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unization

검색결과 697건 처리시간 0.029초

Chitosan Microspheres Containing Bordetella bronchiseptica Antigens as Novel Vaccine Against Atrophic Rhinitis in Pigs

  • Kang, Mi-Lan;Kang, Sang-Gyun;Jiang, Hu-Lin;Guo, Ding-Ding;Lee, Deog-Yong;Rayamahji, Nabin;Seo, Yeon-Soo;Cho, Chong-Su;Yoo, Han-S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179-1185
    • /
    • 2008
  • The immune-stimulating activities of Bordetella bronchiseptica antigens containing dermonecrotoxin (BBD) loaded in chitosan microspheres (CMs) have already been reported in vitro and in vivo with a mouse alveolar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and mic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successful induction of mucosal immune responses after the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BBD loaded in CMs (BBD-CMs) in colostrum-deprived pigs. The BBD was introduced to the CMs using an ionic gelation process involving tripolyphosphate (TPP). Colostrum-deprived pigs were then directly immunized through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the BBD-CMs. A challenge with a field isolate of B. bronchiseptica was performed ten days following the final immunization. The BBD-specific IgG and IgA titers, evident in the nasal wash and serum from the vaccinated pigs, increased with time (p<0.05). Following the challenge, the clinical signs of infection were about 6-fold lower in the vaccinated pigs compared with the nonvaccinated pigs. The grades for gross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turbinate bones from the vaccinated pigs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rades recorded for the nonvaccinated pigs (p<0.001). Therefore, the mucosal and systemic immune responses induced in the current study would seem to indicate that the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BBD-CMs may be an effective vaccine against atrophic rhinitis in pigs.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Immunoglobulin yolk (IgY)의 생산과 특이성 (Production and Specificity of Imunoglobulin yolk (IgY) on Vibrio parahaemolyticus)

  • 심원보;김혜정;박선자;강동훈;강진순;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1-66
    • /
    • 2003
  • 본 연구는,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면역 글로블린 Y(IgY)를 생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Vibrio parahaemolyticus는 중요한 병원성 균이며, 위장염을 유발시키는 원인 균이다. 따라서, 난황에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항원 LPS(lipopolysaccharide)를 암탉에 주사하였다. 면역은 2주 간격으로 4차까지 실시하였으며, 추가면역으로 2주 간격으로 3차까지 실시한 후 ELISA로 그 항체 역가를 측정하였다. 난황에서의 항체생성은 1차 면역 후 1주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7주에 최고 역가에 도달하였고, 이러한 역가는 13주 이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혈청에서의 항체 역가도 난황에서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정제시킨 IgY를 본 연구의 water-dilution방법과 상업용 IgY분리 kit로 그 정제 정도를 비교해본 격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Vibrio parahaemolyticus외의 다른 Vibrio 속 및 세균들과의 교차반응성 조사에서 특별한 교차반응이 없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로, 아주 적은 양의 LPS 항원으로 역가가 높은 항체의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난황은 유행성 위장염을 유발하는 병원성 균의 특이 항체 개발을 위한 좋은 공급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폐구균 다당질 백신 내 혈청형 6B에 의해 유도되는 교차 반응 혈청형 6A에 대한 기능적 면역 (Functional Immunity to Cross-Reactive Serotype 6A Induced by Serotype 6B in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 김경효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5호
    • /
    • pp.506-511
    • /
    • 2005
  • 목 적 : 폐구균 혈청형 6B와 6A는 폐구균 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이다. 6B 백신은 다당질 구조의 유사성으로 6A와 교차 면역반응을 일으키며 6B에 의해 생성된 6A에 대한 항체는 감염에서 방어 작용을 할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성인에게 폐구균 백신 접종 후 형성된 6B와 6A에 대한 항체의 옵소닌 작용 능력을 측정하여 교차 면역반응을 연구하였다. 방 법 : 건강한 성인 24명에게 혈청형 6B만 포함된 폐구균 다당질 백신을 접종하고 접종 전과 접종 한달 후 혈청에서 혈청형 6B와 6A에 대한 특이 항체의 옵소닌 작용 역가를 OPKA로 측정하였다. 결 과 : 6B에 대한 옵소닌 작용 역가는 백신 접종 전과 접종 후 모두 6A에 대한 역가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백신 혈청형인 6B에 대해서 뿐 아니라 교차 반응하는 혈청형인 6A에 대해 다당질 백신 접종 후 성인에서 옵소닌 작용 역가가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므로 백신에 포함된 6B 다당질은 6A에 대해서 교차 방어 항체를 유도하였으나 모든 경우에 해당되지는 않았다. 1명의 성인에서 접종 후에도 계속적으로 6A에 대한 옵소닌 작용 역가가 측정되지 않았다. 결 론 : 백신에 포함된 폐구균 혈청형 6B에 대한 다당질은 혈청형 6A에 대해 대부분 교차 면역 반응을 일으켜 기능적 항체 형성을 유발하지만 드문 경우 이런 교차 면역 반응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소아와 노인 등의 다른 연령 군에서도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차 방어 형성의 유무는 폐구균 백신의 임상 연구와 백신 사용 후 분리되는 폐구균의 혈청형 검사를 통한 임상 연구에서 직접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장독성대장균 F41 섬모항원에 대한 특이난황항체 생산 (Production of a Specific Yolk Antibody against Enterotoxigenic E. coli F41 Fimbrial Antigen)

  • 신순오;김정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633-642
    • /
    • 2002
  • 1. ETEC F41 균주로부터 분리한 섬모항원의 분자량은 29.5 kDa으로 나타났으며, western blot을 통하여 섬모항원임을 확인하였다. 2. 분리한 섬모항원의 농도를 50 ${\mu}g$/$m\ell$, 200 ${\mu}g$/$m\ell$, 600 ${\mu}g$/$m\ell$로 조정 후 산란계에 접종하였다. 이 후 ELISA법을 이용하여 난황의 항체역가를 측정한 결과 최고치가 320,000(antigen 50${\mu}g$/$m\ell$), 450,000(antigen 200${\mu}g$/$m\ell$), 320,000(anti- gen 600${\mu}g$/$m\ell$)으로 나타났다. 3. F41난황항체와 K88, K99, 987P 섬모항원과의 교차반응을 ELISA법을 이용하여 조사해본 결과 난황항체를 30,000배 희석 시 교차반응이 없었다. 4. 실험실조건하에서 난황항체의 항원결합능력을 조사한 결과, 동결건조한 WSF을 2${\sim}$4 mg/$m\ell$ 첨가 시 균체의 농도가 $10^9$ CFU/$m\ell$에서 $10^5$ CFU/$m\ell$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도농복합 지역 영유아 예방접종수첩 기록의 정확도 (Development of Vaccination Coverage Estimation Methods of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in Korea)

  • 이무식;김광환;김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885-888
    • /
    • 2010
  • 현재 우리나라는 보건소 중심의 예방접종등록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2004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현재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예방접종등록사업은 피접종자들은 대체적으로 예방접종에 대한 적절한 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예방접종과 관련된 정보들을 국가나 사회에서 적시에 피접종자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확인이 등록에 앞서 그 정확성을 확인 필요가 있다. 예방접종등록사업의 가장 기본적인 사업으로 진행된 것은 예방접종 수첩의 제공과 그 관리를 통한 예방접종 사업으로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왔으며, 일반 국민과 개원의사들에서도 대중적으로 보급되어 있다. 국가 예방접종률의 산출 그리고 취학 어린이 예방접종력 증명서 제출 제도를 위하여 예방접종 수첩을 활용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방접종 수첩의 예방접종력 정확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지역조사에서 접종기관으로 확인된 민간 의료기관 365곳 가운데 의료기관 이전 및 폐업으로 반송된 경우가 4건(1.1%)이었으며, 응답한 경우는 129곳으로 응답률은 35.3%였다. 조사된 의료기관 전체를 대상으로 확인된 1,201건에 대한 BCG 접종여부의 정확도는 69.5%였다. B형 간염의 정확도는 1차가 41.3%로 낮았으며, 2차와 3차는 각각 76.6%, 79.7%였다. DTaP의 정확도는 약 80%였으며, 정확도가 제일 높은 것은 DTaP 3차로 82.5%였으나 다른 것과 가장 낮은 정확도와 2% 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폴리오의 정확도는 약 80%였다. MMR의 정확도는 83.2%였다. 일본뇌염의 경우 약 80.0%였으며, 수두의 정확도는 74.9%로 다른 질병과 비교하여 낮은 수치를 보였다. 조사된 의료기관을 전체로 한 기타예방접종별 예방접종수첩의 접종여부의 정확도는 인플루엔자는 정확도는 74.1%였으며, 뇌수막염은 72.7%의 정확도를 보였다. A형 간염 1차의 정확도79.5%였으며, 폐렴구균 1차의 경우 73.2%로 나타났다. 국가필수예방접종별 예방접종수첩의 접종일자에 대한 정확도는 BCG 80.1%로 확인되었고, B형 간염 1차 89.7% 2차는 82.1% 3차는 79%로 B형 간염 중 가장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DTaP는 1차와 2차는 약 87% 3차는 85.1% 4차는 83.5%로 확인이 되었다. 폴리오는 1차가88.1%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2차가 86.2%, 3차가 84.8%로 확인되었다. MMR의 정확도는 84%였으며, 일본뇌염 1차의 정확도는 83.1%로 나타났다. 수두의 접종일자 정확도는 83.7% 이고, 인플루엔자의 정확도는 55.3%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기타예방접종별 접종일자 정확도의 조사 결과 뇌수막염 1차과 폐렴구균 1차는 약 90%로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A형 간염 1차는 88.4%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법정감염병 발생자료와 감염병관리사업 평가지표와의 관계 실증분석 (Actual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Indicators of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ivities and Communicable Disease Incidence Data)

  • 김민준;홍지영;이무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179-7186
    • /
    • 2014
  • 이 연구는 감염병 발생자료와 감염병 관리사업 평가지표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감염병 관리사업의 평가지표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04년과 2005년 2개년간의 시군구(보건소) 감염병 환자 발생 수 합계와 2005년도 감염병관리사업 평가지표 등 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보건소 유형 및 법정감염병 각 군별로 각기 상이한 지표들이 도출되었으며, 각 군로도 특이한 지표 보다는 다양한 분야의 지표들이 혼재되어 있는 양상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교육실적 등이 발생건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 발생건수는 신고건수 즉, 사업의 성과의 결과로 판단하는 것이 더욱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인 지표의 개선이 필요하거나 사업의 투입시간 및 추이를 본 후 재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각 사업별로 분리하여 특이한 평가지표를 생산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감염병관리사업의 평가지표 개발은 기초자치단체별 감염병관리사업 종합평가체계를 구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감염병관련업무 표준화를 촉진하고 관련지침을 개정에 활용될 것이며, 향후 보건사업 및 보건의료조직의 계량적인 성과 평가에 활용될 것이다. 또한 시군구 보건소에서 수행한 성공적인 감염병 관리 사업의 사례를 발굴, 제시함으로써 보다 성공적인 감염병관시업의 접근이 가능케 할 것이다.

Enterococcus faecium FC-K Derived from Kimchi Is a Probiotic Strain That Shows Anti-Allergic Activity

  • Rho, Man-Kwang;Kim, Young-Eun;Rho, Hyun-In;Kim, Tae-Rahk;Kim, Yoon-Bum;Sung, Won-Kyung;Kim, Tae-Woo;Kim, Dae-Ok;Kang, 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6호
    • /
    • pp.1071-1077
    • /
    • 2017
  • A rise in the occurrence of allergic diseases is attributed to the dysregulated balance of type 1/type 2 immunity, where type 2 T-helper (Th2) cells predominate over type 1 T-helper (Th1) cells, leading to an abnormally increased production of IgE in response to unharmful antigens.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is a rich source of beneficial lactic acid bacteri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bility of Enterococcus faecium FC-K derived from kimchi to induce type I immunity in the presence of Th2 polarizing conditions in vitro and in vivo. Stimulation of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with E. faecium FC-K induced the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terleukin (IL)-6, and IL-12. Under the in vitro Th2 conditions in which splenic T cells were activated in the presence of IL-4, E. faecium FC-K enhanced the ability of T cells to produce interferon $(IFN)-{\gamma}$. Using the ovalbumin (OVA)-induced allergy model, male BALB/c mice receiving E. faecium FC-K reduced the serum level of total IgE, but not that of OVA-specific IgE. Furthermore, the population of activated splenic B cells during OVA immunization was decreased in E. faecium FC-K-treated mice, accounting for a reduction of total IgE in the serum. Restimulating splenocytes from OVA-immunized mice with OVA ex vivo resulted in an increased production of $IFN-{\gamma}$, with no effect on IL-4, in E. faecium FC-K-treated mice. These observations provide the evidence that E. faecium FC-K can be a beneficial probiotic strain that can modulate the Th2-mediated pathologic response.

Immunization of broiler chicks deprived food and water with live Newcastle disease vaccine(LaSota strain) by drinking water

  • Kwak, Kil-Han;Seo, Suk-Yul;Park, In-Bang;Ryu, Kyeong-Seon;Song, Hee-Jo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9-382
    • /
    • 2001
  • To confirm the effect of food and water deprivation prior to Newcastle disease(ND) virus vaccination, three hundred chick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with three replications. ND vaccine were sprayed to at 1 -day old chicks at commercial hatchery. Secondary and third vaccination was conducted at 2-week old and 24-day old chicks by LaSota strain. Control was conventionally vaccinated without withdrawing the food and water before or after vaccination. In group 2(G2) and 3(G3), LaSota strain was vaccinated to chicks before and after fasting the food and water for 3 and 2 hours, respectively. Group 4(G4) has the same fasting time of group 2, but supplemented the skim milk in vaccin dilution water. In group 5(G5), skim milk was added into group 3.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were weekly measured for 5 weeks. Blood was collected from wing vein at 24 and 35 days of age. Each serum antibody level were measured by hemagglutination inhibition(HI) test. The average weight gai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of al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eight gain of each groups was 1910.30(control), 1875.28(G2), 1952.12(G4) and 1896.05(G5), respectively. Feed intake of all group was recorded at 3160.67(control), 3167.07(G2), 3189.48(G3), 3157.85(G4) and 3178.16(G5), respectively. The feed conversion of each groups was 1.655(control), 1.688(G2), 1.633(G3), 1.699(G4) and 1.676(G5), respectively. The HI titer of G4 was $ 5.50{\Pm}$1.40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p<0.05)(control : $4.36{\Pm}$1.87 , G2 : $5.18{\Pm}$2.14, G3 : $4.51{\Pm}$2.19, G : $5.28{\Pm}$1.58 at 35 days ol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two or three hours of fasting time before or after vaccination would be able to show the higher antibody level against ND virus.

  • PDF

우기종저(牛氣腫疽)에 대한 예방약(豫防藥)과 항혈청(抗血淸)의 검정(檢定)을 위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Biological Assay of Black leg Vaccine and Antiserum)

  • 김동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5-146
    • /
    • 1968
  • Throughout the studies the following experimental results were summarized. 1. It was impossible to infect and kill the mice, weighing 10 to 12 gm, by inoculating 0.2ml of virulent Cl. chauvoei, diluted 1 to 10 with physiological saline, via subcutaneous, intramuscular, intraperitoneal or intraveonus, route. 2. The mice which were inoculated in brain with 0.03ml of Cl. chauvoei diluted 1 : 5120 with physiological saline were resulted in all death after infection, but not in case of attenuated strain even in dilution of one to five. 3. Virulent Cl. chauvoei were diluted with each of those of whole blood, erythrocytes and serum of horse, calf, swine, sheep, rabbit, guinea pig, chicken and duck, human plasma and 2% CaCl solution, and inoculated subcutaneously 0.25 to 0.5ml in mice, weighing 12 to 15gm. It was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 in virulence as comparing with the case of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except when horse and pig sera were used. Such a phenomena were not seen in attenuated strain. 4. Virulence of virulent Cl. Chauvoei could be increased significantly in rat, as the procedures used in mice, by suspending in whole blood, erythrocytes, serum, or plasma of various animals, or 2% $CaCl_2$ solution and by inoculating subcutaneously 0.5 to 10ml in rat, weighing 30 to 60 gm, a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which used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os diluent. 5. Mice resisted 100 and 80 percent against challenge of $10^3$ and $10^4$ M.L.D.. respectively, 24 hours after inoculation of 0.5ml black leg antiserum. 6. Immune response to the black leg living vaccine in mice could be obtained more favorably in the group of respected vaccination rather than those of single inoculation and the most profitable inoculm size of the vacine was 0.5 to 1.0ml. 7. Challenge for the immunized mice could be carried out effectively 3 weeks after first vaccination. 8. Satisfactory results could be obtained by inoculating subcutaneously for the immunization and intracerebrally or subcutaneously for the challenge. 9. Mice which were inoculated with 0.5ml of black leg living vaccine via subtaneucously two times at seven days interval and 21 days after first inoculation and challenged with 5 and 10 M.L.D. of virulent strain, resited 100 and 70 to 80 percent respectively. Same results were obtainable in black leg killed vaccine as the procedures used in living vaccine. 10.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resistances against the definite challenge does between the mice groups which were immnuized with the living vaccine diluted five or 10 times and the undiluted. 11. For the biological assay of black leg living vaccine and antiserum, satisfactory results could be obtained using mice.

  • PDF

황기약침이 Collagen으로 유발된 생쥐의 Arthriti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stragali Radix Herbal-acupuncture at $ST_{36}$ (Jok-samni)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Mice)

  • 최봉균;조명래;김재홍;류충열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25-55
    • /
    • 2008
  • Objectives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 of Astragali Radix Herbal-Acupuncture Solution(AR-HAS) at $ST_{36}$(jok-samni, $Z\acute{u}s\bar{a}n$ Li) on collagen- II -induced arthritis(CIA) in mice. Methods : DBA/1J mice were immunized with bovine type II collagen(CII) on days 0 and 21 to induce arthritis. The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 normal group(no CIA), control group(CIA+no treatment), needle prick group(CIA+single prick with an injection needle), saline group(CIA+saline injection) and ARHA group(CIA+ R-HA treatment). The needle prick, saline injection, and AR-HA groups were injected on the right $ST_{36}$(jok-samni) of mice for 9 weeks, 3 times a week, beginning 4 weeks after the booster immunization. Results : 1. The incidence of arthritis, AI(arthritis index), and joint edema decreased in the AR-HA group. 2. Weight gain, hypertrophy of the spleen, adhesion of the tissues, and transformation of the joint were restrained in the AR-HA group. 3. The concentrations of $IL-1{\beta}$, IL-6, $TNF-{\alpha}$, $IFN-{\gamma}$ in CIA mouse serum and $IFN-{\gamma}$, IL-10 in the CIA mouse spleen cell culture decreased significantly at $ST_{36}$ in the AR-HA group. 4. Total cell count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ratio of $CD3e^+$ to $CD45R^+$, $CD4^+$ to $CD8^+$, and $CD4^+$ to $CD25^+$ cells decreased significantly at $ST_{36}$ in the CIA mouse spleen cell culture of the AR-HA group. 5. Total cell count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CD4^+/CD25^+$ and $CD45R^+/CD69^+$ decreased significantly at $ST_{36}$ in the CIA mouse lymph nodes of the AR-HA group. 6. $CD3e^+/CD69^+$ and $CD11b^+/Gr-1^+$ cells decreased significantly at $ST_{36}$ in the CIA mouse joints of the AR-HA group. 7.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at cartilage destruction and synoviocyte proliferation decreased in the CIA mouse joints of the AR-HA group, and collagen fiber was expressed similar to that seen in the normal group. Conclusions : Our experiments show that at $ST_{36}$, an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AR-HA controls synovial cell proliferation and protects against cartilage destruction in rheumatoid arthrit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