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gE antibody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38초

개에서 0.1% FK-506 연고의 피부 비만세포와 호산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0.1% Tacrolimus on Canine Skin Mast Cells and Eosinophils)

  • 정아영;배슬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5-101
    • /
    • 2014
  • Goat-anti-canine IgE polyclonal antibody로 유발한 개 피부염에 대한 0.1% FK-506 연고의 항염효과를 평가하였다. 임상적으로 건강한 성견 5두를 사용하여 실험군은 대조군, 위약적용군, FK-506 적용군으로 구분하였다. 항염효과는 팽진의 크기, 피부생검 검사를 통한 비만세포와 호산구수를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비만세포는 Toluidine blue, 호산구는 Luna 염색법을 사용하였다. 염증유발 15분 후의 팽진의 크기는 FK-506 적용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 < 0.01). 6, 12, 24 시간 후 염증유발부위에 대한 피부생검을 각각 실시하였다. 정상피부의 비만세포는 $12.32{\pm}3.27cells/mm^2$ 이었으며 12시간 후에 FK-506 적용군은 $5.79{\pm}0.86cells/mm^2$으로 대조군의 $1.89{\pm}0.49cells/mm^2$, 위약군의 $1.74{\pm}0.50$ 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1). 정상피부의 호산구는 $2.73{\pm}2.24cells/mm^2$ 이었다. 대조군, 위약 적용군, FK-506 적용군의 호산구 수는 12 및 24 시간 후 FK-506 적용군에서 대조군과 위약 적용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1). 따라서 FK-506 연고는 급성염증과 아토피증상과 유사한 후기염증에서 항염효과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Isocyanate에 의한 직업성 천식환자에서 임상양상과 Isocyanate 특이 IgE 항체에 관한 연구 (Isocyanate-Induced Occupational Asthma: Immunologic and Challenge Studies)

  • 서정은;박해심;김성진;유남수;조동일;김재원;경난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6호
    • /
    • pp.490-501
    • /
    • 1992
  • TDI 기관지 유발검사상 TDI-천식으로 확진된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고찰과 함께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 및 TDI-, MDI-, HDI-HSA conjugate에 대한 특이 IgE 항체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DI 기관지유발검사상에서는 조기 반응형이 11예(50%), 후기단독 반응형이 6예(27%), 그리고 이중 반응형이 5예(23%)였다. 2)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상 19예(86.4%)가 양성반응을, 3예(13.6%)가 음성반응을 보였으며, 이들 음성반응자들은 TDI 기관지유발검사 24시간후에 다시 시행한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에서는 기도과민성을 나타내었다. 3) Isocyanate에 대한 특이 IgE 항체의 측정 결과 TDI-HSA에 대해서는 12예(54.5%), MDI-HSA에 대해서는 7예(31.8%), 그리고 HDI-HSA conjugate에 대해서는 9예(40.9%)가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특이 IgE의 양성률은 잠복기, 아토피유무 및 흡연상태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4) 추적검사가 가능했던 12예에서 기도과민증의 호전을 보였던 예는 8예였는데, 이 중 7예는 isocyanate 노출에의 회피가 가능했던 경우였고 1예는 계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호전된 경우였으며, 악화되었던 4예 중 2예는 계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었던 경우, 그리고 2예는 회피에도 불구하고 악화을 보인 경우였다. 이상의 결과로 isocyanate에 의한 직업성 천식 환자의 59.1%에서 IgE 매개에 의한 기관지 수축반응이 의심되었으며,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상 음성반응을 보인다고 하더라도 병력상 isocyanate에 의한 직업성 천식이 의심되면 isocyanate-기관지유발검사를 시행하고 그 이후 지도 과민증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In Vitro 소화시 lgy항체 활성의 안정성에 대한 계란 성분의 효과 (Effect of Eff Component on Stability of IgY Antibody Acitivity to In Vitro Digestion)

  • 이승배;최석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3-310
    • /
    • 2000
  • In vitro 소화시 계란 성분이 anti-Y ruckeri IgY 항세 활성을 안정화시키는데 어떡해 관여하는지를 SDS-PAGE와 ELISA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nti-Y ruckeris IgY 항체와 난황 및 난백으로 혼합 후 펩신으로소화시킨 후 경우 1시간 후 난황 및 난백이 혼합된 시료에서 모두 anti-Y ruckeri IgY 항체의 heavy chain과 light chain이 분해는 되었지만 어느 정도 밴드를 관찰할 수있었으며, anti-Y, ruckeri IgY 항체 활성 측정한 결과 난황시료는 35%, 난백시료는 61%의 항체 활성을 유지시켰다. Anti-Y ruckeri IgY 항체와 오보알부민, 오보뮤우신, 라이소자임 및 오보뮤코이드를 혼합 한 후 펩신으로 소화시킨 경우 1시간 우에는 anti-Y, ruckeri IgY항체의 heavy chain의 밴드르 fdjsm 정도 볼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anti-Y, ruckeri IgY 항체의 light chain는 오보뮤우신 및 오보뮤코이드가 홉합되어 펩신으로 소화시킨 경우 1시간 후에는 밴드를 거의 볼수 없었으나 오보알부민 오보트란스훼린 및 라이소자임에 혼합된 시료에서 밴드를 관찰할수 있었다. 특히 라이소자임과 오보트란스훼린의 경우 펩신 호화 2시간 우에도 anti-Y, ruckeri IgY 항체의 light 밴드가 관찰되었다. 펩신소화 1시간 후에 난백성분이오보알부민, 오보뮤우신, 라이소자임, 오보트란스웨린 및 오부뮤코이드 중에서 단지 오보트란스훼린만이 38%의 anti-Y, ruckeri IgY 항체 활서을 보인후 2시간 후에도 15% 정동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nti-Y, ruckeri IgY항체와 난백 및 전란을 혼합한 다음 무지개송어 위 추출액으로 소화시 2시간 후에 난백은 14%, 전란은 69%로 anti-Y, ruckeri IgY 항체 활성을 유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X> $e_{I}$ WPi_BE_QE]]]]]로 상징하며 WLWQ에 적용되는 몇 가지 제약을 관찰하고 이를 일반적인 언어원리로 설명한다. 첫째, XP는 주어로만 해석되는데 그 이유는 XP가 목적어 혹은 부가어 등 다른 기능을 할 경우 생략 부위가 생략의 복원 가능선 원리 (the deletion-up-to recoverability principle)를 위배하기 때문이다. 둘째, WLWQ가 내용 의문문으로만 해석되는데 그 이유는 양의 공리(the maxim of quantity: Grice 1975) 때문이다. 평서문으로 해석될 경우 WP에 들어갈 부분이 XP의 자질의 부분집합에 불과하므로 명제가 아무런 정보제공을 하지 못한다. 반면 의문문 자체는 정보제공을 추구하지 않으므로 앞에서 언급한 양의 공리로부터 자유롭다. 셋째, WLWQ의 XP는 주제어 표지 ‘는/-은’을 취하나 주어표지 ‘가/-이’는 취하지 못한다(XP-는/-은 vs. XP-가/-이). 이는 IP내부 에 비공범주의 존재 여부에 따라 C의 음운형태(PF)가 시성이 정해진다는 가설로 설명하고자 했다. WLWQ에 대한 우리의 논의가 옳다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기닌다. 첫째, WLWQ의 존재는 생략에 대한 두 이론 즉 LF 복사 이론과 PF 삭제 이론 중 전자의 입장을 지지한다. 둘째, WP를 XP로부터 복원할 때 부분 자질만 복사된다. 이는 어휘가 통사층위로 들어온 이후에도 어휘 자질들이 완전히 동결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지시될 수 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 PDF

Seroprevalence of Pertussis in Healthcare Workers without Adult Pertussis Vaccine Use at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 Choi, Won Suk;Kim, Su Hyun;Park, Dae Won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50호
    • /
    • pp.321.1-321.7
    • /
    • 2018
  • Background: Pertussis is highly contagious respiratory disease. Healthcare workers (HCWs) can be an important mediator of the disease. A seroprevalence of pertussis was investigated in HCWs to determine the immune status against pertussis and to detect the unidentified pertussi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HCWs at a hospital located in Korea in 2011. After obtaining written informed consent for HCWs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the study, 10 mL of blood was collected from each subject. Demographic and medical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Data on the underlying disease and vaccination history were reviewed again through medical records. The presence of anti-pertussis toxin (anti-PT) immunoglobulin G (IgG), and immunoglobulin A (IgA) was detected by quantitative analysis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ELISA kit (EUROIMMUN, $L{\ddot{u}}beck$, Germany). Results: A total of 412 HCW participated in the study. Among them, 14 were excluded due to the inadequate sample amount or medical history not secured. Of the 398 HCWs analyzed, 16.6% (66/398) were men and the mean age was $33.82{\pm}9.10years$ (range, 21-67). The mean anti-PT IgG titer was $8.32{\pm}20.40IU/mL$ (range, 0.4-287.5 IU/mL). The overall seroprevalence (rate of anti-PT IgG antibody [Ab] titer > 5 IU/mL) was 33.7%. Three (0.8%) HCWs had the Ab level > 100 IU/mL indicated acute infec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roprevalence and mean titer of anti-PT IgG Ab according to age group, type of occupation, patient-facing position, or working in the pediatric department. Conclusion: The seroprevalence of pertussis of the HCW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was low, and there were some unrecognized acute infections. Therefore, booster immunization of pertussis to HCWs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Beevenom 처리가 돼지의 체내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atural Honeybee (Apis mellifera ligustica) Venom Treatment on the Humoral Immune Response in Pigs)

  • 조성구;김경수;이석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933-942
    • /
    • 2006
  • 본 실험은 생봉독 처리가 돼지의 체액성 면역반응에 대한 생봉독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혈중 Immunoglobulin(Ig) G, IgA, IgM의 농도에 미치는 생봉독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모돈 3두에서 생산한 자돈 20두(LY ×D)를 생봉독 처리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10두씩 배치하였다. 생봉독 처리군은 출생시와 3일령에 교소혈 (GV-1), 해문혈(ST-25) 및 두구혈(CV-8), 6일령에 거세, 단미 창상부위에 생봉 1마리씩 직침 시술하였고, 대조군은 생리식염수 1ml를 동일한 혈위에 주입하였다. 혈중 Ig 농도 측정을 위하여 출생시와 3일, 7일, 14일 및 21일령에 채혈하여 Immunoturbidimetric method로 IgG, IgM, IgA를 측정하였다. 지표항원으로 사용한 돈 콜레라와 위축성비염 백신에 대한 생봉독의 항체 생성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모돈 5두에서 생산된 자돈 40두(LY×D)를 생봉독 처리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20두씩 공시하였다. 생봉독 처리군은 출생시에 교소혈(Jiao-Chao, GV-1), 해문혈(Hai-Men, ST-25) 및 두구혈(Du-Kou, CV-8)에, 3일령에 단미 및 거세시술 시 창상부위에 생봉독을 처리하였고, 21일령 이유시에는 교소혈(GV-1)과 백회혈(Bai- Hui, GV-20)에 생봉독을 처리하였다. 지표항원으로 위축성비염 백신은 24일령과 44일령에 접종하였고 돈콜레라 백신은 44일령과 64일령에 각각 접종하였다. 항체가 분석용 혈액은 24, 34, 44, 54 및 74일령에 채혈하여 위축성비염은 시험관응집반응, 돈콜레라는 ELISA법에 의하여 항체가를 조사하였다. IgG 농도는 처리군에서 출생시 339.52, 3일령에 366.48, 7일령에 296.52, 14일령에 242.06, 21일령에는 219.06mg/dl이었고 대조군은 각각 347.10, 333.14, 243.28, 205.18 및 191.58mg/dl 이었다. 처리전(출생시)에는 처리군과 대조군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처리군의 IgG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3일령 10.3% (P<0.02), 7일령에는 21.9% (P<0.01), 14일령에는 18.0% (P<0.07), 21일령에는 14.3(P<0.07) 더 높게 나타났다. IgA와 IgM의 농도는 전체기간동안 처리군과 대조군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돈콜레라 virus에 대한 항체역가는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24일령 때 57.0%(P<0.03), 34일령 때 74.6% (P<0.006), 44일령에 48.6% (P<0.017), 54일령 때 45.0% (P<0.16), 74일령 때 44.4%(P<0.006)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축성비염 원인균인 Bordetella bronchiceptica에 대한 항체역가는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34일령 때는 39.7%(P<0.002), 44일령 때 31.9% (P<0.02), 54일령 때에 33.4%(P<0.01), 74일령 때에는 57.3%(P<0.007)가 높게 나타나 접종일인 24일령을 제외하고 전체기간에 걸쳐 높은 항체수준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돼지에 대한 생봉독 처리는 면역기능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돼지에 대한 생봉독의 처리는 양돈 생산성면에서 생봉독 처리는 돼지의 생존율을 높이고, 증체량이 높았다는 조 등(2005)의 보고를 뒷받침하고 있어 양돈 산업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돼지에서 대장균 자가백신 효과 (Effect of autogenous Escherichia coli vaccine in pig)

  • 윤교복;김종술;정동수;박양주;이유섭;한정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7-126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munogenicity of autogenous E coli vaccines and their preventive effects on diarrhea in suckling piglets. Autogenous E coli live and killed vaccines were made from the E coli strains isolated from piglets showing diarrhea in field. In group I, pregnant sows were administered with live and killed vaccines at 4 and 2 weeks before parturition, respectively, Killed vaccines were administered twice to pregnant sows at 4 and 2 weeks before parturition in group II, and saline instead of autogenous E coli vaccines was administered to pregnant sows in group III for the control. After parturition, antibody titers in colostrum and milk from sows, incidence of diarrhea in suckling piglets, and immunoreactivity in the ileum of piglets from each treatment group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Sixty-two strains of E coli were isolated from suckling piglets with diarrhea. Of the strains, K88 pilus and K99 pilus antigens were identified in 6(9.8%) and 4(6.5%), respectively. Molecular weights of K88 and K99 pilus were 27,500 and 18,500 daltons, respectively. 2. Antibody titers in colostrum from sows after parturition were 1 : 512 to 1 : 1,024 in group I, 1.256 to 1.512 in group II, and 1 : 4 to 1 : 16 in group III. 3. The incidences of diarrhea In suckling piglets of group I, II and III were 3.3%, 9.4% and 21.4%, respectively. 4. When the immunoreactivity in the ileum of piglets from each group was examined, the proportion of IgG-immunoreactivity cells in group I or II was higher than that in group III. In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autogenous E coli vaccines to pregnant sows before parturition can be an effective way to prevent diarrhea in suckling piglets.

  • PDF

수은에 의한 마우스의 면역반응 조절장애 ($HgCl_2$ Dysregulates the Immune Response of Balb/c Mice)

  • 기노석;고대하;김종서;이정상;김남송;이황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1호
    • /
    • pp.11-24
    • /
    • 1994
  • 수은($HgCl_2$)이 마우스의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Balb/c 마우스를 대상으로 시험관내 및 생체내 단계적 시험을 실시하였다. Lipopolysaccharide, pokeweed mitogen 및 phytohemagglutinin 등의 미토겐(mitogen)에 대한 비장세포의 반응성은수은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수은에 의한 비장세포의 증식반응억제는 배양기간 중 수은 노출시기에 관계 없었으며 수은 전처치에 의해서도 그 증식반응은 억제되었다. 그러나 수은은 pokeweed mitogen으로 유도한 비장세포의 항체생산은 항진시켰다. 실험동물을 음용에 의하여 수은에 3주간 노출시켰을 때 투여기간 중 체중의 증가는 현저히 둔화되었으나, 흉선 및 비장의 무게, 신장, 골수, 비장 및 슬와 림프절의 병리학적 변화는 유발되지 않았다. 그러나 혈청 면역 글로불린(immunoglobulin) 농도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증가된 혈청 $IgG_1$및 IgE농도는interleukin-4 (IL-4)에 대한 항체투여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수은투여 마우스의 면양적혈구(SRBC)에 대한 항체반응을 측정한 결과 면양적혈구에 대한 총응집소가에는 대조군의 그것과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IgM 및 IgG농도는 오히려 대조군의 그것보다 현저히 높았다. 이상의 성적들은 수은의 면역계에 대한 독작용은 그 측정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수은노출에 따른 림프조직의 병변이 발생하기 전에 면역계의 기능적 변화가 일어나고, 수은에 의한 혈청 면역 글로불린 농도의 증가는 특정항원에 대한 항체반응과는 무관할 수 있는 등 수은이 면역반응에 이상을 초래함을 시사한다.

  • PDF

효소면역 전기영동이적법에 의한 톡소포자충 용해물 및 분비 항원의 분석 (Antigen analysis of Toxoplasma gondii Iysate and excretory-secretory materials by enzyme-linked immunoelectrotransfer blot (EITB))

  • 안명희;손혁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4호
    • /
    • pp.249-258
    • /
    • 1994
  • 톡소포자충(Tomplasmngondii)은 세포내에 기생하는 구포자충(Cuidia)의 일종으로 항원은 여러 가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항원의 분석은 면역학적 생화학적인 면에서 시도 해 볼 필요가 있다. 톡소포자충(RH주) tachyzoite의 용해물 및 분비항원을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로 단백질 분획을 관찰하고 면역 전기영동이적법 (EITB, enzyme-linked immunelectrohansfer blot)을 시행하여 반응대를 관찰하였다. 토끼 (New Zealand산) 또는 BALB/c마우스를 톡소포자충으로 면역 또는 감염시키고 3주 또는 7주 후에 채혈 하였다. 면역 후 토끼나 마우스 혈청은 간접형광항체법(IFA)으로 항체가 1:1024 또는 1 : 128임을 확인하였다. 톡소포자충 용해물 및 분비항원으로 SDS-PAGE를 시행하였을 때 10 kDa에서 220 kDa까지 광범위한 단백질 분포대를 보였다. 톡소포자충 용해물 항원을 IgG 항혈청과 반응시켰을 때 주요 항원의 분자량은 23에서 35 kDa까지 5개의 반응대를 관찰하였으며 IgG와 IgM의 공동반응 대는 24. 27, 30. 35 kDa에서 관찰되었다. 분비항원을 IgG 항혈청과 반응시켰을 때 감염 마우스 의 복강액을 항원으로 한 경우 33(P30), 45 kDa의 반응대가 주요 항원임을 알 수 있었고 톡소포자 충을 CHL 세포로 in vitro에서 배양시킨 후 배양액의 상청액을 항원으로 EITB를 시행하였을 때 20 kDa. 30 kDa 이하의 분획에서 반응대가 관찰되었다. 이상으로 30 kDa 항원이 톡소포자충 tachyzoite의 용해물 뿐만 아니라 분비물에서도 관찰되는 중요한 항원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상부 위장관 증세가 있는 소아의 위십이지장병변 및 Helicobacter pylori 감염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astroduodenal Pathology in Children with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 윤영란;김미령;임재영;최명범;박찬후;우향옥;윤희상;고경혁;강형련;백승철;이우곤;조명제;이광호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6권2호
    • /
    • pp.103-111
    • /
    • 2003
  • 목 적: 만성 반복성 복통, 식사 후 상복부 불쾌감, 잦은 구토나 구역질이 있는 소아를 대상으로 위내시경을 시행하여 위십이지장 병변을 확인하고, 생검체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조직학적 검사와 H. pylori 검출 그리고 면역블롯팅을 통해 혈청 내에 H. pylori 특이 항체 존재를 확인하여 한국에서 관찰되는 소아의 위장관 증세와 위십이지장병변 및 H. pylori 감염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0년 6월부터 1991년 4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상부 위장관 증상으로 위내시경을 시행 받은 184명 중 위 전정부에서 생검이되었고, 요소분해효소 검사, Warthin-Starry 은염색 혹은 Hematoxylin-Eosin 염색으로 조직학적에서 H. pylori의 존재유무를 확인할 수 있었던 107명을 대상으로 위십이지장 조직학적 검사와 IgG 면역블롯팅에 의한 항-H. pylori 항체 보유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아 107명 중 남아가 61명(57%), 여아가 46명(43%)이었으며, 연령은 2세부터 15세까지 분포하였고 평균연령은 10.7세로서 10세에서 15세 사이가 가장 많았다. 2) 내시경상 15%에서 위출혈 반점,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십이지장 미란, 출혈성 십이지장염 등이 관찰되었고 대부분은 다양한 정도의 위점막 발적이 관찰되었다. 3) 107명 중 94명(88%)에서 경도 이상의 조직학적 만성위염이 있었으며, 십이지장 조직이 검사 가능하였던 99명 전원에서 만성십이지장염이 있었다. 4) 요소분해효소 검사는 위에서는 45%, 십이지장에서는 25.6%에서 양성으로 판정되었다. H&E 염색 검사에서 38.7%, Warthin-Starry 은염색 검사에서는 40%에서 HPLO 양성이었다. 이 세가지 검사 중 1개 검사에서 양성인 경우인 조직학적 H. pylori 양성은 57%이었다. 5) IgG 면역블롯팅 양성은 96%이었다. 6) 연령군별 조직학적 H. pylori 양성은 0∼4세 군에서는 29%, 5∼9세 군에서는 41%, 10∼15세 군에서는 68%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양성률이 증가하였으나, 조직학적 만성위염 및 만성십이지장염 빈도와 면역블롯 양성 빈도는 연령군별 차이가 없이 높은 양성률을 유지하였다. 결 론: 상부 위장관 증세가 있는 소아의 대부분은 조직학적 만성위염 및 만성십이지장염과 동시에 H. pylori에 대한 특이 IgG 항체를 보유하고 있었다.

  • PDF

석고가미복합방이 Anti-CD40과 rIL-4로 유도된 생쥐의 B 세포에서 싸이토카인 생성 및 면역글로블린 E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okgokamibokhapbang(SGBHB) on anti-CD40-and recombinant IL-4-induced cytokine production and immunoglobulin E and histanine release in highly purified mouse B cells)

  • 최문석;김수명;남궁욱;김동희
    • 혜화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1-146
    • /
    • 2004
  • In the present study, we exarnined anti-allergic effect of SGBHB in cultured B cells. B cells were prepared from isolated murine splenocytes and activated by co-treatment of anti-CD40 monoclonal antibody and recombinant IL-4 allergens. Anti-allergic effects of SGBHB in activated B cell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B cell surface activated molecules (CD23+ and CD11a+), and expression levels of IL-$1{\beta}$, IL-6, IL-10, TNF-$\alpha$, IgE, and HRF.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GBHB treatment did not produce significant cytotoxic effects on mouse lung fibroblast cells. 2. SGBHB produc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the expression of B cell surface activated molecules (CD23+ and CD11a) in activated B cells. 3. SGBHB 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expression levels of IL-$1{\beta}$, IL-6, and TNF-$\alpha$ mRNAs in activated B cells.IL-6 protein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100{\mu}g/m{\ell}$ of SGBHB treatrrient, and TNF-$\alpha$ protein levels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4. SGBHB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IL-10 at both mRNA and protein levels in activated B cells. 5. SGBHB 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levels of IgE production. Thus, the present data suggest that SGBHB has an anti-allergic effect on activated B cells by controlling irnmune responses, and further implicates the possibility on clinical application as a therapeutic ag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