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unochemistry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1초

MEKK3 and Survivin Expression in Cervical Cancer: Association with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nd Prognosis

  • Cao, Xue-Quan;Lu, Hong-Sheng;Zhang, Ling;Chen, Li-Li;Gan, Mei-F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3호
    • /
    • pp.5271-5276
    • /
    • 2014
  •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kinase kinase 3 (MEKK3) is an important protein kinase and a member of the MAPK family, which regulates cellular responses to environmental stress and serves as key integration points along the signal transduction cascade that not only link diverse extracellular stimuli to subsequent signaling molecules but also amplify the initiating signals to ultimately activate effector molecules and induce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survival.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EKK3 and cell apoptosis, clinicopathology and prognosis, we characterize the expression of MEKK3 and survivin in cervical cancer. MEKK3 and survivin expression was measured by RT-PCR and Western blotting of fresh surgical resections from 30 cases of cervical cancer and 25 cases of chronic cervicitis. Protein expression was detected by tissue microarray and immunochemistry (En Vision) in 107 cases of cervical cancer, 86 cases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and 35 cases of chronic cervicitis. Expression patterns were analyzed for their association with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nd prognosis in cervical cancer. Expression of MEKK3 and survivin mRN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ervical cancer than in the controls (p<0.05). MEKK3 and survivin expression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cervical carcinoma, CIN, and cervicitis (p<0.05) and correlated with clinical stage, infiltration depth, and lymph node metastasis (p<0.05). MEKK3 ex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rvivin (p<0.05).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MEKK3 and survivin expression, lymph node metastasis, depth of invasion, and FIGO stage reduce cumulative survival. Cox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EKK3, survivin, and clinical staging a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in cervical cancer (p<0.05). Expression of MEKK3 and survivin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ervical cancer, their overexpression participating in the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cervical cancer, with protein expression and clinical staging acting as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가토모델에서 Lipo-PGE1이 복합조직이식편의 미세혈관신생에 미치는 영향 (In-vivo Studies on Effect of Lipo-PGE1 on Neoangiogenesis of Composite Graft in a Rabbit Model)

  • 박지웅;어수락;조상헌;최종순;김어진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721-725
    • /
    • 2010
  • Purpose: The survival of composite graft is dependent on three steps, (1) plasmatic imbibitions, (2) inosculation, and (3) neovascularization. Among the many trials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composite graft, prostaglandin E1 (PGE1) has beneficial effects on the microcirculatory level with vasodilating, antithrombotic, anti-inflammatory and neoangiogenic properties. Lipo-PGE1 which is lipid microspheres containing PGE1 had developed to compensate the systemic and local side effects of PGE1. This study was proposed to determine whether Lipo-PGE1 administration enhanced the survival of composite graft through neovascularization quantitatively in a rabbit ear model. Methods: Fourteen New Zealand White Rabbits each weighing 3~4 kg were divided in two groups: (1) intravenous Lipo-PGE1 injection group and (2) control group. A $2{\times}1\;cm$ sized, full-thickness rectangular composite graft was harvested in each auricle. Then, the graft was reaaproximated in situ using a 5-0 nylon sutu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3{\mu}g$/kg/day of Lipo-PGE1 ($5{\mu}g$/mL)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through the marginal vein of the ear for 14 days. The control group was received no pharmacologic treatment. On the 14th postoperative day, composite graft of the ear was harvested and immunochemistry staining used Monoclonal mouse anti-CD 31 antibody was performed. Neoangiogenesis was quantified by counting the vessels that showed luminal structures surrounded by the brown color-stained epithelium and counted from 10 random high-power fields (400x) by independent blinded observer. Statistical analysis (Wilcoxon Signed Ranks test for nonparametric data) was performed using SPSS v12.0, with values of p<0.05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The mean number of the microvessels was $15.48{\pm}8.6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9.82{\pm}7.25$ in the control group (p=0.028). Conclusion: The use of Lipo-PGE1 facilitated the neoangiogenesis,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the survival rate of graft.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we could support wider application of Lipo-PGE1 for more effective therapeutic angiogenesis and successful survival in various cases of composite graft in the human.

Therapeutic Benefits of Mesenchymal Stromal Cells in a Rat Model of Hemoglobin-Induced Hypertensive Intracerebral Hemorrhage

  • Ding, Rui;Lin, Chunnan;Wei, ShanShan;Zhang, Naichong;Tang, Liangang;Lin, Yumao;Chen, Zhijun;Xie, Teng;Chen, XiaoWei;Feng, Yu;Wu, LiHua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2호
    • /
    • pp.133-142
    • /
    • 2017
  •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bone marrow mesenchymal stromal cell (MSC) transplantation significantly improves the recovery of neurological function in a rat model of intracerebral hemorrhage. Potential repair mechanisms involve anti-inflammation, anti-apoptosis and angiogenesis.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f MSCs 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expression and subsequent peroxynitrite formation after hypertensive intracerebral hemorrhage (HICH). In this study, MSCs were transplanted intracerebrally into rats 6 hours after HICH. The modified neurological severity score and the modified limb placing test were used to measure behavioral outcomes. Blood-brain barrier disruption and neuronal loss were measured by zonula occludens-1 (ZO-1) and neuronal nucleus (NeuN) expression, respectively. Concomitant edema formation was evaluated by H&E staining and brain water content. The effect of MSCs treatment on neuroinflammation was analyzed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r polymerase chain reaction of CD68, Iba1, iNOS expression and subsequent peroxynitrite formation, and by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of pro-inflammatory factors (IL-$1{\beta}$ and TNF-${\alpha}$). The MSCs-treated HICH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on behavioral scores and lower brain water content compared to controls. Moreover, the MSC injection increased NeuN and ZO-1 expression measured by immunochemistry/immunofluorescence. Furthermore, MSCs reduced not only levels of CD68, Iba1 and pro-inflammatory factors, but it also inhibited iNOS expression and peroxynitrite formation in perihematomal reg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intracerebral administration of MSCs accelerates neurological function recovery in HICH rats. This may result from the ability of MSCs to suppress inflammation, at least in part, by inhibiting iNOS expression and subsequent peroxynitrite formation.

뇌허혈 마우스모델에서 양격산화탕이 뇌 손상 완화에 미치는 효과 (Yangkyuksanhwa-Tang Attenuates Ischemic Brain Injury in a Focal Photothrombosis Stroke Model)

  • 한도경;박맑은;권옥선;최병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58-1266
    • /
    • 2019
  • 양격산화탕은 9가지의 약재로 구성된 처방으로 한의학적 뇌졸중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처방 중 하나이며, 주로 사상체질이론의 소양인 뇌졸중 치료에 적용된다. 본 연구는 실험동물을 이용한 뇌졸중에 대한 양격산화탕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여, photothrombosis로 유발된 허혈성 마우스모델을 이용하여 양격산화탕의 효과를 살펴 보았다. 동물행동학적 변화와 더불어 뇌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뇌경색 용적에 대한 조직학적 검색 및 신경염증과 신생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으로 살펴 보았다. 동물행동학적 결과로 보아, 양격산화탕은 뇌허혈에 의해 손상된 운동기능, 즉 wire grip과 rotarod test에 의한 운동조정과 균형 능력 등에 대한 기능적 회복을 보였으며, 이는 조직학적 검색으로 관찰된 뇌경색 용적의 축소를 동반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결과를 보면, 양격산화탕은 tumor necrosis factor-${\alpha}$와 myeloperoxidase 면역반응세포의 수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와 반대로 양격산화탕은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와 ionized calcium-binding adapter molecule 1 면역반응세포의 수를 현저히 증가시켰다. 또한 양격산화탕은 Ki67/doublecortin 면역반응세포의 수를 현저히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양격산화탕은 항염증, astrocyte와 microglia의 활성화 및 신경세포의 증식을 통해 뇌경색 용적을 감소시키며, 이는 뇌허혈성 운동장애에 대한 완화 효과로 이어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양격산화탕은 뇌손상에 대한 신경기능적 완화효과를 보여 줌으로서 뇌졸중 환자에 대한 유효한 치료제로 사료된다.

인간 자궁내막에서 발견되는 극소형 추정줄기세포 (Very Small Putative Stem Cells Detected in Human Endometrium)

  • 최종렬;주종길;전은숙;고경래;이홍구;이규섭;김원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99-113
    • /
    • 2010
  • 목 적: 최근 다능성을 가진 극소형 줄기세포가 생쥐와 인간에서 발견된다고 보고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이 인간 자궁내막에 존재하는지, 그리고 이 세포들이 줄기세포의 고유 특성들과 줄기세포 표지자들을 발현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자궁내막조직검사로부터 채취한 여성 5명의 자궁내막세포를 2주 동안 배양하였으며, alkaline phosphatase, OCT-4, CXCR4 면역화학염색을 통해 줄기세포 표지자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후 percoll density gradient method 방법으로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을 분리하여 배양하였으며, 또한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과 그 유래의 세포들이 OCT-4와 CXCR4를 발현시키는지 확인하였다. 결 과: $3{\mu}m$ 미만의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과 5~15 ${\mu}m$의 과다염색질 원형세포들로 구성된 군집들이 모든 여성의 자궁내막세포에서 발견되었으며, alkaline phosphatase, OCT-4 및 CXCR4를 강하게 발현시켰다. Percoll을 이용하여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을 분리 배양한 결과,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은 자가재생, 배아체양 형성, 군집 형성, 분화 가소성과 같은 줄기세포의 형태학적 및 기능적인 특성들을 나타내었다.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은 세포간 응집 혹은 세포융합을 통하여 약 5~15 ${\mu}m$ 과다염색질 원형세포들과 약 10~20 ${\mu}m$ 구형세포들을 점진적으로 형성시켰다. 이후이 세포들은 섬유아세포 유사세포, 신경유사세포, 혈관내피유사세포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하였다. 또한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과 극소형 추정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세포들은 흔히 OCT-4와 CXCR4를 강하게 발현시켰다. 결 론: 3 ${\mu}m$ 미만의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과 극소형 추정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세포들이 인간 자궁내막에서 발견되며, 이 세포들은 줄기세포의 고유 특성들과 줄기세포 표지자인 alkaline phosphatase, OCT-4, CXCR4를 발현시킨다.

식도암에 있어서 Fascin의 발현과 예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Independent Prognostic Value of the Fascin Expression in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 최필조;정상석;방정희;조광조;우종수;노미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74-81
    • /
    • 2008
  • 배경: Fascin은 actin-bundling protein으로 세포막 돌출(cell membrane protrusion)을 야기하고 상피세포의 운동성(motility)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식도암은 근치적인 수술 후에도 조기에 광범위한 국소침윤이나 국소 임파절의 전이를 자주 일으키는 치명적인 암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도암에 있어서 fascin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는 거의 없는 상황에서 면역조직화학 염색 방법을 이용하여 fascin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 발현여부에 따른 임상 및 병리학적 특성과 예후인자로서의 의의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식도 편평 상피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 받은 76명의 한자의 암조직에서 fascin의 발현여부를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조사하였다. Fasc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에 대한 판독은 반정량적으로 2등급으로 나누었다. 발현양상에 따른 임상 및 병리학적 특성 및 예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76개의 암조직중 39예(51.3%)에서 Fascin의 발현이 양성이었다. Fascia의 발현은 임상병기가 진행될수록(p=0.030), T 인자가 높을수록(p=0.031) 양성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추적기간 중 재발이 있었던 군(p=0.005)과 사망을 한 군(p=0.000)에서 양성 발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각 임상병리학적 인자들의 예후인자로서 단변량 분석 결과 임파절의 전이유무, 림프판 혈관 침범(lymphovascular invasion)여부, 신경주위침범(perineural invasion)여부, 병기, fascin 발현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들로 나타났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림프관 혈관 침범(lymphovascula. invasion)여부, fascin 발현 여부가 예후인자로 유의하였다. 결론: Fascin은 식도암조직의 51.3%에서 발현되었으며 이의 양성 발현은 보다 진행된 종양 및 재발과 연관성이 있었다. Fascin의 음성발현군이 양성발현군에 비해 유의하게 예후가 좋았으며 Fascin의 발현 여부가 식도암의 예후 인자로서 유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롱박신경세포의 변성에 따른 버그만아교세포의 면역조직학적 연구 (Studies on Molecular Plasticity of Bergmann Glia following Purkinje Cell Degeneration)

  • 윤철종;조사선;이하규;박민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3호
    • /
    • pp.165-176
    • /
    • 2005
  • 소뇌의 버그만아교세포는 인접한 조롱박신경세포를 둘러싸는 특이한 해부학적 분포를 하고 있어 종래로부터 조롱박신경세포에 대한 물리적 지지 역할과 함께 이 신경 세포의 생존과 기능에 필요한 대사물질을 공급해 주는 것으로 추정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버그만아교세포와 조롱박신경세포의 상관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연구로 전자현미경적 정상적인 미세구조와 신경독물인 하르말린을 흰쥐에 투여하여 조롱박신경세포만을 특이적으로 파괴시킨 소뇌조직을 대상으로 최근 버그만아교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수 종의 대사성 단백물질의 동향을 면역조직 화학방법으로 관찰하여 GLAST의 면역 염색성은 정상부위보다 신경세포 손상부위의 버그만아교세포에서 현저히 감소되었다. 하르말린 투여군의 흰쥐에서 조롱박신경세포의 사멸은 소뇌벌레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났으며 사멸된 부위는 calbindin D-28K에 염색된 정상 조롱박신경세포들 사이에서 산발적으로 끼어 있는 빈 공간으로 나타났는데 빈공간은 분자층과 조롱박신경세포층이 세로로 달리는 좁고 긴 띠 (bands) 모양의 특이 한 양상을 보였다. MT 면역염색성은 신경세포 손상부위의 버그만아교세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관찰 결과로 볼 때 조롱박신경세포의 손상에 의하여 버그만아교세포는 강한 아교세포반응을 보이며 MT의 발현을 통하여 인접 신경세포 손상과 미세아교세포 활성에 의하여 유발된 산화성 스스로를 보호하고 생존한다. 그러나 GLAST의 발현의 감소는 조롱박신경세포의 사멸로 인하여 이들 세포들로부터 유리되어 나오는 글루타메이트의 감소 또는 중단되므로 버그만아교세포에서 이들 글루타메이트 수송체 역할이 감소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93({\pm}0.053){\mu}m$ 였다. 으뜸세포의 사립체의 크기는 정상대조군, 종양대조군 및 BCG 투여군이 각각 $0.80({\pm}0.130){\mu}m,\;0.83({\pm}0.143){\mu}m$$0.72({\pm}0.078){\mu}m$ 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BCG를 반복 투여하면 위점막으뜸세포의 분비과립이 약간 작아지는 등 분비기능이 다소 억제되나 그 정도가 경미하여 으뜸세포의 분비기능에 큰 손상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모양을 비교한 결과 꼬리핵과 줄무늬체바닥핵에서는 모두 가지돌기가시(dendritic spine)에 연접하였으나, 중격옆핵과 중격핵에서는 가지돌기 (dendrite)에 연접하는 것과 가지돌기가시에 연접하는 것이 혼재하였다. 이들 두 신경핵 무리는 이마앞겉질에서 기원하는 축삭종말의 연접차이로 볼 때 서로 다른 회로계통에 속할 것으로 생각되며, 문헌고찰을 통해서 꼬리핵과 줄무늬체바닥핵은 줄무늬체회로 (striatal circuit)에 속하고 중격옆핵과 중격핵은 변연계통회로(limbic circuit)에 속할 것으로 판정했다. 이마앞겉질은 생리적, 약리적, 신경학적 및 형태학적 근거들로 보아 바닥핵들을 통해 변연계통과 대뇌겉질 전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데, 본 실험에서는 네 종류의 바닥핵들, 즉 꼬리핵, 줄무늬체바닥핵, 중격옆핵 및 중격핵과 관련된 신경연접들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문헌 고찰한 결과 변연계통과 줄무늬체계통이 앞뇌의 바닥에 있는 신경핵들에서 형태학적 교차연결을 통해 정서와 마음의 상태를 행동과 대응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신경회로가 존재함을 제안하였다.腎臟組織)에서 더많이 발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