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idazole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3초

Analysis of Residual Triflumizole, an Imidazole Fungicide, in Apples, Pears and Cucumber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Khay, Sathya;EI-Aty, A.M. Abd;Choi, Jeong-Heui;Shim, Jae-Ha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87-91
    • /
    • 2008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level of triflumizole residues in fruits (apple and pear) and vegetable (cucumber) samples in order to assess risk posed by the presence of such residues to the consumer. Triflumizole was applied at a recommended dose rate to apple and pear pulps and to a cucumber sample.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harvesting time following several treatments (three and/or four treatments). Triflumizole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re-extracted into dichloromethane. The presence of triflumizole was determined by HPLC with UV detection at 238 nm following the cleanup of the extract by open preparative chromatographic column with Florisil. The versatility of this method was evidenced by its excellent linearity (> 0.999) in the concentration range between 0.2 and 4.0 mg/kg. The mean recoveries evaluated from the untreated samples spiked at two different fortification levels. 0.1 and 0.4 mg/kg, and ranged from 87.5${\pm}$0.0 to 93.3${\pm}$2.6 for the tested fruits and vegetable, respectively, and the repeatability (as relative standard deviation) from three repetitive determinations of recoveries were no larger than 6%. The calculated limit of detection was 0.02 mg/kg and the minimum detectable level of 4 ng for triflumizole was easily detected. When triflumizole was sprayed onto the apple trees three times at 50-40-30 and 40-30-21 days prior to harvesting and four times onto the pear trees at 40-30-21-14 days prior to harvesting, the mean residual amounts of 0.05 and 0.06 mg/kg for apples and pears, respectively, were not detected in all of the treatments. When the cucumber sample was fumigated four times at 7, 5, 3 and 1 day prior to harvesting, the mean residual amount was not detectable. Triflumizole can be used safely when sprayed (wettable powder, 30% active ingredient) and fumigated (10%) 4 times at 14 and 1 day prior to harvesting to protect the fruits and vegetable, respectively.

Cyclic AMP대사가 Toxoplasma gondii의 체외 배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yclic AMP on the growth of Toxoplasma gondii in vitro)

  • 최원영;남호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2호
    • /
    • pp.71-78
    • /
    • 1990
  • 세포내 cAMP의 농도 변화가 Toxoplasma의 성장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끽접 cAMP와 cAMP의 analogue를 첨가하거나 간접적으로 세포내 cAMP의 합성이나 분해를 담당한 효소들의 활성을 변화시 킴으로써 CAMP의 농도를 조절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HL-60세포를 숙주 세포로 사용하여 동수의 Toxoplasma를 첨가하여 배양하였으며, 처리 효과는 배양 세포계에서 Toxoplnsma에만 특이하게 표지되는 $^3H-uracil$과 Toxoplasma및 HL-60세포에 공통으로 표지되는 $^3H-thymidine$을 각각 매 12시간마다 2시간씩 배양하여 그 표지량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직접 cAMP와 cAMP의 analogue인 dbcAMP 및 br-cAMP를 첨가하였을 때, 각각 특이한 농도에서, 즉 1 mM, 0.5~5mM 및 0.1mM에서 Toxoplasma의 성장 및 증식을 향상시켰다. 이때, 성장 및 증식을 유도하는 시기 및 그 증가도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세포내 cAMP의 농도를 증가시키도록 cAMP의 합성 및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황성을 변화 시켰을 때에도 같은 양상으로 나타났다. cAMP의 합성 효소인 adenylate cyclase의 활성제인 pNHppG, cAMP의 분해 효소인 cAMP phosphodiesterase의 활성제인 A23187과 imidazole 및 억제제인 IBMX, compound 48/80 및 theophylline을 각각 처리하였는데, 세포내 cAMP의 농도가 증가되었을 대에는 Toxoplasmn의 성장 및 증식 을 향상시켰으나, cAMP의 농도를 감소시켰을 때에는 억제하였다. 이 때 배양계에 독성을 일으키는 농도 이하에서 농도 의존성의 경향을 보였으며, 유도 시기 및 그 증가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세포 내에서 향상된 수준의 cAMP가 어떤 기전을 활성화시키며, 그 결과 세포질에서의 Toxcplasma의 성장 및 증식을 자극하게 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 PDF

Imidazole계 살균제 Trifumin에 의한 조수거3면충의 견사질 (Qualities of cocoon and Cocoon filament of the Precocious Trimolting Silkworm, Bombyx mori, induced by Trifumin)

  • 문재유;홍성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4-129
    • /
    • 1994
  • 우리 나라에서 시판되는 Imidazole계 살균제 Trifumin 이용에 의한 세염도고치의 생산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서, Trifumin을 3령, 4령 누에에 투여하여 유발된 조숙 3령잠의 견사질, 사료효율 및 Trifumin 투여에 의한 견층 fibroin 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Trifumin 투여에 의한 조숙 3면잠 고치는 견형이 작아지고 견중 및 견층중이 감소하였는데, 그 정도는 Trifumin 투여시기에 따라 달라지고 3령초기보다도 4령초기 투여가 현저하였다. 견층중에 있어서 3령초기 투여에 의한 3면잠 고치는 대조의 4면잠 고치(100)에 대해 60%, 4령초기에 의한 3면잠 고치는 26%였다. 2. 식하건물 1g당 견층 생산량은 대조의 4면잠(100)에 대해 4령초기 투여에 대한 조숙 3면잠에 있어서는 94%, 4령초기 투여에 의한 조숙 3면잠에 있어서는 85%였다. 3. 조사성적은 대조의 4면잠 고치(100)에 대해 3령초기 투여에 의한 조숙 3면잠 고치에 있어서는 견사장 100%, 견사량 60%, 견사섬도 60%, 해서율 97%, 생사량비율 90%였다. 또한 4령초기 투여에 의한 조숙 3면잠 고치에 있어서는 견사장 74%, 견사량 26%, 견사섬도 36%, 해서도 110%, 생사량비율 59%였다. 4. 견층fibroin 성분에 있어서는 Trifumin 처리에 의한 조숙 3면잠 고치와 대조의 4면잠 고치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오메프라졸의 안정화를 위한 에칠렌디아민 복합체 개발 (Ethylenediamine Complex for Stabilization of Omeprazole)

  • 오세종;김은영;김길수;김윤정;이계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5권1호
    • /
    • pp.9-17
    • /
    • 1995
  • To stabilize omeprazole(OMP), ethylenediamine(ED) complex of omeprazole(OMPED) was prepared by reaction between OMP and ED in methanol, and the complex formation was confirmed by the instrumental analysis, i.e., IR, DSC, EA, NMR, MS and XRD. The rates of decomposition of OMP and OMPED in aqueous solution and the shelf lives at standard temperature were measured by accelerated stability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le ratio of OMP and ED in OMPED complex is 1:1, the energy of formation within OMPED might be combined between polar imidazole group of OMP with induced a dipole amine group in the readily polarizable ED molecule. At standard temperature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 of OMP in aqueous solution is $2.540{\times}10^{-2}\;hr^{-1}$ and the shelf life is 4.15 hrs, and in the case of OMPED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 is $7.986{\times}10^{-4}\;hr^{-1}$ and the shelf life is 131.96 hrs. So, the OMPED has about 31 times longer shelf life than OMP. The activation energy of OMP and OMPED are 5.23 and 18.55 kcal $mole^{-1}$ respectively. The stability of OMP is dependent chiefly on pH in the solutions and it decomposes readily in acidic medium by hydrogen ion catalized reaction but becomes stable beyond pH 9.0. In case of the ED-complex, OMPED is stable in neutral as well as in dilute acidic solutions even in pH 6, OMPED is very stable to light(UV), that is, the rate constant and shelf life of OMP are $k=1.0188{\times}10^{-2}\;day^{-1}$, $T_{90%}=4.5 \;days$, on the other hand, the those of OMPED are $k=7.138{\times}10^{-4}\;day^{-1}$, $T_{90%}=64.1\;days$,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thought that new dosage forms could be developed by using the OMPED as a potential OMP complex.

  • PDF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를 이용한 코자 정(로자탄칼륨 50 mg)에 대한 로사타 정의 생물학적동등성 (Bioequivalence of Losata Tablet to Cozaar Tablet (Losartan Potassium 50 mg) using HPLC with Fluorescence Detector)

  • 강현아;김세미;유동진;강승래;이상노;김용희;이용복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0권1호
    • /
    • pp.51-57
    • /
    • 2010
  • Losartan potassium, 2-butyl-4-chloro-1-[p-(o-1H-tetrazol-5-ylphenyl)benzyl]imidazole-5-methanol mono-potassium salt, is a new class of antihypertensive agents, and is an antagonist in angiotensin recept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two Losartan potassium tablets, Cozaar tablet (MSD Pharmaceutical Co., Ltd.) and Losata tablet (Kyung Dong Pharmaceutical Co., Lt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The release of losartan from the two losartan potassium formulations in vitro was tested using KP VIII Apparatus II method with various dissolution media. Twenty eight healthy male subjects, $23.86{\pm}1.80$ years in age and $67.27{\pm}6.60\;kg$ in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 randomized $2{\times}2$ cross-over study was employed. After a single tablet containing 50 mg as losartan potassium was orally administered, blood samples were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centrations of losartan in serum were determined using HPLC with fluorescence detector. The dissolution profiles of two formulations were similar in all tested dissolution media.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AUC_t$, $C_{max}$ and $T_{max}$ were calculated, and Equiv Test/K-BE Test 2002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arameter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 $C_{max}$ and untransformed $T_{ma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formulations based on the reference drug, Cozaar, were -2.70%, 1.45% and 2.31% for $AUC_t$, $C_{max}$ and $T_{max}$, respectively. There were no sequence effects between two formulations in these parameters. The 90% confidence interval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data were within the acceptance range of log 0.8 to log 1.25 (e.g., log 0.8852~log 1.0655 and log 0.8319~log 1.2342 for $AUC_t$ and $C_{max}$, respectively). Thus, the criteria of the KFDA bioequivalence guideline were satisfied, indicating Losata tablet was bioequivalent to Cozaar tablet.

Penicillium sp. CB-20이 생성하는 Polygalacturonase의 특성 및 작용양상 (Characteristics and Action Pattern of Polygalacturonase from Penicillium sp.CB-20)

  • 조영제;안봉전;임성일;이우제;최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80-586
    • /
    • 1989
  • Penicillium sp. CB-20 이 생성하는 polygalacturonase의 최대 효소활성을 위한 pH는 5.0, 최적온도는 4$0^{\circ}C$였으며, 이 효소는 약산성의 pH에서 안정성을 보였고, 온도에 의한 안정성은 3$0^{\circ}C$였으며 4$0^{\circ}C$이상에서는 급격한 효소단백질의 불활성화가 진행되었다. 금속이온 중 $Mg^{++}$, $Zn^{++}$, $Ba^{++}$ 등이 활성을 촉진시켰고, Ag$^{+}$, Cu$^{++}$, Pb$^{++}$, Fe$^{+++}$, $Ca^{++}$, $Na^{++}$, Mnc 등은 효소활성을 저해하였으며, 본 균주가 생성하는 호소의 $K_m$값과 V$_{max}$값, 활성화에너지는 2.13$\times$$10^{-2}$mol/$\ell$, 104.17 $\mu$mol/min, 2,499 Kcal/mol 이었으며, pectin보다 polygalacturonic acid를 특이 적으로 분해하였다. 효소저해제 중 EDTA, DNP, $H_2O$$_2$ 등에 의해 효소활성이 제해되어 효소분자 중의 금속이 활성에 관여하며, 말단 아미노기와 histidine의 imidazole기가 효소활성에 관여함이 입증되었던 반면에 효소분자 중 SH기는 활성에 관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 효소의 기질분해 양상을 종이 크로마토그라피로 확인한 결과 반응초기에는 monomer, dimer oligomer 등이 생성되었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oligomer는 사라지고 monomer dimer 만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endo 형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효소의 과즙청징도 측정에서는 약 8 unit 에서 거의 청징화되었다.

  • PDF

형질전환 초파리에서 Heterocyclic Amines와 Aflatoxin $B_1$에 의한 체세포 돌연변이 유발의 고감수성에 관한 연구 (Hypersensitivity of Somatic Mutations and Mitotic Recombinations Induced by Heterocyclic amines and Aflatoxin $B_1$ in Transgenic Drosophila)

  • 최영현;유미애;이원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5-320
    • /
    • 1996
  • Drosophila의 actin 5C 유전자 promoter에 쥐의 DNA polymerase $\beta$cDNA를 도입시킨 형질전환 초파리가 고감수성 환경성 변이원 검출계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체세포 염색체 재조환과 체세포 염색체 돌연변이의 검출을 위해서는 geterozygous(mwh/+) 계통을 사용하였다. 염색체상의 결실이나 비분리 등에 의한 small mwh spot의 자연 발생적 빈도는 non-transgenic w 계통과 transgenic p[pol $\beta$]-130 계통에서 각각 0.351 및 0.606 정도였다. 체세포 염색체 재조환에 의한 large mwh spot의 자연 발생적 빈도의 경우는 transgenic p[pol $\beta$]-130 계통(0.063)이 non-transgenic w 계통(0.021)에 비해 약 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IQ, Glu-P-1 및 {TEX}$AFB_{1}${/TEX} 등의 돌연변이원의 처리에 의한 경우, 두 종류의 mutant clone의 발생 빈도는 쥐의 DNA polymerase $\beta$가 도입된 transgenic p[pol $\beta$]-130 계통이 non-transgenic w 계통에 비하여 모두 약 2-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쥐의 DNA polymerase $\beta$가 최소한 체세포 염색체 돌연변이 유발이나 체세포 염색체 재조환의 생성 과정에 관여함을 의미하며, 형질전환 초파리 계통이 환경성 변이원 검출계로서 충분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고려인삼 추출물이 노화관련효소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F GINSENG EXTRACT ON AGE-RELATED ENZYMES)

  • 조영동;구본숙;이송재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37-43
    • /
    • 1984
  • 노화는 모든 다세포 유기물의 특징이다. 노화가 됨에 따라서 효소활성 및 면역반응의 감소와 과산화지질과 지방갈색물질의 축적, 효소와 염색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구조의 변화, 호르몬계의 불균형 등이 일어난다. 그렇지만, 노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관하여는 현재까지 확실하지 않다. 본 연구진은 노화와 관련된 효소들에 관하여 연구를 하여 왔으며, 노화가 진행되는 동안의 효소의 활성을 유지시켜주거나, 또는 효소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지연시켜 주는 물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그 가운데 하나로서, 고려인삼 추출물을 흰쥐에 기간별로 투여하여 효소활성의 차이, 열에 대한 안정성, 기질에 대한 친화력, 전기 영동 상의 이동성과 면역적인 반응을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6-phosphog-luconate dehydrogenase, glutathione redutease, glutathion peroxidase와 같은 노화와 관련된 효소들의 활성을 고려인삼 추출물을 1개월간 흰쥐에 ($60{\~}80$g)투여하여 대조군과 비교 조사하였으나, 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고려인삼 추출물을 15개월간 투여하였을 때에는 이러한 노화관련 효소들의 활성이 급격히 증가함이 ($70{\~}200\%$) 관찰되었다. 예견된 바와 같이, 효소의 열에 대한 안정성과 기질에 대한 친화력도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의 경우에서 전기영동상의 차이 및 면역적인 반응은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고려인삼 추출물이 노화와 관련된 효소들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지연시켜줄 수 있으며, 노화를 어느정도 지연시켜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포함한 실험자료를 국제 인삼심포지움에서 발표할 것이다.$-tocopherol의 항 산화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촉진 시킬 것으로 생각된다.-L(독성 호르몬-L)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서 암환자의 체중 감소를 방지하고, 식욕감퇴를 개선할것으로 생각된다.해되었으며, $Rb_{1}$은 장내의 효소와 tetracycline-resistantant bacteria에 의해 Rd와 2 종류의 미확인 물질로 분해되었다.xA_{2}$ synthetase 억제제인 imidazole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4. G-Re는 $1{\times}10^{-5}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효과가 없으나 $1{\times}10^{-4}g/ml$ 이상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 $PGE_{2},\;PGF_{2}{\alpha},\;TXB_{2}$의 생성억제와 함께 6-keto-$PGF_{1}{\alpha}$ 증가를 보였다. 이는 prostacyclin synthetase를 자극하는 serotonin의 효과와 같은 작용으로서 prostacyclin synthetase 억제제인 tranylcypromine에 대하여 길항효과를 보였다. 5. $TxB_{2}$생성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ginsenoside들의 효과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인삼 saponin 성분을 전처치한 patelet rich plasma에서 혈소판 응집시험 결과, ADP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반응에는 모든 인삼 saponin 성분들이 효과가 없었으나 arachidonic acid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반응에는 $G-Rb_{2}$, G-Rc, G-Re의 순으로 농도 의존적인 억제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인삼 saponin 성분들은 arachidonic a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 PDF

세개의 오스뮴 고분자를 이용한 요산의 전기화학적 측정방법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Uric Acid using Three Osmium Hydrogels)

  • 전원용;최영봉
    • 전기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38
    • /
    • 2016
  • 전기화학적 방법을 통한 요산 (Uric acid) 정량분석을 위해 수용성 고분자 (hydrogel polymer)를 배위시킨 오스뮴 고분자 화합물과 요산 산화효소 (Uricase), 가교를 위한 PEGDGE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가 혼합된 용액을 스크린 프린팅된 탄소 전극 (SPCEs) 위에 흡착하여 측정하였다. 수용성 오스뮴 고분자의 전위를 조절하기 위해 리간드인 피리딘링의 4번 위치에 다른 전기음성도의 작용기를 갖는 오스뮴 고분자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오스뮴 고분자 화합물은 PAA-PVI (Poly(acrylic acid)-poly(vinyl imidazole)-$[osmium(4,4^{\prime}-dichloro-2,2^{\prime}-bipyridine)_2Cl]^{+/2+}$), PAA-PVI-$[osmium(4,4^{\prime}-dimethyl-2,2^{\prime}-bipyridine)_2Cl]^{+/2+}$, PAA-PVI-$[osmium(4,4^{\prime}-dimethoxy-2,2^{\prime}-bipyridine)_2Cl]^{+/2+}$이다. 제작된 효소전극은 순환전압전류법 (cyclic voltammetry)을 통해 uric acid에 의한 오스뮴 고분자 화합물들의 산화 촉매 전류(oxidation catalytic current)를 측정하여 uric acid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오스뮴 고분자 화합물들 중 0.215 V의 산화환원 전위를 갖는 $PAA-PVI-[Os(dme-bpy)_2Cl]^{+/2+}$ (PAA-PVI-osmium$(4,4^{\prime}-dimethyl-2,2^{\prime}-bipyridine)_2Cl$]$^{+/2+}$) 화합물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간섭물질인 아스코르브산 (AA)과 포도당 (glucose)의 산화 신호의 간섭효과를 피할 수 있었다.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전극은 0.33 V 전위에서 다양한 농도의 uric acid (1.0, 1.5, 2.0, and 5.0 mM)의 전류를 측정한 결과 $r^2=0.9986$의 좋은 선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방법과 일회용의 전극을 사용하기 때문에 현장현시 검사 (point of care; POC)에 적합한 요산측정용 바이오센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충전재 변화에 따른 Chip Scale Package(CSP)용 액상 에폭시 수지 성형물 (Epoxy Molding Compound)의 흡습특성 (The Moisture Absorption Properties of Liquid Type Epoxy Molding Compound for Chip Scale Packa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Fillers)

  • 김환건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594-602
    • /
    • 2010
  • 반도체의 경박단소화, 고밀도화에 따라 향후 반도체 패키지의 주 형태는 CSP(Chip Scale Package)가 될 것이다. 이러한 CSP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 시스템의 흡습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및 충전재 변화에 따른 확산계수와 흡습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에폭시 수지로는 RE-304S, RE-310S, 및 HP-4032D를, 경화제로는 Kayahard MCD를, 경화촉매로는 2-methyl imidazole을 사용하였다. 충전재 크기 변화에 따른 에폭시 수지 성형물의 흡습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충전재로는 마이크로 크기 수준 및 나노 크기 수준의 구형 용융 실리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 성형물의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흡습특성은 $85^{\circ}C$ and 85%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항온항습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에폭시 수지 성형물의 확산계수는 Ficks의 법칙에 기초한 변형된 Crank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 하였다. 충전재를 사용하지 않은 에폭시 수지 시스템의 경우, 유리전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확산계수와 포화흡습율이 증가 하였으며 이는 유리전이온도 증가에 따른 에폭시 수지 성형물의 자유부피 증가로 설명하였다. 충전재를 사용한 경우, 충전재의 함량 증가에 따라 유리전이온도와 포화흡습율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확산계수는 충전재의 입자 크기에 따라 많은 변화를 보여주었다. 마이크로 크기 수준의 충전재를 사용한 경우 확산은 자유부피를 통하여 주로 이루어지나, 나노 크기 수준의 충전재를 사용한 에폭시 수지 성형물에서는 충전재의 표면적 증가에 따른, 수분 흡착의 상호작용을 통한 확산이 지배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