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lumination Variation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3초

수종 광중합 복합 레진의 중합 깊이와 광조사 시간에 따른 중합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GREE OF CONVERSION OF LIGHT CURING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THE DEPTH OF CURE AND LIGHT CURING TIME)

  • 김경현;권오승;김현기;백규철;엄정문;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1호
    • /
    • pp.35-60
    • /
    • 1997
  • Physic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s such as strength, resistance to wear, discoloration, etc, depend on the degree of conversion of the resin components. The clinical behavior of restorative resins varies brand to brand. Part of this variation is associated with the filler and differences in the polymer matrix. The polymer matrix of resins may differ because the involved monomers are dissimilar and because of variation in the catalyst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gree of conversion of the composite resins according to the depth of cure and light curing time. 7mm diameter cylindrical aluminum molds were filled with each of five different hybrid light curing composite resins(Z-100, Charisma, Herculite XRV, Prisma TPH, Veridonfil) on the thin resin films. The molds were 1mm, 2mm, 3mm, 4mm, and 5mm in depth to produce resin films of various heights. Each sample was given 20sec, 40sec, and 60sec illumination with a light source. The degree of conversion of carbon double bonds to single bonds in the resin films was examined by means of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re was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version among five light curing composite resins according to the depth of cure for 20sec, 40sec, and 60sec illumination with light sour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2. Five light curing composite resins show lower degree of conversion at surface of the resin than depth of 1mm. 3. The degree of conversion of five light curing composite resins was siginificantly reduced from the maximum for the resin film when the light passed through as little as 1mm of each composite. 4. The degree of conversion of five light curing composite resins decrease significantly at the depth of 4mm, and polymerization was not occured at the depth of 5mm except for Prisma TPH. 5. The degree of conversion of five light curing composite resins was increased with increased light curing tim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onversion above 4mm in Z-100, 3mm in Charisma, and at depth of 5mm in Herculite XRV and Veridonfil(P>0.05).

  • PDF

어류의 주광성에 관한 연구 6. 백색광에 대한 능성어의 반응 (Phototaxis of Fish 6. Responce of Sea-bass to the White Lights)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3권3호
    • /
    • pp.27-27
    • /
    • 1987
  • 빛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에 빛의 세기가 서로 다른 8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자극에 대한 수조내의 구간별 분포는 광원에 따른 분포곡선의 형태가 서로 상이하였으며 주야간의 차이도 대단히 심했다. 2. 능성어는 광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많이 모이는 경향을 보였으나, 야간에 빛의 세기가 약한 광원 (A, B, C광원)하에서는 광원쪽에 많이 모였다. 3. 집어율이 최대가 되는 수중조도(적정조도)는 주간에 24.13 lux (15.25~35.93 lux), 야간에 0.14 lux (0.25~0.63 lux)로서 주간에 더 높았으며, 최대집어율은 주간에 20.23%, 야간에 47.30%로서 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집어율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과 감소한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계속 불안정하게 변동하였으며, 주야간의 차이는 뚜렷했는데 빛의 세기가 약한 광원 (A~D 광원)하에서는 야간의 집어율이, 빛의 세기가 강한 광원 (E~H 광원)하에서는 주간의 집어율이 각각 더 높았다.

어류의 주광성에 관한 연구 6. 백색광에 대한 능성어의 반응 (Phototaxis of Fish 6. Responce of Sea-bass to the White Lights)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3권3호
    • /
    • pp.137-143
    • /
    • 1987
  • 빛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에 빛의 세기가 서로 다른 8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자극에 대한 수조내의 구간별 분포는 광원에 따른 분포곡선의 형태가 서로 상이하였으며 주야간의 차이도 대단히 심했다. 2. 능성어는 광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많이 모이는 경향을 보였으나, 야간에 빛의 세기가 약한 광원 (A, B, C광원)하에서는 광원쪽에 많이 모였다. 3. 집어율이 최대가 되는 수중조도(적정조도)는 주간에 24.13 lux (15.25~35.93 lux), 야간에 0.14 lux (0.25~0.63 lux)로서 주간에 더 높았으며, 최대집어율은 주간에 20.23%, 야간에 47.30%로서 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집어율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과 감소한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계속 불안정하게 변동하였으며, 주야간의 차이는 뚜렷했는데 빛의 세기가 약한 광원 (A~D 광원)하에서는 야간의 집어율이, 빛의 세기가 강한 광원 (E~H 광원)하에서는 주간의 집어율이 각각 더 높았다.

  • PDF

다중 해상도 가버 특징 벡터를 이용한 강인한 눈 검출 (Robust Eye Localization using Multi-Scale Gabor Feature Vectors)

  • 김상훈;정수환;조성원;정선태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1호
    • /
    • pp.25-36
    • /
    • 2008
  • 눈 검출은 눈 동공의 정 중앙의 위치를 찾아내는 작업을 의미하며, 얼굴 인식 및 관련된 응용 분야 등에서 필요한 작업이다. 현재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눈 검출 방법의 경우 성공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여전히 정확도 및 검출 속도의 개선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큰 계산량의 부담이 없는 다중 해상도 가버 특징 벡터를 이용한 강인한 눈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가버 특징 벡터를 사용한 눈 검출은 EBGM 등에서 이미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RBGM 등에서 사용한 눈 검출 방법은 초기값에 민감하고 조명, 자세 등에 강인하지 못하여, 만족할 만한 검출률을 얻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탐색 범위가 필요하다. 이는 계산량의 상당한 증가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눈 검출 방법은 다중 해상도 접근 방법을 활용한다. 먼저, 원래 해상도 얼굴 이미지를 다운샘플링하여 얻은 저해상도 얼굴 이미지에서, 초기 추정 눈 위치에서의 가버 특징 벡터와 해당 해상도의 눈에 대한 가버 특징 벡터 모델과의 가버젯 유사도를 이용하여 눈 위치를 검출한다. 이후 검출된 눈 위치를 업스케일링하여 상위 해상도의 얼굴 이미지에서의 눈 위치 초기값으로 취하고 앞 단계에서처럼 가버젯 유사도를 이용하여 눈을 검출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원래 해상도 얼굴 이미지에서의 눈 위치를 확정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다중 해상도 접근 방법이 조명에 대해서도 보다 강인하도록 하는 데 효과적인 조명 정규화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다중 해상도 접근 방법의 전처리 단계에 추가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눈 검출 성공률을 더욱 개선하였다.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스케일 가버 특징 벡터 기반 눈 검출 방법은 계산량을 크게 증가 시키지 않으면서 기존 연구들에서 보고된 다른 눈 검출 방법에 비해 정확도가 개선된 검출 방법이며, 자세 및 조명 변화에 대해서도 강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클러스터링과 마르코프 랜덤 필드를 이용한 배경 모델링 기법 제안 (Improving Clustering-Based Background Modeling Techniques Using Markov Random Fields)

  • 한희얼;박수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1호
    • /
    • pp.157-16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마르코프 랜덤 필드(Markov random fields: MRF) 기반으로 배경을 모델링하는 방식과 함께 관련 파라미터들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화소 기반의 배경 모델링 기법은 인근 화소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고 화소 단위의 시간적 변화에 대한 통계적 특성에 주로 의존하므로 판정 오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제안 알고리즘은 화소 기반으로 배경 모델을 일차적으로 수행한 다음 MRF를 이용하여 시공간적으로 인근한 화소 간의 상호 의존성을 활용하여 배경모텔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MRF는 기본적으로 파라미터의 크기에 매우 민감하므로 기존의 MRF 기반 알고리즘은 이미지에 따라 적절한 값을 사전에 구하여 적용하고 있다. 제안한 방식은 초기에 임의의 파라미터로 배경/전경 상태변수를 구한 후에 이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파라미터들을 추정하고 추정된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대변수를 재차 구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최적의 파라미터에 적응적으로 수렴하도록 조정한다. 실내외의 다양한 환경에서 촬영한 비디오를 이용하여 제안한 방식 성능을 확인한다.

CNN을 적용한 조명변화에 강인한 얼굴인식 연구 (Research on Robust Face Recognition against Lighting Variation using CNN)

  • 김연호;박성욱;김도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25-330
    • /
    • 2017
  • 얼굴인식 기술은 지난 수십 년간 연구되어온 분야로서 보안, 엔터테인먼트, 모바일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얼굴인식 기술이 가진 주된 문제점은 밝기, 조명각도, 영상 회전등의 환경적 변화 요소에 따라 인식률이 현저하게 감소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많은 계산량을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재조명 받고 있는 CNN을 이용해 조명변화에 강인한 얼굴인식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후 성능검증을 위해 기존의 얼굴인식 알고리즘인 PCA, LBP, DCT와 결과 비교를 진행하였으며, 각각 9.82%, 11.6%, 4.54%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또한 기존 신경망을 적용한 얼굴인식 연구결과 비교에서도 5.24%의 성능 향상을 기록하여 최종 인식률 99.25%를 달성하는 결과를 보였다.

Photostability evaluation of Jawarishe Jalinoos

  • Shahnawaz, Shahnawaz;Rahman, Khaleequr;Sultana, Arshiya;Sultana, Shabiya
    • 셀메드
    • /
    • 제11권4호
    • /
    • pp.18.1-18.8
    • /
    • 2021
  • Jawarishe Jalinoos (JJ) is an orally used formulation available in semisolid dosage form, prepared with powdered plant materials mixed in honey or sugar syrup. It has many admirable pharmacological effects and used in Unani medicine to treat various acute and chronic disorders since ancient times. The ICH Harmonised Tripartite Guideline stated that photostability testing should be an essential part of stability testing to confirm that light exposure does not result in an unacceptable change in drugs substance and finished products. To date, the effect of light on JJ is not studied, in this study photostability evaluation of JJ was carried out. The test sample was manufactured with genuine ingredients in the in-door pharmac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Unani Medicine. JJ was packed in two transpare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irtight containers. The first sample was analysed at zero-day and the second sample was placed in a stability chamber subjected to light challenge with an overall illumination of 1.2 million lux hours combined with near ultraviolet energy of 200-watt hours per square meter by using option 2, along with 30±2℃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70±5%. Analysis of both finished products showed no considerable changes in organoleptic characters. Less than 5% variation was observed in physicochemical parameters. HPTLC fingerprinting showed justifiable variation. Microbial load and specific counts were within the limit prescribed by WHO. As no unacceptable changes were noted in JJ subjecting to light challenge, it is concluded that JJ is a photostable Unani compound formulation.

Spectrophotometric evaluation of restorative composite shades and their match with a classical shade guide

  • Rafael Melara;Luciana Mendonca;Fabio Herrmann Coelho-de-Souza;Juliana Nunes Rolla;Luciano de Souza Goncalves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4호
    • /
    • pp.60.1-60.8
    • /
    • 202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atch between 5 shades of composites from different manufacturers with a shade guide and among the systems using a portable spectrophotometer. Materials and Methods: Shad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specimens of Z350 XT (3M ESPE), Charisma Diamond (Heraeus Kulzer GmbH), Esthet X-HD (Dentsply Caulk), and Empress Direct (Ivoclar-Vivadent) for shades A1, A2, A3, B1, and C3 using a Vita Easyshade spectrophotometer (Vita Zahnfabrik) against a white background. Corresponding shades of Vitapan Classical (Vita Zahnfabrik) guide were measured likewise and shade variation (ΔE) was calculated based on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L*a*b* parameters. The ΔE of the composites in each shade was compar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s post hoc test (α = 0.05). Results: All composites presented ΔE > 3.7 compared with the shade guide. Variation in shades A3, B1, and C3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composites. ΔE of Z350 XT was significantly lower for A1 than for the other shades, whereas ΔE of Z350 XT and Charisma Diamond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A2 than for the other shades. Conclusions: No composite shade matched with the shade guide. Equivalent shades of the restorative composite from different manufacturers may show clinically noticeable ΔE.

Text Extraction from Complex Natural Images

  • Kumar, Manoj;Lee, Gue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6권2호
    • /
    • pp.1-5
    • /
    • 2010
  • The rapid growth in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ways of sharing ideas and information in the form of speech and images. Understanding this inform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issue and drawn the attention of many researchers. Text in a digital image contains much important information regarding the scene. Detecting and extracting this text is a difficult task and has many challenging issues. The main challenges in extracting text from natural scene images are the variation in the font size, alignment of text, font colors, illumination changes, and reflections in the im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nected component based method to automatically detect the text region in natural images. Since text regions in mages contain mostly repetitions of vertical strokes, we try to find a pattern of closely packed vertical edges. Once the group of edges is found, the neighboring vertical ed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regions whose geometric features lie outside of the valid specifications are considered as outliers and eliminated. The proposed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he existing methods for slanted or curved character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given for the validation of our approach.

Uncooperative Person Recognition Based on Stochastic Information Updates and Environment Estimators

  • Kim, Hye-Jin;Kim, Dohyung;Lee, Jaeyeon;Jeong, Il-Kwon
    • ETRI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395-405
    • /
    • 2015
  • We address the problem of uncooperative person recognition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Multiple modalities, such as face, height, clothes color, and voice, can be used when attempting to recognize a person. In general, not all modalities are available for a given frame; furthermore, only some modalities will be useful as some frames in a video sequence are of a quality that is too low to be able to recognize a person. We propose a method that makes use of stochastic information updates of temporal modalities and environment estimators to improve person recognition performance. The environment estimators provide information on whether a given modality is reliable enough to be used in a particular instance; such indicators mean that we can easily identify and eliminate meaningless data, thus increasing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method. Our proposed method was tested using movie clips acquired under an unconstrained environment that included a wide variation of scale and rotation; illumination changes; uncontrolled distances from a camera to users (varying from 0.5 m to 5 m); and natural views of the human body with various types of noise. In this real and challenging scenario, our proposed method resulted in an outstanding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