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e sensibility evaluation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1초

현대패션에 나타난 주황색 이미지(제l보) (Orange Image on the Modern Fashion(Part I))

  • 주소현;이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970-981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orange image in the modern fashion. So kinds of costume sample being visual power in orange have been selected from photographs in fashion magazines and divided into the tones : mist(Vp, Lgr, L), bright(P, B), vivid(S, V, Dp). The study was measured by using 27 semantic differential hi-polar scales. The subjects were 50 female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and textil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SPSS packag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Cronbach $\alpha$, Factor analysis, MDS, ANOVA Sheff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Factor analysis has extracted 4 factors of orange image in the fashion. These factor are Attractiveness, Audacity, Hardness and Softness, Cutenes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evaluation of tones. 3. The discrimination among tones was related to cuteness and weight of orange. 4. The image effect on Preference, Buying needs, Pleasant and Riches was consist of complicated sensibility.

현대패션에 나타난 노랑의 조형성과 이미지 (Yellow Image and Formative Properties in Modern Fashion)

  • 오해순;이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65-876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yellow image and formative properties in modern fashion. For the study of formative properties 230 kinds of costume samples being visual power in yellow have been selected from photographs in fashion magazines and divided into tones: vivid(S, B, Dp), vague(L, Lgr, D), bright(Vp, P, B). For the study of image 30 kinds of costume samples is used. The Study was measured by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The subjects were 50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and texti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OVA, MD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1. Factor analysis has extracted 4 factors of yellow image in the fashion. These factor are Attractiveness, Cheerfulness, Hardness and Softness, Gorgeousnes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evaluation of yellow tones. 3. Evaluative dimensions of yellow was classified as Soft-Hard, Gorgeous-Unpretentious. 4. The mage effect on Preference, Buying needs, Pleasant and Riches was consist of complicated sensibility.

현대패션에 나타난 주황색 이미지(제2보) (Orange Image on the Modern Fashion(Part II))

  • 주소현;이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331-1341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orange image in the modem fashion. So kinds of costume sample being visual power in orange have been selected from photographs in fashion magazines and divided into the tones : mist(Vp, Lgr, L), bright(p, B), vivid(S, V, Dp). The study was measured by using 27 semantic differential hi-polar scales. The subjects were 50 female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and textil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SPSS packag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MDS, Cluster Analysis, ANOVA Sheff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Evaluaion dimension of orange was classified as Feminine-Mannish, Lively-Mist.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evaluation of tones.3. The image effect on Preference, Buying needs, Pleasant and Riches was consist of complicated sensibility.

현대 패션에 나타난 레드 이미지 (Red Image in the Modern Fashion)

  • 김윤경;이경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04-210
    • /
    • 2001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red image in the modem fashion. 40 kinds of costume samples being visual power in red have been selected from photographs in fashion magazines and divided into tones: pale (Vp, Lgr, L), bright (P, B), vivid (S, B, Dp), dark (Gr, Dl, Dgr, Dk). The study was measured by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The subjects were 50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and texti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OVA, discrimminant analysis, MD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1. Factor analysis has extracted 5 factors of red image in the fashion. These factor are Attractiveness, Hardness and Softness, Emotion, Attention, Simplicity.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evaluation of red tones. 3. The discrimination among 4 red tones was related to attention and weight of red. 4. Evaluative dimensions of red was classified as Soft-Hard, Lively-Decent. 5. The image effect on Preference, Buying needs, Pleasant and Riches was consist of complicated sensibility.

  • PDF

색채감성척도의 사용현황 분석 및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sage and Improvement of the Color Image Scale)

  • 김미리;박연선
    • 감성과학
    • /
    • 제25권3호
    • /
    • pp.117-12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색채 감성척도의 학술적, 실무적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색채 감성척도의 사용 현황과 개선 요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년 이상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색채 전문가 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구성 내용은 고바야시와 아이알아이 색채 감성척도에 대해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감성어휘를 도출하고, 개선과 관련한 전문가들의 추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분석 결과 1) 친숙도와 신뢰도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이알아이가 더 높게 나타났다. 2) 필요성과 활용도 조사 결과 색채 감성척도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88%로 나타났으며, 연구, 교육 분야보다 기업 실무분야에서 필요하다는 의견이 43.6%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3) 개선 필요성 조사 결과 아이알아이의 색채 감성척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88%로 나타났다. 4) 개선 필요 요인에 대해 가장 높은 응답은 시대성 반영이었으며, 고바야시 31.9%와 아이알아이 30.9%로 나타났다. 5) 색채 감성척도를 개선할 경우 중요하게 또는 우선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는 어휘는 모던한(15.8%) → 내추럴한, 낭만적인, 와일드한(8.8%) → 다이내믹한(7.0%) → 고전적인, 캐주얼한, 시크한(5.3%) 순서로 조사되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실무 및 연구 현장에서 색채 감성척도 사용에 한계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정 보완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톤 인 톤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의 감성 평가 (The sensibility evaluation of Tone in Tone combination and Tone on Tone combination)

  • 김지혜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01-308
    • /
    • 2010
  • 본 연구는 톤 인 톤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을 활용한 배색의 감성 효과에 관한 것이다. 톤 인 톤 배색 과 톤 온 톤 배색에 근거하여 제작한 24개 배색에 대하여 Osgood의 SD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이용하여 10명 대학생에게 배색에 대한 인상 평가를 받았으며 자료 분석은 엑셀 통계 프로그램 2004를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톤 인 톤 배색에 근거한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에 근거한 배색의 인상이 매우 다르게 평가되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색채조화의 형식으로 제안되는 배색 기법이 배색의 감성 효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좋다-싫다', '어린이답다-어른답다', '강하다-약하다', '따뜻하다-차갑다' 4개 이미지 차원이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이미지에는 색상과 색조가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품의 사진배색과 거의 동일한 색종이 배색의 인상을 비교한 것으로 색표를 이용한 배색과 그 배색에 근거한 제품의 배색 인상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제품이 가진 고유 특성이나 형태, 재질 등에 의해 인상이 크게 달라지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배색 이미지나 색채 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PDF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평가에 있어 상대가치 작용 반응 패턴 (Reaction Pattern Influenced by Relative Values in the Evaluation of Preference for Image)

  • 허성철
    • 감성과학
    • /
    • 제17권4호
    • /
    • pp.41-5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제품 이미지에 대한 선호 반응에 있어서 뇌의 반응 패턴의 특징을 파악하고, 피험자가 동일한 대상에 대하여 직관적으로 평가한 선호도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하나씩 별도로 제시된 제품 이미지에 대하여 느끼는 인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뇌파 측정을 통한 쾌적도를 산출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피험자가 모든 제품 이미지를 일시에 비교하며 선호도를 직접 평가하도록 하였다. 첫 번째 실험을 '독립적 인지 반응'이라 하고, 두 번째 실험을 '상대적 인지 반응'이라고 할 때 그 반응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독립적 인지 반응'에서는 자신의 경험에 의해서 축적된 정보와의 비교에 의하여 절대 가치로서의 감정 상태를 표현하게 되며, '쾌' 또는 '불쾌'라고 하는 감정이 절대적 가치로서 지속된다. '상대적 인지 반응'에서는 이미지를 인지하는 단계에서 비교되는 다른 이미지 정보와의 상대적인 감정 상태를 표현하게 되며, 이때에는 '진정'이나 '흥분'에 해당하는 감정 상태가 상대적 가치로 작용한다.

Measurement of Dynamic Contact Angle of Yarn for Evaluation of Fabric Comfort Performance

  • Hong, Cheol-Jae
    • 감성과학
    • /
    • 제5권3호
    • /
    • pp.67-74
    • /
    • 2002
  • Testing device was newly designed and built to measure the dynamic contact angle. The measurement was made using microscope interfaced with computerized image analysis system while the dynamic condition being controled using Instron. As specimens for the experiment, two different types of fibers, i.e., hydrophilic and hydrophobic, were prepared. In case of hydrophilic fiber, the increase of twist level gave the increase of contact angle. However, in hydrophobic yarn the increase of twist level gave the decrease of contact angle. When saline was used as a telling liquid, the increase of the concentration gave the increase of contact angle. The results rationalized clearly on the basis of known concepts could be used in designing fabric structure for the improvement of comport performance.

  • PDF

부산 관광산업 Design Service Model 구축을 위한 인상평가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of the Design Service Model of Sightseeing for the City of Busan)

  • 이성필;엄상욱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감성 심포지엄
    • /
    • pp.136-138
    • /
    • 2007
  • 디자인 서비스 산업은 21세기의 국가경제와 지역발전을 주도해 갈 수 있는 성장 산업으로서 현재 부산이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인 기업의 해외이전, 인구감소, 관광자원의 고갈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디자인 서비스 구축을 통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Online조사를 이용한 부산시의 특성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를 조사하고, Offline 조사로 자국인 및 외국인(주둔 외국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다. 또한, 부산시가 가지고 있는 인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SD법을 이용하고 분석을 실시하여 정량화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부산시의 디자인 서비스에 대한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브래지어 디자인에 대한 시각적 감성연구(제 1보) (A study on the visual sensibility of brassiere design(Part I))

  • 하수진;이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35-64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sual sensibilities of brassiere design. Brassier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connection of a cup and a strap. In each type Lace was used where the part of the cup divided by lines which were constructed such as a mold horizontal a vertical a mixed and an oblique design. As a result 39 brassieres were obtained. The experiment has been done for the 39 brassieres with 17 semantic differential bi-polar scales. The subjects were 60 female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and textil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SPSS package.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3 factors(Attractiveness Appearance. Cuteness) were found to be constructing factors for brassiere imag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sual evaluation of brassiere design especially in the change of lace. 3.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images affecting preferences were pretty fascinating natural appropriate sexy and cle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