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ersive Media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38초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version of Three-dimensional Puzzles into Immersive Media based on Play Theory for Children's Experience

  • Tae-Eun Le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1권2호
    • /
    • pp.145-151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 properties in the case of media convers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analog three-dimensional puzzles and immersive media in children's experience. Based on Roger Caillois' play theory and the contents of previous research, an experience was conducted on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d paired t-test analysis showed that the play properties were higher and more evenly distributed in the media conversion immersive experience. This implies that an increase in children's fun during the immersive experience further increases their immersion, suggesting that the use of immersive media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who achieve holistic development through play and experienc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recognize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through conversion into immersive media and will be referenced in various media studies that consider double-play properties.

MPEG-I Immersive Audio 표준화 및 기술 동향 (Standardization of MPEG-I Immersive Audio and Related Technologies)

  • 장대영;강경옥;이용주;유재현;이태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7권3호
    • /
    • pp.52-63
    • /
    • 2022
  • Immersive media, also known as spatial media, has become essential with the decrease in face-to-face activities in the COVID-19 pandemic era. Teleconference, metaverse, and digital twin have been developed with high expectations as immersive media services, and the demand for hyper-realistic media is increas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MPEG-I Immersive Media is being standardized as a technologies of navigable virtual reality, which is expected to be launched in the first half of 2024, and the Audio Group is working to standardize the immersive audio technology. Following this trend, this article introduces the trend in MPEG-I immersive audio standardization. Further, it describes the features of the immersive audio rendering technology, focusing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RM0 base technology, which was chosen after evaluating all the technologies proposed in the January 2022 "MPEG Audio Meeting."

실감미디어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for the Immersive Media Industry)

  • 이경재;정우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7B호
    • /
    • pp.795-805
    • /
    • 2011
  • 디지털 정보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방송을 중심으로 실감미디어를 활용한 실감형 서비스들이 출현하고 시장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실감미디어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실감콘텐츠의 제작 전송 기술 및 이를 서비스하는 산업을 통칭하여 실감미디어 산업이라고 한다. 실감미디어 산업은 교육, 건강, 여행, 공공 서비스 등 타 산업분야와 융복합을 통해 사업영역 확대가 용이하고 시장성이 높아 차세대 전략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감미디어 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의 노력이 가시화됨에 따라 우리 정부도 실감미디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계획을 마련 중에 있다. 이처럼 실감미디어 산업은 미래 방송/통신산업과 콘텐츠산업을 아우르는 최첨단 융복합산업이며 차세대 국가성장동력의 핵심산업군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감미디어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계량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산업구조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실감미디어 연관산업과 타 연계산업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실감미디어 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및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는 각각 6,109억 원, 4,687억 원, 3,258명 등으로 나타났다.

MPEG-I Immersive Audio 표준화 동향 (MPEG-I Immersive Audio Standardization Trend)

  • 강경옥;이미숙;이용주;유재현;장대영;이태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23-733
    • /
    • 2020
  • 본 고에서는 현재 탐색단계의 표준화가 진행 중인 MPEG-I Immersive Audio 표준화 동향을 소개한다. 이 표준은 5G/6G와 같은 초연결 환경에서 킬러 어플리케이션으로 기대되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및 증강현실(Augmemted Reality; AR)에서, 이용자가 가상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6 자유도(Degrees of freedom; DoF)로 소리를 실감나게 느끼고 실제 환경에서 경험하는 것과 같은 공간음향 체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MPEG Audio Working Group에서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에서 공간음향 체험을 위한 시스템 구조 및 요구사항을 정의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요구사항에 대한 제안 기술 선정을 위한 오디오 평가 플랫폼(Audio evaluation platform; AEP), 인코더 입력 포맷(Encoder input format; EIF) 및 평가 절차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본 고에서는 그 주요 내용을 요약 기술한다.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 공간 정보 제공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System for Indoor Area by using the Immersive Media's Video Information)

  • 이상윤;안희학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57-166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the interior space information using 6D-360 degree immersive media video information. And we implement the augmented reality, which includes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position informatio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location in the interior space GPS signal does not reach the position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containing the 6D-360 degree immersive media video information provides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three dimensional space image information to identify the exact location of a user in an interior space of a moving object as well as a fixed interior space. This paper constitutes a three dimensional image database based on the 6D-360 degree immersive media video information and provides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refore, to map the various information to 6D-360 degree immersive media video information, the user can check the plant in the same environment as the actual. It suggests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the emergency escape and repair to the passengers and employees.

다중 인물 포함 단일 영상으로부터의 파라미터 기반 3차원 휴먼 모델 생성 기법 성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parameter-based 3D human model generation techniques from a single image including multiple people)

  • 엄기문;김정환;김원준;이희경;양승준;서정일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7-16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인물 포함 단일 영상으로부터 파라미터 기반 3차원 휴먼 모델 생성 기법 중 최근 발표된 SOTA 기법 4가지에 대해 대표적인 데이터 셋들에 대해 사전 학습 모델을 사용한 복원 성능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CLIFF 기법과 PyMAF-x 기법이 PARE 기법이나 ROMP 기법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몰입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mersive Display)

  • 정태섭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558-56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Immersive Media의 종류와 디스플레이에 관하여 논하였다. 디스플레이의 발전은 화면 해상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해상도의 차이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 선명도의 발전을 이루면서 더욱 더 몰입을 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좋은 해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디스플레이의 발전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따른 크기와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른 투영방법에 관하여 조사를 하였으며, 이에 따른 Immersive Media제작방법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관하여 논 하고자 한다.

  • PDF

실감형 360도 미디어의 RGB 벡터 및 객체 특징정보를 이용한 대표 프레임 선정 방법 (A Reference Frame Selection Method Using RGB Vector and Object Feature Information of Immersive 360° Media)

  • 박병찬;유인재;이재청;장세영;김석윤;김영모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050-1057
    • /
    • 2020
  • 실감형 360도 미디어는 기존 영상보다 고품질, 초대용량으로 영상의 크기가 크며, 다양한 렌더링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방식으로 이미지 처리할 경우 영상인식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감형 360도 미디어의 특성상 특정 장소에서 카메라를 고정시켜 한 장면만 촬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모든 영상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할 필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실감형 360 미디어의 프레임 추출과정, 프레임 다운사이징, 구형 형태의 렌더링 과정을 거치고, 렌더링 과정에서 영상을 16개 프레임으로 분할 캡처하여 캡처된 프레임에서 객체 정보가 많은 중앙 부분에서 픽셀당 RGB 벡터와 딥 러닝을 이용하여 객체를 추출한 뒤, 객체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대표 프레임을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View synthesis with sparse light field for 6DoF immersive video

  • Kwak, Sangwoon;Yun, Joungil;Jeong, Jun-Young;Kim, Youngwook;Ihm, Insung;Cheong, Won-Sik;Seo, Jeongil
    • ETRI Journal
    • /
    • 제44권1호
    • /
    • pp.24-37
    • /
    • 2022
  • Virtual view synthesis, which generates novel views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ly acquired images, is an essential technical component for delivering an immersive video with realistic binocular disparity and smooth motion parallax. This is typically achieved in sequence by warping the given images to the designated viewing position, blending warped images, and filling the remaining holes. When considering 6DoF use cases with huge motion, the warping method in patch unit is more preferable than other conventional methods running in pixel unit. Regarding the prior case, the quality of synthesized image is highly relevant to the means of blending. Based on such aspect, we proposed a novel blending architecture that exploits the similarity of the directions of rays and the distribution of depth values. By further employing the proposed method, results showed that more enhanced view was synthesized compared with the well-designed synthesizers used within moving picture expert group (MPEG-I). Moreover, we explained the GPU-based implementation synthesizing and rendering views in the level of real time by considering the applicability for immersive video service.

Enhanced pruning algorithm for improving visual quality in MPEG immersive video

  • Shin, Hong-Chang;Jeong, Jun-Young;Lee, Gwangsoon;Kakli, Muhammad Umer;Yun, Junyoung;Seo, Jeongil
    • ETRI Journal
    • /
    • 제44권1호
    • /
    • pp.73-84
    • /
    • 2022
  • The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immersive video (MIV)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developed and standardized to efficiently deliver immersive video to viewers in order for them to experience immersion and realism in various realistic and virtual environments. Such services are provided by MIV technology, which uses multiview videos as input. The pruning process, which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MIV technology, reduces interview redundancy in multiviews videos. The primary aim of the pruning process is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that available video codec must handle. In this study, two approaches are presented to improve the existing pruning algorithm. The first method determines the order in which images are pruned. The amount of overlapping region between the source views is then used to determine the pruning order. The second method considers global region-wise color similarity to minimize matching ambiguity when determining the pruning area. The proposed methods are evaluated under common test condition of MIV, and the results show that incorporating the proposed methods can improve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