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mmunomodulatory Activity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2초

육계에서 구멍갈파래의 항산화 및 면역조절 효과 (Antioxidant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Ulva pertusa kjellman on Broiler Chickens)

  • 홍준기;봉미희;박준철;문홍길;김동욱;이상철;이준헌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5호
    • /
    • pp.419-428
    • /
    • 2011
  • 본 연구는 구멍갈파래 급여가 육계 혈액 내 항산화, 면역조절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 하였으며, 이를 위해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육계에서 혈액 SOD 유사 활성, immunoglobulin 농도 및 비장 조직 내 cytokine mRNA 발현을 조사하였다. 공시계로는 1일령 Ross종 육계수컷 96수를 선별하여, 육계전기(0~3주), 육계후기(3~5주)의 5주 동안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당 24수(3수${\times}$8반복)씩 4처리구에 총 96수를 임의배치 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무첨가구(Negative Control ; NC), 시판 면역증강제 첨가구(Positive Control ; PC, ${\beta}$-glucan 25 ppm), 구멍갈파래 분말 3% 첨가구(Ulva pertusa kjellman Powder ; Ulva P) 및 구멍갈파래 추출물 0.3% 첨가구(Ulva pertusa kjellman Extract ; Ulva E)로 배치하였다. 혈액 내 SOD 유사 활성을 분석한 결과 구멍갈파래 첨가구 (Ulva P, Ulva E)는 무첨가구와 면역제제 첨가구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immunoglobulin 농도에서 IgA와 IgG 농도는 처리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IgM농도에서 구멍갈파래 추출물 처리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P<0.05). 이는 구멍갈파래 추출물이 LPS에 대한 면역자극을 조절하여 과잉면역반응을 억제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장 조직 내 cytokine mRNA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IL-1, IL-2 및 IL-6에서 처리구별 공통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구멍갈파래 처리구(Ulva P, Ulva E)의 mRNA 발현 비율이 무첨가구와 면역제제 처리구에 비해 낮았으며, 구멍갈파래 처리 간 비교에서 구멍갈파래 추출물이 분말보다 더 낮았다(P<0.05). iNOS의 경우 구멍갈파래 분말 첨가구는 무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구멍갈파래 추출물 첨가구는 모든 처리구보다 iNOS의 발현이 낮았다(P<0.05). 구멍갈파래 분말과 추출물은 LPS 주입에 의한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특히 구멍갈파래 추출물이 발현억제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본 연구 결과 육계에서 구멍갈파래 급여는 염증, 질병의 원인인 활성산소 제거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특히 구멍갈파래 추출물은 혈액 내 IgM의 농도를 조절하여 외부항원에 대한 과잉면역반응을 억제하고 염증 관련 cytokine mRNA 발현을 억제하여 육계 면역조절에 긍적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새로운 번데기 동충하초의 수집, 동정 및 간기능에 미치는 효과 (Collection, Identification and Hepatic Effect of Native Cordyceps militaris)

  • 이기원;남병혁;조월순;오수정;강은영;최영;이재윤;천상철;정민호;이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4
    • /
    • 2006
  • 수집, 동정된 새로운 동충하초의 간에 관한 기전연구 및 기능향상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번데기 동충하초를 버섯채집회 등을 통해서 수집하고,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염기서열을 유전자은행에 등록된 번데기 동충하초와 계통발생학적인 비교를 통해 동일종으로 확인하였다. 추출조건 및 방법을 다양화시켜 열수 및 유기용매 추출법으로부터 얻어진 분획중에서 간관련 효소활성 시험을 통해 효능이 있는 추출물 분획을 찾아내고, 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간의 대사효소인 ADH, ALDH의 활성증가가 시판되고 있는 의약품, 천연차, 혼합음료, 드링크 등의 6종류의 제품과 비교 실험하여 $500\;{\mu}g/m{\ell}$의 동충하초 추출물이 월등한 활성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생체에 투여하여 동충하초 추출물에 의해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 및 대사가 촉진되고 정상상태로 빠르게 회복됨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설치류 단회독성시험 및 유전독성시험을 통하여 시험물질의 무독성을 확인하였고, 간을 손상물질인 사염화탄소를 투여하여 급성손상에 대한 혈액생화학변화(GOT, GPT) 및 조직에서 동충하초 추출물에 의한 보호 및 회복작용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번데기 동충하초의 추출물이 독성물질에 대한 급성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저독성의 오랜기간 노출로 인한 만성간장해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지방간 등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는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nticancer Effects of Typhae Pollen on HepG2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 Joo, Jeong-Hyun;Kim, Kyung-Soon;Choi, Hong-Sik;Kim, Seung-Mo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1-270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tumor activities of Typhae pollen (TP) by confirming in vitro cytotoxicity and in vivo anti-tumor and immune-modulatory effect with anti-cachexia effect. The MTT assay is used in HepG2 cell to detect potential cytotoxic activities of aqueous extract of Typhae pollen (TPe). After HepG2 tumor cell implantation, eight mice per groups were assigned to six groups. Three different dosages of TPe (500, 250 and 125 mg/kg) were orally administered in the amount of $10m{\ell}/kg$ and sorafenib also administered 20mg/kg, every day for 35 days from 28 days after the tumor cell implantation. We observed the changes on body weights, tumor volume and weights, lymphatic organ, serum interferon $(IFN)-{\gamma}$ levels, splenocytes and peritoneal NK cell activity, splenic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IL-10 contents. Periovarian fat weights, serum IL-6 levels, thicknesses of deposited periovarian adipose tissue and mean diameters were also detected to monitor the tumor-related anticachexic effects. In tumor masses, the immunoreactivities of cleaved caspase-3 and cleaved poly (ADP-ribose) polymerase (cleaved PARP) - apoptotic marks, cyclooxygenase-2 (COX-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s (iNOS)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were additionally observed by immunohistochemistr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sorafenib. Decreases of COX-2 were demonstrated in sorafenib and TPe treated mice and also increases of iNOS in tumor masses were observed in TPe, not in sorafenib. TPe increased periovarian fat pad weights compared with tumor-bearing controls and sorafenib treated mice. TPe showed increases of splenic $TNF-{\alpha}$, IL-10 and $IL-1{\beta}$, serum $IFN-{\gamma}$ and NK cell activities corresponding to increases of spleen weights, lymph node weights and non-atrophic changes of lymph nodes. Our results show oral treatment of TPe 500, 250 and 125 mg/kg has potent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ies through modest cytotoxic effects, immunomodulatory effects and apoptotic activities in HepG2 tumor cells. In addition, TPe can prevent cancer related cachexia.

PMA에 의한 cyclooxygenase-2 발현 및 prostaglandin E2의 생성 증가에 미치는 톳 추출물의 영향 (Hizikia fusiforme Inhibits Cyclooxygenase-2 Expression and Prostaglandin E2 Production by PMA through Inactivation of NF-κB)

  • 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396-140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의 일종인 톳(H. fusiforme)의 항염증 효과에 관한 생화학적 기전 해석을 위하여 U937 단핵구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PMA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유발된 COX-2의 발현 및 $PGE_2$의 생성 증가에 미치는 몇 가지 톳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PMA는 U937 세포에서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COX-2의 전사 및 번역수준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나, COX-1의 발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PAM에 의한 COX-2의 발현 증가는 $PGE_2$ 생성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고, 톳의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은 COX-2의 발현 증가는 $PGE_2$ 생성 증가를 매우 억제시켰으나, COX-1의 발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아울러 PMA에 의한 NF-$\kappa$B의 핵내 이동 및 I$\kappa$B의 분해를 톳의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이 완벽하게 차단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톳의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이 NF-$\kappa$B의 활성을 차단함으로서 COX-2의 발현 및 $PGE_2$ 생성을 저해하였음을 의미하며, 이는 톳이 강력한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뒷받침하여 주는 것이다.

Effect of lactoferrin hydrolysates on inflammatory cytokine modulation in HEK-293, RBL-2H3, and HMC-1 cells

  • Son, Ji Yoon;Bae, Hyung Churl;Renchinkhand, Gereltuya;Nam, Myoung Soo;Kim, Woan-sub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1호
    • /
    • pp.83-93
    • /
    • 2020
  • Lactoferrin (LF) is an iron-binding glycoprotein that is present in colostrum, milk, and other body secre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ctoferrin hydrolysates (LHs) on the production of immunomodulatory factors, including inflammatory related cytokines. The nuclear factor (NF)-κB reporter assay using human embryonic kidney 293 cells (HEK-293) revealed that NF-κB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1, 50, and 100 ㎍/mL of LH and the fractions above and below the 10 kDa LH. The mRNA expression of interferon (IFN)-γ in rat basophilic leukemia mast cells (RBL-2H3) treated with the fraction above the 10 kDa LH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the cells treated with LH and the fraction below the 10 kDa LH showed an increased expression of IFN-γ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level of cyclooxygenase (COX)-2 expression decreased dose-dependently in RBL-2H3 cells treated with LH and the fraction above the 10 kDa LH, but the cells treated with the fraction below the 10 kDa LH showed an increased COX-2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mRNA expression of interleukin (IL)-4) was dose-dependently decreased by the fraction below the 10 kDa LH in human mast cells (HMC-1). The mRNA expressions of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L-6 were significantly dose-dependently decreased by the fractions above and below the 10 kDa LH, but was dose-dependently increased by LH. The production of IL-4 was a little increased by the fraction above the 10 kDa LH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but was decreased with LH and the fraction below the 10 kDa LH in HMC-1 cells. It was concluded that LF hydrolysates had an immunomodulating effect on anti-, pro-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reactions.

상황버섯의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분석 (Phellinus linteus; Market and Technology Trends Analysis)

  • 손은화;노현숙;박영서;손은수;강세찬;강남성;표석능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09-117
    • /
    • 2008
  • 담자균류의 버섯은 대부분 영양생장단계의 균사체와 포자를 형성하는 생식생장단계인 자실체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자연산 상황버섯은 자연계에서의 분포수가 극히 적어 그 자실체를 얻기 어려우며, 이러한 희귀성으로 인해 매우 고가로 거래되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상황버섯은 균사체 배양기술과 인공재배법이 확립된 후 농가에서 대량생산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의 개발이 활발하였다. 그러나 인공재배법에 의한 상황버섯 추출물은 자연산 추출물의 항암 및 효능면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자연산 자실체와 같은 수준에서의 약효를 나타내기 위한 인공배양기술과 고농도 유효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추출법이 핵심기술로 대두되었고, 인공배양된 상황버섯과 자연산의 다각도적인 약효 비교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이 높게 함유된 저렴한 추출물이 생산될 수 있는 기반 기술들이 기능성 음료용수, 식품 및 의약품으로 개발에 중요한 핵심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상황버섯 기능성 식품의 시장은 상황버섯의 효능에 대한 인지 증대, 웰빙열풍을 의한 건강 음료에 대한 선호도 증대 등으로 인해 향후에도 1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는 중소기업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어 마케팅 및 유통의 한계로 인해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지 않으나, 사업매력도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어 대기업에서도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시장에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아나필락시스 반응과 비만세포 활성화에 대한 한국전통약제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everal Korean Traditional Herbs on Anaphylactic Reaction and Mast Cell Activation)

  • 채옥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4호
    • /
    • pp.201-209
    • /
    • 2010
  • 한방에서 사용되는 약재 중 가자와 지모, 단삼은 면역조절 및 항암효과, 항염증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비만세포와 관련된 아나필락스를 이해할 수 있는 세포학적 기전에 대한 가자와 지모, 단삼의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이 아나필락시스 반응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시험관내 실험과 생체 실험을 통하여,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이 compound 48/80에 의한 아나필락시스와 비만세포 활성화 및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은 compound 48/80에 의한 전신성 아나필락시스와 귀부종 반응,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억제하였다. 2) Compound 48/80에 의한 비만세포 탈과립과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가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 전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3) Compound 48/80에 의한 흰쥐 복강 비만세포내로의 칼슘 유입이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 전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은 비만세포 탈과립과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 비만세포내로 칼슘유입을 억제함으로써 compound 48/80에 의한 아나필락시스와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가자와 지모, 단삼은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황금(黃芩) 약침(藥鍼)이 급성염증 백서의 면역조절능에 미치는 영향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harmacopuncture on Acute Inflammatory Rat Model)

  • 양승희;이향숙;이은;이준무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6권3호
    • /
    • pp.55-68
    • /
    • 2009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harmacopuncture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at model. Methods :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LPS control (n=6), LPS+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harmacopuncture at BL23 (n=6, BL23), LPS+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harmacopuncture at CV12 (n=6, CV12), and LPS+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harmacopuncture at GV4 (n=6, GV4). Pharmacopuncture was given every two days for 4 weeks followed by inflammation induction by intraperitoneal LPS injection (5mg/kg). Blood, liver tissue, and peritoneal lavage fluid were take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other related factors were analysed. Results : For proinflammatory cytokines, CV12 pharmacopuncture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plasma IL-$1{\beta}$, IL-6, TNF-$\alpha$, and IL-10 5 h after LPS injection (P<0.05). For plasma IL-$1{\beta}$ and IL-6, CV12 pharmacopuncture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2 h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GV4 pharmacopuncture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5 h in plasma IL-$1{\beta}$, IL-6, and TNF-$\alpha$ and at 2 h in IL-10 (P<0.05). Liver cytokines were analyzed at 5 h after LPS injection; only CV12 pharmacopunctur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IL-$1{\beta}$ (P<0.05) and others including IL-6, TNF-$\alpha$, and IL-10 had no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D4/CD8 ratio and the phagocytic activities of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 group in all pharmacopuncture groups (P>0.05). Plasma NO3-/NO2- and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 of CV12 pharmacopunctur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In the plasma concentration of prostaglandin E2, all 3 pharmacopuncture groups had significantly lower value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pharmacopucnture groups.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and cytokine-induced neutorphil chemoattractant-1 in peritoneal lavage flui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V12 pharmacopuncture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harmacopuncture at CV12 may have a potent anti-inflammatory effect in an LPS-induced inflammatory rat model.

  • PDF

상피성 난소암 세포에서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세포 증식 저해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of Propolis on Epithelial Ovarian Cancer Cells)

  • 양가람;윤경미;오현호;김민성;황태호;안원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834-839
    • /
    • 2017
  • Propolis는 꿀벌들이 나무로부터 수집한 천연물로서 항산화, 항염증, 항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전통의학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생리활성은 여러 가지 유용성분들이 혼합된 것과 관련이 있다. 난소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두 번째로 발병률이 높은 암이다. 대부분의 난소암 환자들은 초기에 수술적 기법과 항암요법에 우수하게 반응하지만, 항암제 내성에 의한 재발이 발생하게 되면 항암요법제에 의한 반응률이 매우 저조하여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따라서, 난소암의 높은 치사율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제 및 항암보조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상피성 난소암 세포주인 A2780를 이용하여 Austalian propolis의 항암 효과와 활성기전을 조사하였다. Propolis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난소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했으며. Flow cytometric 분석을 통해 G0/G1기에서 세포 주기 억제와 apoptosis 유도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ustalian propolis의 인간 난소암에 대한 예방과 치료를 위한 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Upregulation of miR-23b Enhances the Autologous Therapeutic Potential for Degenerative Arthritis by Targeting PRKACB in Synovial Flui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from Patients

  • Ham, Onju;Lee, Chang Youn;Song, Byeong-Wook;Lee, Se-Yeon;Kim, Ran;Park, Jun-Hee;Lee, Jiyun;Seo, Hyang-Hee;Lee, Chae Yoon;Chung, Yong-An;Maeng, Lee-So;Lee, Min Young;Kim, Jongmin;Hwang, Jihwan;Woo, Dong Kyun;Chang, Woochul
    • Molecules and Cells
    • /
    • 제37권6호
    • /
    • pp.449-456
    • /
    • 2014
  • The use of synovial flui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SFMSCs) obtained from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opathy may serve as an alternative therapeutic strategy in osteoarthritis (OA) and rheumatoid arthritis (RA). For treatment of OA and RA patients, autologous transplantation of differentiated MSCs has several beneficial effects for cartilage regeneration including immunomodulatory activity. In this study, we induced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of SFMSCs by inhibiting protein kinase A (PKA) with a small molecule and microRNA (miRNA).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was confirmed by PCR and immunocytochemistry using probes specific for aggrecan, the major cartilaginous proteoglycan gene. Absorbance of alcian blue stain to detect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was increased in H-89 and/or miRNA-23b-transfected cells. Furthermor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and MMP-2 was decreased in treated1 cells. Therefore, differentiation of SFMSCs into chondrocytes through inhibition of PKA signaling may be a therapeutic option for OA or RA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