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ntity of Korean Culture

검색결과 777건 처리시간 0.03초

데스크 서비스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 하회탈을 모티브로한 문화상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ulture Commodity Design for Desk Service - Focused on Culture Commodity Design with the Hahoe Tel - (wooden mask national treasure No121))

  • 서석민;신랑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1-223
    • /
    • 2007
  • 21 Century is said the age of cultural industry. In this cultural Industry one of very important factors which guides this times is the exploitation of cultural goods, which is based on regional identity. Therefore, at this point of time when its weighty has been rais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ll the image Korean tradition and modernity culture in them, through the search on their characteristics among regions and nations, desk the cultural service goods which gets survival power of traditional and cultural identity. Nine existing Hahoe masks are changed into nine new cultural items, which are presented the nine dreams of Hahoe masks. As consumer's choice is diversified by a set of products, main concept in this study is the focus on modernity, rationality, traditionality and popularity. The main concept of this study is on rational functions and convenience, the harmony of tradition and modernity. As said abov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e the mass production of goods is stressed, and by getting the composition and making a set of goods, the choice of consumers will be extended. Getting ideal globalization by the coexistence of tradition and modernity on goods, is very important. Consequently, cultural goods must be recognized as a factor of its medium, and also, on domestic cultural goods people's interest must be risen all the more.

  • PDF

서사시에 나타난 '민족' 형상화에 관한 비교 연구 - 고은의 『백두산』과 리욱의 『고향 사람들』, 『풍운기』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configuration of the nation in epics)

  • 장은영
    • 비교문화연구
    • /
    • 제25권
    • /
    • pp.337-362
    • /
    • 2011
  • This study focused on difference of the nation's concept between Ko un's Baekdusan and Lee uk's Gohyangsaramdul, Pungungi. These works are epics restructure nation's history. A epic's story provides framework of recognition to social members. An individual and community accept their story and then stories construct pesonal identity and community's identity. So we can say a epic configurates national identity by story nation history and nation territory. The nation's concept is understood steadfast and very pure as like a blood relationship in Korea. This is aspects of Korean nationalism. But the Nation is modern, social and historical concept. That is different from ethnic identity. This way throws open the door to analyze nation identity. Ko un's Baekdusan narrates permanence and sacralization of the nation for emphasizing the unification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Baekdusan expresses the social desire of Korea in the 1980s. In comparison, Lee uk's Gohyangsaramdul representate ambivalent attitude. One is a position as a settler and the other is a new master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So Gohyangsaramdul narrates and remembers their motherland Chosun. But Pungungi exclude recognition of Chosun as motherland. This work's narration focuses on association with struggle of classes and anti-Japanes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cause these events are able to unity Korean and Chines. Three works deal with same history and same background, but those show defferent recognition about the Nation. Because each society has different social desire and expect different future. The present desire and future prospect construct nation identity.

Southeast Asian Studies: Insiders and Outsiders, or is Culture and Identity a Way Forward?

  • King, Victor T.
    • 수완나부미
    • /
    • 제8권1호
    • /
    • pp.17-53
    • /
    • 2016
  • Debates continue to multiply on the definition and rationale of Southeast Asia as a region and on the utility of the multidisciplinary field of area studies. However, we have now entered a post-colonialist, post-Orientalist, post-structuralist stage of reflection and re-orient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a strong tendency on the part of insiders to pose these issues in terms of an insider-outsider dichotomy. On the one hand, the study of Southeast Asia for researchers from outside the region has become fragmented. This is for very obvious reasons: the strengthening and re-energizing of academic disciplines,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other non-regional multidisciplinary studies, and the entry of globalization studies into our field of vision. On the other hand, how has the local Southeast Asian academy addressed these major issues of change in conceptualizing the region from an insider perspective? In filling in and giving substance to an outsider, primarily Euro-American-Australian-centric definition and vision of Southeast Asia, some local academics have recently been inclined to construct Southeast Asia in terms of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a nation-state-based, institutional definition of what a region comprises. Others continue to operate at a localized level exploring small-scale communities and territories, while a modest number focus on sub-regional issues (the Malay-Indonesian world or the Mekong sub-region are examples). However, further reflections suggest that the Euro-American-Australian hegemony is a thing of the past and the ground has shifted to a much greater emphasis on academic activity within the region. Southeast Asia-based academics are also finding it much more important to network within the region and to capture, understand, and analyze what Chinese, Japanese, and Korean scholars are saying about Southeast Asia, its present circumstances and trajectories, and their increasingly close involvement with the region within a greater Asia-Pacific rim. The paper argues that the insider-outsider dichotomy requires considerable qualification. It is a neat way of dramatizing the aftermath of colonialism and Orientalism and of reasserting local priorities, agendas, and interests. But there might be a way forward in resolving at least some of these apparently opposed positions with recourse to the concepts of culture and identity in order to address Southeast Asian diversities, movements, encounters, hybridization, and hierarchies.

  • PDF

국내 성소수자의 성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메타요약 (Factors influencing the Sexual Identity Formation of Sexual Minorities (LGB) in Korea: A Qualitative Meta-Summary)

  • 표소휘;이슬아;장애경;이준우;이은비;양은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2호
    • /
    • pp.241-27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메타요약 방법론을 활용하여 국내 게이, 레즈비언, 바이섹슈얼 성소수자의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 질적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종합함으로써 이질적인 질적 연구 결과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국내 질적 연구들을 통해 보고된 성소수자의 성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하여 이러한 요인들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는 것은 그들의 내적 경험을 이해하고, 심리적 적응을 돕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질적 메타요약을 통해 국내 질적 연구들이 제시한 게이, 레즈비언, 바이섹슈얼 성소수자들의 성정체성 수용과 통합, 더 나아가 긍정적 정체성 형성에 관여하는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확인하고 체계적으로 요약하고자 하였다. 먼저 학술DB 검색을 통하여 국내에서 2021년까지 발표된 총 9편의 관련 연구물을 확보하였다. 9편의 연구물의 질은 Critical Appraisal Screening Programme을 통해 평가되었다. 분석 결과, 총 179개의 진술문이 추출되었고 관련 진술문들을 축약시킨 결과 34개의 축약진술문이 산출되었다. 34개의 축약 진술문은 성정체성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과 촉진하는 요인,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두 가지 축을 기준으로 크게 성정체성 발달을 촉진하는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성정체성 발달을 저해하는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네 영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논의에서는 영역별 주요 요인을 설명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의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수(水)문화' 개념에 기초한 항구도시 워터프런트 공간의 문화론적 이해 - 부산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ading Culturally the Waterfront Space in the Port-City on the basis of 'Water Culture' -The case of the Waterfront in Busan-)

  • 김나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29-437
    • /
    • 2011
  • 최근 들어 도시 재개발 과정에서 중요시되는 도시 워터프런트를 다각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여러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수(水)문화 개념에 입각하여 항구도시 워터프런트를 문화론적으로 해석하고자 시도했다. 본 논문은 안과 밖을 허물고 경계를 희석시키는 물의 속성에 기반하여 바다의 역동성과 집합성, 개방성 속성에 기초하여 워터프런트가 가진 속성을 밝혔다. 그리하여 항구도시 워터프런트가 지닌 경계성, 개방성, 혼종성, 통로적 성격이라는 문화론적 속성이 도시 거주민의 문화정체성 형성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부산의 사례를 통해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항구도시 워터프런트와 거주민들의 문화정체성간의 상관관계를 분명히 하였다. 나아가 이런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가 항구도시 워터프런트 개발의 방향성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한국 인디 패션 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Korean Indie Fashion)

  • 김나윤;하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50-659
    • /
    • 2016
  • This study is to comprehend indie fashion which pursues the realization of self-identity, values, freedom and a creation that deviates from conventional cultural flow. This study also aim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die fashion in Korean culture. A rigorous study on indie fashion has not yet been don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both a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study. The empirical study asked individuals who engage in indie fashion to provide opinions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die fash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ndie fashion does not impose conformity upon an individual nor does it pursue differentiation. Second, indie fashion based on self-identity is characterized by an individual's consistent and unchanging style. Third, images (or styles of indie fashion) cannot be uniformly defined as styles different from one individual to another. Fourth, indie fashion can be defined as when an individual perceives themselves as pursuing indie spirit and its attitude. Next was an empirical study that showed in what position indie fashion is and who the fashion leader is in indie fashion. People who enjoy indie fashion said that (regarding indie fashion) it exists independent from the flow of trends as it regards personal values and identity as important.

웹미디어의 중독적 이용 경험과 개인의 자아정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of Webmedia addictive Experience and Self-identity)

  • 김성벽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8권
    • /
    • pp.7-41
    • /
    • 2005
  • 본 연구는 웹 미디어 이용에 대한 성찰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미디어 매개적 경험의 확산은 인간의 경험을 축소하고 상실케 함으로써 개인의 자아정체성 인식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웹 미디어의 중독적 이용경향은 심각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웹 미디어의 중독적 이용경험과 자아정체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자를 이용량과 중독적 몰입도를 중심으로 9개 집단으로 구분했고, 이들의 자아정체성을 비교했다. 연구결과, 웹 미디어 중독적 이용경험과 자아정체성간에는 높은 유의미적 상관성이 제시되었다. 특히 웹 미디어 중독적 이용경험의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아정체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으로써 웹 미디어의 중독적 이용경험에 대한 우려를 실증해 주었다. 또한 웹 미디어에 대한 단순한 이용량보다는 중독적 몰입정도에 따라 자아정체성의 차이에 더 큰 유의미성이 나타났다.

  • PDF

유교경전의 동이 인식에 관한 연구 - 13경 및 그 주석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wareness about "Dong-YI(東夷)" in Confucianism scripture)

  • 함현찬
    • 한국철학논집
    • /
    • 제30호
    • /
    • pp.123-159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사상의 원류를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이(夷) 또는 동이(東夷) 관련 유교경전 자료를 정리 분석 및 주해하는 한편, 동이 관련 유교경전 자료에 대한 대중적 접근성이 용이한 연구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동이'는 동아시아의 역사뿐만 아니라 한국의 사상과 문화의 원형을 탐구하는 데서도 필요한 핵심적 키워드이다. 또한 동이와 관련된 유교경전 자료는 시간적으로 선진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의 역사 전반에 걸쳐 있으며, 공간적으로는 중국, 한국, 일본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아직까지 이(夷) 또는 동이(東夷)와 관련된 자료가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 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자료의 번역과 주석 또한 이루어지지 않아서 연구자들이나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이와 관련된 유교경전 자료를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아울러 유교경전 관련 주석서에서 시대별로 이 혹은 동이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이(夷) 내지는 동이(東夷)에 대한 인식과 그 정체성을 규명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이(夷) 또는 동이(東夷)라고 하면 '동쪽 오랑캐' 또는 '중국 사람들이 그들의 동쪽에 있는 족속들을 멸시하여 일컫던 말', '사이(四夷)의 하나. 동쪽 오랑캐. 중국(中國)이 동쪽 나라의 이민족(異民族)을 멸시(蔑視)하여 일컫던 말', "자세히는 황하의 중간쯤으로부터 하류 동쪽의 이민족, 곧 한국 만주 일본 등을 가리킴" 등으로 알려져 있고, 또 "중국 역사에서 동쪽에 사는 오랑캐(이민족)를 일컬어 부르는 말이다. '사이(四夷)'와 같이 이(夷)는 오랑캐 전체를 일컫는 대명사로도 사용되었으나, 일반적으로 동서남북의 각 방위에 따라 오랑캐를 구분하여 동이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으로 불렀다." 라는 식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유교경전에 언급된 이(夷) 개념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것이 오랑캐 라기 보다는 오히려 군자(君子) 재지는 군자국(君子國)을 의미하는 뜻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의 동이관련 유교경전 자료를 분석해 볼 때 과거 "'동쪽 오랑캐' 또는 '중국 사람들이 그들의 동쪽에 있는 족속들을 멸시하여 일컫던 말' 이라는 식의 인식은 매우 잘못되고 왜곡되어진 인식임이 분명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夷)는 인(仁)이며, 인(人)이고, 또한 군자(君子)이다. 따라서 이(夷)라는 단어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는 바로 '사람다운 사람' '군자', 내지는 '군자국(君子國)'을 나타내는 의미가 내재되어 있는 단어라는 것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 민족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언어와 역사 그리고 정신 혹은 사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가장 변하기 쉽고 또 지키기 어려운 것이 정신일 것이다. 그것은 보이지 않는 것이고 다른 것과 구별하거나 정의하기 어려운 특성 때문이다. 정신 혹은 사상은 변하는 것이고 변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것이 그렇듯 변하지 않는 것, 변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 있다. 어떤 상황에서도 변해서는 안 되는 그 부분이 바로 정체성의 뼈대에 해당한다. 따라서 동이와 관련된 유교경전 자료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는 것은 이러한 뼈대를 구축하는 초석이며, 무엇보다 시급한 역사적 당면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한 한국의 정체성 확립은 정치 사회적 측면에서도 우리에게 가장 적합한 우리 국가와 문화 및 사회 발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호남문화의 정보화 및 열린교육을 위한 가상정보문화학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yber Information Culture Academic Division for the informationalization of Honam Culture and Open Education)

  • 김희수;박선주;노봉남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44-64
    • /
    • 1999
  • 호남문화의 정체성과 문화발전을 확보하고 이를 세계화하며 동시에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호남문화를 정보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호남문화 정보화의 사회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살펴보고 호남문화의 정보화 과정을 3단계로 부류하여 설정하였으며, 호남문화의 정보화를 담당할 인력 양성과 호남문화 교육 및 정보문화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호남문화 정보화를 위한 가상 정보문화학부 설립에 관한 구성체제 및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 PDF

디지털 문화에서 TV 방송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연구 -시사 교양 프로그램의 사례비교 및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Brand Identity of TV Programs in the Digital Culture - Focusing on the comparative research of current issue programs, and development -)

  • 정봉금;장동련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53-64
    • /
    • 2005
  • 디지털이라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등장은 경이로운 한편 문화적 긴장이기도 하다. 인간의 능력을 극적으로 확장시켜주는 산업기술들은 우리가 그것에 적응해 가는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세력을 확대하고 곤다. 이것은 예외 없이 인간에 대한 개념 자체를 뒤흔듦으로써 새로운 문화의 내용과 형식을 만들어낸다. 디지털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방송환경은 지상파, 케이블, 위성, 인터넷 등으로 다원화됨으로써 다매체, 다채널 시대로 진입되었다. 디지털 문화피서 방송은 정보전달과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과거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이 같은 방송환경의 변화는 TV 시청자들을 능동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주체자, 참여자, 이용자로서 미디어를 선택하고 이용하는 존재라는 새로운 개념의 수용자로 출현시켰다. 본 연구는 채널선택의 주체로 능동적 수용자가 방송의 중심에 서게 되면서, 방송의 코어 아이덴티티(Core Identity)에 대한 문제제기를 브랜드를 통해 구조화시키고자 한다. 능동적 수용자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접근방법으로 이야기 스키마(Schema) 이론을 적용하여 '정보처리과정(information processing)'과 연관되어 있는 '인지적 과정(cognitve processes)'을 설명할 수 있다. 이것은 이야기가 있는 디자인으로서 브랜드의 스토리텔링 사례로 나타난다. 연구범위는 지상파 TV 방송에서 시사 교양 단위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했으며, 기간은 2004년 5월에서 8월에 걸쳐 방송중인 브랜드를 국내외 각 방송사별로 사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방송의 채널 아이덴티티가 단위 프로그램의 브랜드 전략에서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것은 중요하였다. 특히 방송사를 대표하는 프로그램은 별개의 단위 프로그램으로 취급되어서는 안 되며, 채널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내용과 형식에서 함께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앵커의 브랜드화 역시 방송의 브랜드 정체성에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