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ature reticulocyte fraction(IRF)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골수이식 후 미성숙 망상적혈구의 유용성 평가 (Clinical Significance of Immature Reticulocyte as an Early Recovery Indicator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 서숙원;김천희;지현숙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7-32
    • /
    • 2004
  • Bone marrow transplantation(BMT) is widely used as curative means of various malignant and nonmalignant hematologic disorders, and early and accurate determination of engraftment is very important for critical management decisions. Reticulocyte counts performed by automated flow cytometric methods is a good indicator of erythropoietic activity and its evaluation has been proposed as an early predictor of bone marrow regeneration. Some reports highlighted the usefulness of the percentage of highly fluorescent reticulocytes and the sum of highly and medium fluorescent reticulocytes(immature reticulocyte fraction, IRF). In Asan Medical Center, the criteria for engraftment following BMT or PBSCT was defined as the first day of a 3-day trend of absolute neutrophil count(ANC)${\geq}500/uL$ and platelet count${\geq}30{\times}10^3/uL$. In 1999, Grotto et al proposed an indidator of bone marrow recovery as the first day on which the IRF was twice the minimum value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To compare the both criterias, we got consecutive datas of immature reticulocyte fraction, absolute neutrophil count(ANC), WBC count, platelet count and reticulocyte count by XE-2100 automated hematology analyzer(Sysmex Co. Japan) from 33 patients daily after BMT. When compared to standard neutrophil engraftment(10-30 days, $16.2{\pm}4.6days$), IRF engraftment (5-21 days, $11.0{\pm}3.9days$) occured significantly earlier in 87.9% of patients(P<0.05). The mean engraftment day for WBC count(11-29 days, $16.4{\pm}4.3days$) was similar to ANC, but platelet count and reticulocyte count revealed more delayed data (10-49 days, $19.1{\pm}7.4days$ vs 17-64 days, $31.4{\pm}14.1days$). In conclusion, our results confirm that an increase in the immature reticulocyte population is the earliest sign of the hematopoietic recovery after BMT and that automated reticulocyte quantification including immature fraction may be integrated into clinical protocols to evaluate bone marrow reconstitution.

  • PDF

망상적혈구 지수 및 미성숙망상적혈구 분획의 소아 빈혈에서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Immature Reticulocyte Fraction and Reticulocyte Cellular Indices in Pediatric Anemia Patients)

  • 서영;정혜림;심재원;김덕수;심정연;박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3호
    • /
    • pp.284-291
    • /
    • 2005
  • 목 적 : 최근에 개발된 자동화혈구계산기를 이용하여 신속 간편하고 정확하게 IRF과 다양한 RCI 측정이 가능해졌다. 저자들은 정상 소아의 연령군별 RCI와 IRF의 정상치를 구하고, 소아빈혈 중 가장 흔한 원인질환인 철결핍성빈혈과 급성감염성빈혈을 포함한 소아빈혈군에서 RCI와 IRF치를 조사하여 소아빈혈의 조기진단과 철결핍성빈혈과 급성감염성빈혈의 감별진단에 유용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소아빈혈환자군 61명(급성감염성빈혈 34명, 철결핍성 빈혈 28명)과 정상대조군 57명을 대상으로 자동화혈구계산기 ADVIA 120을 이용하여 IRF과 CHr, MCVr, CHCMr, RDWr, HDWr 및 CHDWr를 포함한 RCI를 측정 후 대조군과 빈혈군 및 철결핍성빈혈군과 급성감염성빈혈군간의 평균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정상대조군의 각 연령군별 IRF 평균치는 신생아군에서 가장 높았다. 정상대조군의 각 연령군별 RCI의 평균값을 비교해보면 신생아군에서 CHr, MCVr 및 HDWr이 다른 연령군에 비해 높았으나 CHCMr과 RDWr은 연령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빈혈군의 IRF는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의미 있게 높았고, CHr과 CHCMr은 빈혈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MCVr은 빈혈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철결핍성빈혈군의 IRF는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의미 있게 높았고, RCI 중 CHr과 CHCMr은 철결핍성빈혈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낮게 측정되었으며, RDWr은 철결핍성빈혈군에서 높았고, MCVr과 HDWr은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급성감염성빈혈군과 대조군의 IRF와 RCI를 비교해 보면 IRF는 급성감염성빈혈군에서 의미 있게 높았고, RCI 중 CHDWr만 차이를 보였으며, CHr, MCVr, CHCMr, RDWr 및 HDWr은 두 군간에 의의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철결핍성빈혈군과 급성감염성빈혈군 간에 평균연령, 혈색소치 및 망상적혈구수는 차이가 없었다. IRF은 철결핍성빈혈군에 비하여 급성감염성빈혈군에서 의의 있게 높았고, RCI 중 CHr과 CHCMr은 급성감염성빈혈군에 비하여 철결핍성빈혈군에서 의의 있게 낮았으나, MCVr, RDWr 및 HDWr은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빈혈의 감별진단에 IRF와 RCI가 매우 유용하리라 생각되며 특히 IRF는 급성감염에 의한 빈혈군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급성염증에 의한 골수반응이 있음을 생각할 수 있고, 또한 RCI 중 CHr은 빈혈의 감별진단에 아주 유용하고 특히 철결핍성빈혈군의 초기 진단에 유용하나 이에 대해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