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act investment

검색결과 886건 처리시간 0.027초

The Impact of Investments on Economic Growth: Evidence from Vietnam

  • NGUYEN, Khang The;NGUYEN, Hung Than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8호
    • /
    • pp.345-353
    • /
    • 2021
  • The impact of investment on economic growth has been studied by many authors around the world with different times and research methods. Therefore,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about the impact of investment on economic growth. To contribute empirical evid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investment sources such as public investment, private investment,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economic growth in Vietnam in the short-run and long-run. The data used for the study is panel data from 63 Vietnamese provinces between 2000 and 2020. The inquiry method is PMG (Pool Mean Group) regression for economic growth (GDP) after testing the stationarity of the variables that meet the PMG regression condition as suggested by Pesaran et al. (1996) and Hamuda et al. (2013). The results show that: factors such as labor and trade openness have a nega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in the short term. In the long run, public invest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while domestic private investment, foreign direct investment, trade openness, and labor have positive effects on economic growth. Labour contributes the most, followed by trade openness,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domestic private investment. Finally, the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 of Vietnam.

Behavioral Factors on Individual Investors' Decision Making and Investment Performance: A Survey from the Vietnam Stock Market

  • CAO, Minh Man;NGUYEN, Nhu-Ty;TRAN, Thanh-Tuye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845-853
    • /
    • 2021
  • The stock market shows the current health of an economy, and investment performance represents i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behavior and investment decisions as well as its impact on investment results. Determine the influence of behavioral factors on individual investors' investment decisions and investment performance on the Vietnam stock market. The study surveyed 250 investors. The main analytical methods used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earch results show that Heuristic, Prospect, Market, and Herding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 investment decision-making. Besides, the above factors have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investment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Prospect factor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investment decision-making and investment performanc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mportant role of Heuristic, Prospect, Market, and Herding on Investment Decision-making and Investment Performance. Prospect had the strongest impact on Investment decision-making (β = 0.275). Heuristic had the second strongest impact (β = 0.257), then Herding (β = 0.202), and finally Market (β = 0.189) had the weakest effect. Regarding Investment Performance, the Prospect factor has a higher degree of impact than Heuristic Herding and Market.

사회적기업의 임팩트투자와 한국 적용가능성 연구 (Impact Investment into Social Enterprises and Applicability to Korea)

  • 장석인;진재근;최호규;정강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2호
    • /
    • pp.163-179
    • /
    • 2020
  • 최근에 임팩트투자가 전 세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사회·환경적 문제 해결이 어렵다는 인식함에 따라 민간 자본과 다양한 금융기법을 사회·환경적 니즈와 결합하여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려 하는 데에 있다. 임팩트투자란 본래 재무적·사회적·환경적 측면이 혼합되어 있다는 믿음 하에서, 이러한 혼합가치(blended value)에 초점을 맞춘 투자를 말하며, 이를 통해 투자수익률 등의 재무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임팩트투자의 개념과 방법, 그리고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기업과 임팩트 투자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다. 특히, 사회성과연계채권(SIB)과 운영 사례에 대한 구체적으로 분석한 후, 임팩트투자의 한국 적용가능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먼저, 임팩트금융에 대한 정부 태도의 변화이다. 정부는 혁신적 공공사업을 시장에서 검증받은 서비스 제공업자에 맡겨 공공 서비스사업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제고 해야 한다. 둘째, 법적 제도가 혁신해야 한다. 임팩트투자는 재무적 성과의 극대화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 해결을 동시에 추구하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임팩트투자는 민간에 공공사업을 위탁할 때, 사회적 성과를 분명하게 요구하고, 그리고 이에 따른 평가를 명확히 해야 하며, 나아가서 사업수행 과정은 더 자유롭고 활동할 수 있도록 임팩트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임팩트 투자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mpact Investment)

  • 고병기;김다혜;성창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3호
    • /
    • pp.1-15
    • /
    • 2023
  • 임팩트 투자는 사회적 가치와 재무적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소셜벤처에 대한 투자로, 재무적 수익을 창출하는 동시에 다양한 사회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국내 임팩트 투자 생태계는 정부 및 공공기관의 주도 하에 성장하였으며, 2021년 운용자산 기준 총 7,000억원으로 3년만에 3.5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양적 성장과 함께 질적 성장을 견인하기 위하여 벤처투자와 구분되는 임팩트 투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임팩트 투자만의 차별화되는 영향요인을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임팩트 투자사 대표 및 심사역 11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여 주요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임팩트 투자 심사역 10명을 대상으로 AHP 조사를 실시하여 중요도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상위 요인의 중요도는 시장>창업가(팀)>제품·서비스>재무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요인의 중요도는 '시장의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신시장 창출 가능성>시장성장 및 확장 가능성>팀의 전문성 및 역량>제품·서비스의 차별성 및 경쟁력'의 순서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선행연구에서 밝힌 벤처투자 결정요인과 다르게 임팩트 투자는 시장 관련 요인을 중요하게 평가하고 특히 투자 결정 시점에서 소셜벤처의 사회적 가치 보다 비즈니스 모델의 지속가능성과 수익을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PDF

Impact of FDI on Private Investment in the Asian and African Developing Countries: A Panel-Data Approach

  • TUNG, Le Thanh;THANG, Pham Na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3호
    • /
    • pp.295-302
    • /
    • 2020
  •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on private investment with a sample having 49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17 countries) and Africa (32 countries) during the period of 1990-2017. Unlike previous studies, we split the data into three groups for further analysis, including the Asian, African and the full-panel samples. The results confirm a crowding-in effect which shows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 promotes private investment on all three research samples. Besides, the lagged private investment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itself in the next period which reflects the inertia in the trend of private investment in recipient countries. In the full-panel sample, there are some macro factors such as GDP per capita, trade openness, and electricity that also have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rivate investment. Besides, when more deeply estimate with smaller samples, we find that trade openness and labour force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n Africa, on the other hand, not in Asia. However, the domestic credit variable has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private investment only in Asian developing countries. Furthermore, there is only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f the electricity variable on private investment in Asia.

임팩트 투자자의 투자 우선순위와 비중 차이에 관한 연구 (Investment Priorities and Weight Differences of Impact Investors)

  • 유성호;황보윤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3호
    • /
    • pp.17-32
    • /
    • 2023
  • 최근 정부와 공공의 역할만으로 사회문제를 모두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어서, 시장에서 영리 조직의 효율성이나 효과성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면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소셜벤처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배경하에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에서도 소셜벤처 창업이 증가하면서 소셜벤처 투자자인 임팩트 투자자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팩트 투자자의 투자 결정에 있어서 인지과정과 의사결정 환경에 따른 판단 정보의 타당도와 가중치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판단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한 세 가지 분류로 첫째, 투자자로서 재무적 이익과 회수 가능성 판단을 위한 초기투자단계에서의 투자 우선 순위, 둘째,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파급력, 그리고 소셜벤처의 상생과 연대를 위한 창업가(팀)의 정치적 기술, 셋째, 임팩트투자펀드 조성 목적에 부합하는 소셜벤처기업의 소셜미션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임팩트투자자의 투자결정의 우선 순위는 창업가(팀)의 전문성, 창업가(팀)의 성공시의 잠재적 수익률, 창업가(팀)의 소셜미션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팩트투자자가 투자결정요인에 대하여 판단하는 인식이 획일적이기보다는 투자 결정 요소가 제각각 다르며, 비중을 두는 정도에 있어서도 생각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임팩트투자의 다양한 투자결정 요인에서 '창업자(팀)의 네트워킹 능력', '창업자(팀)의 사회적 통찰력', '창업자(팀)의 대인관계 영향력은 다른 4개의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실무적 기여점은 소셜벤처기업들이 투자 유치과정에서 임팩트투자자의 투자결정요인이 무엇인지 이해를 돕고, 소셜벤처 투자자에게는 임팩트투자자의 판단사례와 분석을 참고하여 투자결정의 질적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학술적 기여점은 임팩트 투자자의 투자 우선 순위와 비중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것이다.

  • PDF

투자영향분석을 기반으로 한 지식경영 평가방법론 프레임워크 (A Knowledge Management Assessment Framework Based on Impact of Investment)

  • 김관영;권오병
    • 지식경영연구
    • /
    • 제9권1호
    • /
    • pp.117-128
    • /
    • 2008
  • It is very crucial to establishing an evaluation framework for anayzing the investment effects of IT asset such as knowledge managment systems. However, evaluation by quantitative measures, in spite of its usefulness and reliability, may have weakness in examining wide range of effects of the IT investment. H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ovel framework to evaluate the performance in terms of wider range of informatization effects. To do so, knowledge management concepts has been adopted in the evaluation method, and Impact Of Investment(IOI) has been suggested. IOI is used to derive Value Of Investment(VOI) and then ROI.

  • PDF

Do Foreign Direct Investment, Energy Consumption and Urbanization Enhance Economic Growth in Six ASEAN Countries?

  • LONG, Nguyen Tie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33-42
    • /
    • 2020
  • The neoclassical economic supporters have suggested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raw material (e.g., coal, electricity, gas, and oil) are critical economic growth inputs. Few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energy consumption on economic growth. However, existing studies usually have applied the frequentist inference. The limitation of the frequentist inference is that, if the coefficien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is not yet significant, then conclusions might be unreliable. By applying the Bayesian approach,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revisit the impa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electricity consumption, and urbanization on economic growth in six ASEAN countries from 1980 to 2016. The obtained outcome shows that the impact of electricity consumption is evident and positive on economic growth in both frequentist and Bayesian inferences. However, the influenc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not identified by frequentist inference, while Bayesian inference provides evidence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a moderately posi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The empirical result from Bayesian inference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modeling and could be of significant importance for a more efficient foreign direct investment attracting and achieve sustainability in the long-term.

Factors Affecting Corporate Investment Decision: Evidence from Vietnamese Economic Groups

  • PHAN, Duong Thuy;NGUYEN, Ha Th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177-184
    • /
    • 2020
  • This paper analyzes factors affecting corporate investment decisions in economic groups listed on the Vietnam stock market. The panel data of the research sample includes 39 economic groups listed on the Vietnam stock market from 2009 to 2019. The Generalized Least Square (GLS) is employed to address econometric issues an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s. In this research, the investment rate is a dependent variable. Cash-flow (CF), Investment opportunities (ROA), Fixed capital intensity (FCI), Leverage (LEV), Sales growth (GR), Size (SZ), Business risk (RISK) ar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study. The model results show that cash flow and sales growth have the same impact on investment decisions of economic groups in Vietnam. In addition, investment opportunitie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capital investment decisions of economic groups. The remaining factors include fixed capital intensity, leverage, firm size, and business risks that have a weak and insignificant impact on capital investment decisions of economic groups in Vietnam. The findings of this article are useful for business administrators, and helping business managers make the right financial decisions. Besides, the research results are also meaningful to money management agencies. The authors recommend that the State Bank of Vietnam should maintain a sustainable monetary policy.

지분 집중도가 중국 상장기업의 수익 증가에 미치는 영향: R&D 투자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Ownership Concentration on Earnings Growth of Chinese Listed Firms: The Mediating Effect of R&D Investment)

  • 부진혁;유국봉;배기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318-32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분 집중도와 R&D 투자가 중국 상장기업 수익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WIND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중국 2,366개 상장기업의 14,196개의 표본을 추출해 Python으로 실증 분석법은 활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분 집중도가 중국 상장기업의 수익 증가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분 집중도가 중국 상장기업의 R&D 투자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R&D 투자가 중국 상장기업의 수익 증가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R&D 투자가 중국 상장기업의 수익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시차 효과를 미친다. 다섯째, R&D 투자는 지분 집중도와 중국 상장기업 수익 증가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 상장기업의 지분 집중도 최적화 및 R&D 투자 향상을 통한 기업의 수익 증대를 촉진하는 대책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