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lumination Compensation (IC)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에서 스킵 모드의 휘도 보상 정보 유도 방법 (Derivation of Illumination Compensation Information for SKIP Modes in Multi-view Video Coding)

  • 박민우;박광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16-52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에서 P-SKIP과 B-SKIP 모드에서 휘도 보상 정보를 유도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기존의 P-SKIP 모드에서 휘도 보상 플래그와 휘도 보상값이 일관성 없이 유도되는 경우를 제거하여 휘도 보상 시에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과 B-SKIP 모드에 중복적으로 수행되는 휘도 보상 플래그와 휘도 보상값 유도 방법을 하나의 방법으로 통합함으로써 계산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실험 결과 객관적인 화질 측정 실험에서는 거의 동일한 성능을 나타내며, 실제 복호 수행 시에 P-SKIP에서는 일관성 없이 유도되는 경우가 제거되면서 휘도 보상을 수행하는 블록의 수가 평균적으로 7.47% 감소하였고, B-SKIP에서는 휘도 보상을 수행하는 블록 당 평균 연산자의 수는 50.36% 감소하였고 실제 평균 복호 수행 시간은 46% 감소하였다.

다시점 비디오의 시공간적 중복도를 높여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조명 불일치 보상 기법 (New Illumination compensation algorithm improving a multi-view video coding performance by advancing its temporal and inter-view correlation)

  • 이동석;유지상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68-782
    • /
    • 2010
  • 다시점 비디오의 조명 불일치 현상은 서로 다른 카메라의 위치와 카메라간의 불완전한 보정(calibration)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인접 시점간의 색상 불일치는 획득된 영상을 참조 영상으로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multi-view video coding)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조명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 히스토그램 매칭(histogram matching)을 이용한 전처리 기법이 있다. 히스토그램 매칭을 통해 모든 시점 영상의 히스토그램은 정해진 참조 시점 영상의 히스토그램으로 매칭되어지고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다시점 비디오 시퀀스는 카메라와 등장인물의 이동으로 인하여 시점 간 영상뿐만 아니라, 한 시점 내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상간의 히스토그램 분포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참조 시점 시퀀스에 속한 모든 영상을 참조하는 기존의 히스토그램 매칭 기법은 시공간적으로 상관성이 높지 않은 영상의 조명을 효과적으로 보상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시점 영상 간의 색상 분포의 차이를 보이는 다시점 비디오를 보상하여 공간적 상관성을 높이기 위해 두 조건식이 반영된 영상분리 기법을 적용한 레이어별 히스토그램 매칭 기법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색상 분포의 차이를 보이는 다시점 비디오를 비디오 부호화의 단위인 화면 그룹(group of pictures : GOP)별로 보상하여 시간적 상관성을 높이는 개별적인 히스토그램 매칭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조명 보상 기법이 기존의 조명 보상 기법보다 향상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효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깊이 정보에 따른 레이어별 히스토그램 매칭을 이용한 조명 불일치 보상 기법 (Illumination Mismatch Compensation Algorithm based on Layered Histogram Matching by Using Depth Information)

  • 이동석;유지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8C호
    • /
    • pp.651-66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깊이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어별 객체를 분리하고 개별적으로 히스토그램 매칭기법을 적용하는 색상 불일치 보상기법을 제안한다. 다시점 비디오의 조명 불일치 현상은 서로 다른 카메라의 위치와 카메라간의 잘못된 보정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색상 불일치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히스토그램 매칭을 이용한 전처리기법이 제안되었다. 히스토그램 매칭을 통해 모든 시점의 다시점 영상 히스토그램은 정해진 참조 시점영상의 히스토그램과 매칭이 되고,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영상은 상호 독립적인 색상 분포와 히스토그램 분포을 가지는 여러 개의 객체로 구성된다. 특히 다시점 영상은 시점에 따른 프레임마다 객체의 구성과 위치 및 그 깊이가 각각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영상 내에서 깊이정보를 이용하여 객체를 먼저 분리하고, 객체별로 히스토그램 매칭기법을 적용하여 색상 보상을 수행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객체 단위의 조명 보상기법이 기존의 영상 단위의 조명 보상기법보다 향상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효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3차원 얼굴 인식을 위한 PSO와 다중 포인트 특징 추출을 이용한 RBFNNs 패턴분류기 설계 (Design of RBFNNs Pattern Classifier Realized with the Aid of PSO and Multiple Point Signature for 3D Face Recognition)

  • 오성권;오승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6호
    • /
    • pp.797-803
    • /
    • 2014
  • In this paper, 3D face recognition system is designed by using polynomial based on RBFNNs. In case of 2D face recognition, the recognition performance reduc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illumination and facial pos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of 2D face recognition, 3D face recognition. In the preprocessing part, according to the change of each position angle the obtained 3D face image shapes are changed into front image shapes through pose compensation. the depth data of face image shape by using Multiple Point Signature is extracted. Overall face depth information is obtained by using two or more reference points. The direct use of the extracted data an high-dimensional data leads to the deterioration of learning speed as well as recognition performance. We exploit principle component analysis(PCA) algorithm to conduct the dimension reduction of high-dimensional data. Parameter optimization is carried out with the aid of PSO for effective training and recognition. The proposed pattern classifier is experimented with and evaluated by using dataset obtained in IC & CI Lab.

다시점 비디오의 휘도 및 색차 성분 불일치 보상을 위한 히스토그램 매칭 기반의 전처리 기법 (New Prefiltering Methods based on a Histogram Matching to Compensate Luminance and Chrominance Mismatch for Multi-view Video)

  • 이동석;유지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6호
    • /
    • pp.127-136
    • /
    • 2010
  • 다시점 비디오는 카메라간의 다른 위치와 불완전한 카메라 보정(calibration)으로 인접한 시점의 영상 내에 존재하는 동일물체 간에 색상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색상 불일치(color mismatch)는 시점 간 움직임 예측(inter-view prediction) 수행 시, 오정합을 발생시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Multi-view Video Coding : MVC)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웃하는 영상 간에 존재하는 휘도 및 색차 성분 불일치를 보상하여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의 압축률을 향상시키는 전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모든 시점의 영상을 히스토그램 매칭 기법에 의해 정해진 참조 시점 영상의 색상을 기준으로 보정된다. 또한 히스토그램 매칭 수행 전에 YCbCr 색상공간 변경 시에 색차 성분의 대표 값 추출(chrominance subsampling)에 사용되는 Cosited filter를 영상의 각 색상성분에 적용하여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히스토그램 매칭은 YCbCr 색상공간에서 RGB 색상공간으로 변환하여 각 색상성분에 적용한다. 이 과정에서 영상에 존재하는 에지의 방향성과 화소 값의 존재 범위를 고려한 효과적인 색상 변환 기법이 사용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전처리 기법이 다른 기법들에 비해 향상된 부호화 효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