODONTOMA)

  • 한윤범;김성오;이제호;최형준;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4-88
    • /
    • 2009
  • 치아매복이란 물리적인 장벽으로 치아맹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정상 맹출 시기까지 치아가 맹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영구치열기에서 주로 관찰되고, 유치열기에서는 드물다. 치아매복은 전신적 그리고 국소적인 요인에 의하여 일어나고, 치아종에 의한 매복이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치아종에 의한 매복 또한 대부분 영구치열기에 나타나고, 유치열기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이 증례는 하악 좌측 제2유구치의 맹출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4세 4개월 된 여아에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매복된 하악 좌측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 교합면 상방에서 치아종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하악 좌측 제2유구치는 치아종에 의해 하악 제1대구치 방향으로 원심경사 되어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치아종을 제거한 후 매복된 하악 좌측 제2유구치를 교정적으로 견인하고 맹출을 유도하여, 양호한 교합 관계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매복된 상악 견치의 자가치아이식을 통한 치험례 (AUTOTRANSPLANTA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S)

  • 김태완;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26-333
    • /
    • 2003
  • 매복치의 적절한 맹출 유도를 위해서는 유치의 상태, 치조골과 치아와의 상관관계, 환자의 치령, 치료에 대한 환자의 협조도 및 경제적 상태의 고려 등 많은 요소에 좌우되는 복잡한 치료계획이 필요하다. 만약 맹출장애의 원인이 발견되었다면, 맹출 유도를 위해서는 원인의 제거와 다양한 술식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치아이식법은 매복된 치아의 위치가 외과적인 노출과 후 교정적인 견인이 어려운 곳에 존재하는 경우, 발치에 앞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본 증례는 매복 상악 견치의 자가이식을 시행한 3증례를 보고한 것으로, 자가이식 치료 후 관찰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공여 치아 제거시 가해지는 외상이 최소가 되게 하여야 한다. 치근단이 완성된 치아를 이식할 경우에는 치수괴사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치수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 복잡한 매복증례에서 교정치료시 소요되는 경비 및 시간을 고려하여 치아이식을 시행할 수도 있다. 수용부의 치조와는 공여 치아의 치근보다 약간 커야 하며, 공여치아의 치근 크기와 치조골의 순설측 폭경에 따라 open 또는 closed procedure로 형성할 수 있다.

  • PDF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의 맹출 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MANDIBULAR SECOND MOLAR)

  • 이혜림;이광희;라지영;안소연;김윤희;임화신;이제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04-411
    • /
    • 2012
  • 치아의 매복은 맹출로 내의 물리적 장애물이나 치아의 비정상적 위치에 의해 발생한 치아 맹출의 정지로, 하악 제2대구치의 매복은 비교적 드물다.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는 우식, 치주염, 제1대구치 치근흡수 등을 유발하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 첫 번째 증례는 10세 남자 환자로 하악 양측 제2대구치의 매복을 구리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12세 여자 환자로 구강검진 도중 하악 좌측 제2대구치의 매복이 발견되어 Humphrey 장치를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세 번째 증례는 17세 여자 환자로 하악 우측 소구치부에 식립한 미니 임플란트를 고정원으로 하는 uprighting spring을 이용하여 하악 우측 제2대구치의 매복을 치료하였다. 네 번째 증례는 18세 남자 환자로 매복된 하악 좌측 제2대구치에 부착한 교정용 버튼과 하악지에 식립한 미니 임플란트를 elastic thread로 연결하여 치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