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ntification of Plant Fiber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TISS system 및 DELTA system에 의한 섬유식별 (Fiber Identification via the TISS and DELTA Systems)

  • 전수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
    • /
    • 1999
  • Of the vast number of plant taxa in the world, the wood is one of the most useful resource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fibers of wood and pulp for the plant taxonomy and for the uses, but we do not have enough information on them, on them, especially for the computerizd data. The fiber identification is one of the difficult tasks. In addition to the plant taxonomy and the fiber-using industries, such identification is also important in many other fields, including education. document examiners, etc. For these purpose, the fibers should be exactly distinguished. The TISS system I have programed to identify various woods would also be useful in the identification of fibers by the genus and species in the features of unknown samples and in searching the features of a species based on its scientific name. Such searching programs are being developed in many other countries with a view to searching for the species name by using the features of the cells of the woody materials. With the survey of all the available literature, the features of the fibers of 124 species both of softwood and hardwood were examined under the electron and optical microscopies. Each species were coded and carded by the feature, and the databases were built. The microscopic were inputted into a personal computer program called and by a slide film scanner. The new computer program called TISS 2 was developed using C computer language. Korean language fonts were added to the TISS 2. The TISS 2 can be in adding and searching a image of fiber features both of a known fiber and an unknown fiber. The databases were corded for the DELTA system with was developed by Dallwitz and Paine in Australia, 1986.

  • PDF

닥나무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기반 InDel 마커의 개발 (Development of Chloroplast Genome-based Insertion/Deletion Markers in the Genus Broussonetia)

  • 이은지;김윤아;이미선;김주혁;최용규;김정성;신창섭;이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0-29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닥나무 속 식물에 대한 InDel 마커를 개발하였다. 전국의 닥나무 속 식물 22개체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닥나무 속 식물 중 6개체를 차세대염기서열 분석(NGS)을 실시하였다. NGS를 통하여 얻은 염기서열 정보를 기존에 발표되었던 닥나무 엽록체 서열과 비교하여 InDel 마커 후보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마커 후보를 수집된 닥나무 속 식물에 적용하여 마커의 특성 검정을 통해 총5개의 엽록체 기반 마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InDel 마커를 22개의 유전자원에 적용한 후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5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마커들은 닥나무 속의 육종이나 종 판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고려시대 대혜보각선사서의 보존처리 및 과학적 조사 (Conservation Treatment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of Daehye Bogakseonsaseo (Letters of Master Bogak) in the Goryeo Dynasty)

  • 장연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9권
    • /
    • pp.47-64
    • /
    • 2023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대혜보각선사서는 1387년에 제작된 고려시대 서책으로 2005년 입수 되었으며 전체적인 손상이 매우 심각하였다. 이에 장황 특성과 과학적 분석을 통해 제작기법과 재료를 조사하였고 이를 토대로 전체 보존처리가 진행되었다. 서지학적 특성으로 장황형태는 오침안선장본(五針眼線裝本)이며 판식은 광곽이 사주단변(四周單邊), 계선은 무계(無界)이다. 보존처리는 기본 형태 조사 와 보존처리 과정을 살폈다. 형태는 겉표지와 원표지, 면지, 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지는 0.04~0.07mm로 일반적인 책지에 비해 매우 얇은 특성을 보인다. 표지와 내지 모두 열화로 인한 부서짐이 심각한 상태로 판단되어 전체 해체를 통해 보존처리가 진행되었다. 보존처리는 해체-클리닝-결손부 보강-스캔-제책 과정을 거쳤으며 오동나무상자를 제작하여 보관하도록 하였다. 해체 시 내지와 책 끈의 시료를 채취하여 섬유식별을 진행하였다. 내지 섬유식별은 사프라닌과 C-stain 염색으로 식별하였다. 사프라닌 염색 결과 섬유벽이 두껍고 마디와 왜곡, 투명막이 확인되었고, C-stain 염색결과 탁한 적색을 띠고 있어 닥나무 섬유로 식별하였다. 책 끈은 단면이 편평한 원형의 형태이며 중앙부분에 루멘이 관찰되어 면섬유로 판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