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e Object

검색결과 4,182건 처리시간 0.027초

모멘트 변화와 객체 크기 비율을 이용한 객체 행동 및 위험상황 인식 (Object-Action and Risk-Situation Recognition Using Moment Change and Object Size's Ratio)

  • 곽내정;송특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56-565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track object of real-time video transferred through single web-camera and to recognize risk-situation and human actions. The proposed method recognizes human basic actions that human can do in daily life and finds risk-situation such as faint and falling down to classify usual action and risk-situation. The proposed method models the background, obtains the difference image between input image and the modeled background image, extracts human object from input image, tracts object's motion and recognizes human actions. Tracking object uses the moment information of extracting object and the characteristic of object's recognition is moment's change and ratio of object's size between frames. Actions classified are four actions of walking, waling diagonally, sitting down, standing up among the most actions human do in daily life and suddenly falling down is classified into risk-situation. To test the proposed method, we applied it for eight participants from a video of a web-cam, classify human action and recognize risk-situation. The test result showed more than 97 percent recognition rate for each action and 100 percent recognition rate for risk-situation by the proposed method.

차영상을 이용한 이동 객체 추적 (Moving Object Tracking using Differential Image)

  • 오명관;한군희;최동진;전병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6-40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단일 이동 객체를 추적할 수 있는 추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추적 시스템은 차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추정하고, 카메라의 Pan/Tilt를 제어함으로서 이동 객체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영상획득 및 전처리 단계, 움직임 추정 단계, 객체 추적 단계로 구성되었다. 시간 간격을 두고 획득된 두 영상에 있어 움직임 추정은 기본적으로 차영상 기법을 이용하였다. 차영상의 이진화 작업에 있어 임계값의 결정은 배경과 객체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객체 영역의 그룹화에 있어 블록 단위의 재귀적 레이블링 방법을 사용하여 연결성을 향상시켰다. 실험 결과 이동 객체의 움직임을 추정할 수 있었고, 추적 과정에서도 객체를 잃어버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추적할 수 있었다.

  • PDF

평균 이동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상기반 실내 물체 추적 (Vision-Based Indoor Object Tracking Using Mean-Shift Algorithm)

  • 김종훈;조겸래;이대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746-751
    • /
    • 2006
  • In this paper, we present tracking algorithm for the indoor moving object. We research passive method using a camera and image processing. It had been researched to use dynamic based estimators, such as Kalman Filter, Extended Kalman Filter and Particle Filter for tracking moving object. These algorithm have a good performance on real-time tracking, but they have a limit. If the shape of object is changed or object is located on complex background, they will fail to track them. This problem will need the complicated image processing algorithm. Finally, a large algorithm is made from integration of dynamic based estimator and image processing algorithm. For eliminating this inefficiency problem, image based estimator, Mean-shift Algorithm is suggested. This algorithm is implemented by color histogram. In other words, it decide coordinate of object's center from using probability density of histogram in image. Although shape is changed, this is not disturbed by complex background and can track object. This paper shows the results in real camera system, and decides 3D coordinate using the data from mean-shift algorithm and relationship of real frame and camera frame.

물체인식을 위한 영상분할 기법과 퍼지 알고리듬을 이용한 유사도 측정 (An Image Segmentation Method and Similarity Measurement Using fuzzy Algorithm for Object Recognition)

  • 김동기;이성규;이문욱;강이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8권2호
    • /
    • pp.125-132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two-stage segmentation method for the effective object recognition which uses region-growing algorithm and k-means clustering method. At first, an image is segmented into many small regions via region growing algorithm. And then the segmented small regions are merged in several regions so that the regions of an object may be included in the same region using typical k-means clustering method. This paper also establishes similarity measurement which is useful for object recognition in an image. Similarity is measured by fuzzy system whose input variables are compactness, magnitude of biasness and orientation of biasness of the object image, which are geometrical features of the objec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wo-stage segmentation method and similarity measurement, experiments for object recognition were made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y are applicable to object recognition under normal circumstance as well as under abnormal circumstance of being.

깊이 영상을 통한 화소 단위 물체 부피 측정 방법 (Volume Measurement Method for Object on Pixel Area Basis through Depth Image)

  • 김지환;권순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25-133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깊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객체의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깊이 정보를 활용하여 물체의 영역의 실제 거리 단위의 폭과 높이를 계산하여 물체의 부피를 측정한다. 배경 깊이 영상과 촬영된 깊이 영상에서 화소 값의 차이를 통해 영상을 이진화하여 물체 영역을 구한다. 이진화된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물체 영역에 해당하는 화소의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실제 단위의 거리를 계산한다. 각 화소가 가지는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한 4개의 화소로 이루어진 2×2화소 영역 사각형에 대한 부피를 계산한다. 모든 2×2화소 영역들에 대한 부피를 더하여 물체의 부피를 계산한다. 부피를 계산하였을 때 60cm의 측정거리에서 평균 2.1%의 오차가 측정된다.

A Modified Expansion-Contraction Method for Mobile Object Tracking in Video Surveillance: Indoor Environment

  • Kang, Jin-Shi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298-306
    • /
    • 2013
  • Recent years have witnessed a growing interest in the fields of video surveillance and mobile object tracking. This paper proposes a mobile object tracking algorithm. First, several parameters such as object window, object area, and expansion-contraction (E-C) parameter are defined. Then, a modified E-C algorithm for multiple-object tracking is presented. The proposed algorithm tracks moving objects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object window. In addition, it includes methods for updating the background image and avoiding occlusion of the target imag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ified experimentally. For example, the first scenario traces the path of two people walking in opposite directions in a hallway, whereas the second one is conducted to track three people in a group of four walkers.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with Partial Information

  • Yoo, Suk 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29-235
    • /
    • 2019
  • Due to the development of video and optical technology today, video equipments are being used in a variety of fields such as identification, security maintenance, and factory automation systems that generate product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an algorithm that effectively recognizes an experimental object in an input image with a partial problem due to the mechanical problem of the input imaging device. The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moves and rotates the vertices constituting the outline of the experimental object to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vertices constituting the outline of the DB model. Then, the discordance values between the moved and rotated experimental object and the corresponding DB model are calculated, and the minimum discordance value is selected. This minimum value is the final discordance value between the experimental object and the corresponding DB model, and the DB model with the minimum discordance value is selected as the recognition result for the experimental object. The proposed object recognition method obtains satisfactory recognition results using only partial information of the experimental object.

특이 칼라에 기반한 칼라 영상에서의 중심 객체 추출 (Extraction of a Central Object in a Color Image Based on Significant Colors)

  • SungYoung Kim;Eunkyung Lim;MinHwan Kim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648-65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특이 칼라 분포에 대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어떠한 사전 지식없이 칼라 영상으로부터 중심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중심 객체는 영상 중심 부근에 위치하면서 특이 칼라 분포를 갖는 영역들의 집합으로 정의한다. 특이 칼라는 영상 경계 주변에 비해 영상의 중심 위치에서 보다 높은 밀도로 존재하는 칼라로 정의한다. 중심 객체 추출을 위해 우선 특이 칼라 정보를 사용하여 영상 분할된 영역 중에서 객체의 특징을 대표하는 영역들의 집합을 핵심객체영역을 선택한다. 핵심객체영역에 인접하며 이와 높은 칼라 유사도를 갖고 또한 배경이 아닌 영역들을 반복적으로 핵심객체영역에 병합하여 핵심객체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생성된 최종 병합 결과를 중심 객체로 추출한다. 따라서 중심 객체는 상이한 칼라 특징을 갖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호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두개 이상의 객체가 중심 객체에 포함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 및 중요 칼라의 유용성은 다양한 실험 영상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으로 추출된 중심 객체는 영상 검색 응용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딥러닝 기반 사물 검출을 활용한 우선순위 사물 중심의 영상 스티칭 (Image Stitching focused on Priority Object using Deep Learning based Object Detection)

  • 이성배;강전호;김규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82-897
    • /
    • 2020
  • 최근 Panorama와 360° 영상이 대표되는 몰입형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카메라 한 대를 통해서 해당 콘텐츠를 생성하기에는 시야각이 제한되기 때문에, 다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넓은 시야각을 갖는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는 영상 스티칭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촬영하는 카메라 간의 시차(Parallax)가 크다면 스티칭 영상에서 시차 왜곡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콘텐츠 몰입을 제한하기 때문에 시차 왜곡을 극복할 수 있는 영상 스티칭 기술이 필요하다. 시차 왜곡을 극복하기 위한 기존의 Seam Optimization 기반 영상 스티칭 방법은 사물의 위치 정보를 반영하기 위하여 에너지 함수나 객체 세그먼트 정보를 활용하고 있지만, 초기 Seam 생성 위치, 배경 정보, 사물 검출기의 성능 그리고 사물의 배치 등의 제한 사항으로 인해 기술의 적용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 사물 검출을 활용하여 사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한 가중치 값을 시각적 인지 에너지 값에 더함으로써, 기존 기술의 제한 사항을 극복할 수 있는 영상 스티칭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계층적 영상구조에서 통계적 방법에 의한 영상분할 (A Statistical Image Segmentation Method in the Hierarchical Image Structure)

  • 최성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165-175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영상분할에 이용되는 대부분의 기존방법들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입력 영상으로부터 형성된 계층적 피라밋 영상구조를 이용하여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통계적 방식에 의한 물체검출 및 묘사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체검출 방법에서는 계층적 영상구조에서 발생하는 클러스터링의 유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계적 IFSVR 알고리듬과 FSVR 알고리듬을 제안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관심대상 화소를 검출하였다. 물체묘사 방법은 고해상도 레벨로 검출된 최적 물체화소를 투사하고 처리하기 위해 톱다운 추적방식인 반복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2진 영상과 실영상 모두에서 제안된 분할방법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계층적 피라밋구조에 기초를 둔 접근방법이 영상분할에 대한 유용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병렬처리기에서 처리된다면 각 알고리듬이 n${\times}$n 영상에 대해 0(log n)의 계산량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