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on arrangemen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스마트폰 사용자의 앱정리 유형에 따른 앱아이콘 탐색의 차이 연구 -아이폰 사용자 중심으로- (Differences in Finding Smartphone Apps across User Types Categorized by App Icon Arrangement Style)

  • 강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43-155
    • /
    • 2017
  • 모바일 우선주의 시대에 수많은 모바일 앱이 쏟아지면서 사용자들이 보유하는 앱의 숫자도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의 숫자는 적고 많은 앱들이 언젠가 사용되기 위해 보관되고 있다. 이런 앱들을 사용자가 필요한 순간에 스마트폰에서 빠르게 찾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앱아이콘을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탐색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에서 앱아이콘 정리, 앱아이콘 인지 및 디자인의 변화에 대해서 고찰하고 5가지 정리 유형(사용빈도, 유사성, 사용성, 심미성, 외부영향)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30명의 아이폰 사용자들의 모바일 화면을 관찰 분석하여 유사성, 심미성, 외부의 영향을 3가지 주요 유형으로 확정하여 사용자 유형을 나누고, 각 사용자마다 자신의 폰에서 앱아이콘을 찾는 실험을 진행하여 사용자 유형별 아이콘 탐색 시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자주 사용하는 앱의 경우는 대부분의 피험자들이 2초 이하로 빨리 찾았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앱의 경우에는 유사성을 중심으로 정리하는 사용자가 평균 6초로 가장 빨리 찾았고 심미성을 고려해서 정리한 사용자가 평균 19초로 가장 오래 걸렸다. 또한, 사용자 유형별 인터뷰 결과 유사성 중심으로 정리하는 사용자에게는 앱아이콘 보다는 앱 이름의 기능 유추 여부가 중요하며, 심미성을 고려하여 정리하는 사용자에게는 앱아이콘의 칼라가 중요하고, 폴더 사용 없이 폰에서 제공하는 순서대로 앱을 배치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수많은 앱 아이콘들 사이에서 빠르게 시선을 잡아줄 수 있는 앱아이콘의 가시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들의 성향을 고려하면서 앱 아이콘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학생용 웹 기반 응용프로그램의 GUI에 관한 연구 -창의성 개발 지원 시스템(CGTS)의 적용을 중심으로-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 Web-based Application System for Primary School Children -Application for the Creative Group Thinking System(CGTS)-)

  • 한경돈;김미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53-58
    • /
    • 2005
  • 웹 기반 응용프로그램의 메뉴(Menu) 및 아이콘(Icon)등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Interface)는 사용자 인지체계와 적절히 순응되어야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응용프로그램의 특정 기능이 아동의 효과적인 아이디어의 발상을 목적으로 삼고 있어,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대한 세심한 연구와 분석으로 보다 합리적인 Web사용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디자이너의 아이디어 발상을 돕기 위해 개발된 CGTS의 전문적인 문자위주의 화면구성을 초등학생이 사용하기 쉽도록 메뉴구성과 아이콘의 유형, 선호하는 용어 등으로 CGTS를 수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스마트폰 런처에서 아이콘 자동 균형 배치의 수학적 분석 (A Mathematical Analysis of Automatic Balanced Placement of Icons in A Smartphone Launcher)

  • 손경아;은성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457-1462
    • /
    • 2020
  • 스마트폰에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탑재된다. 이 응용 프로그램들의 탑재, 삭제, 배치 등을 관리하는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을 런처라고 하며 다양한 런처들이 사용된다. 기존 런처들 중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활용 패턴들을 분석하여 아이콘을 자동으로 배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 화면에서 아이콘들이 균형을 이루도록 아이콘을 자동으로 배치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사례를 통하여 이 방식의 자동 배치가 사용자에게 유용함을 보였다. 이 경우 높이가 m이고 너비가 n인 m × n 화면 레이아웃에서 n이 홀수이면 전체 화면이 n 값과 관계없이 항상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음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였다.

인터넷에서의 뉴멀티미디어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The research of new Multimedia design developmenton Internet(Focus on the layout))

  • 류성현;신계옥;이은주;이현주;배경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
    • /
    • pp.111-120
    • /
    • 1997
  • 최근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터넷 웹사이트들은 우리에게 새로운 형태의 시각정보를 제공하고, 지역을 초월한 세계 여러 나라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미디어는 모니터 상에서 빛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전통적인 인쇄매체와는 달리 제한된 공간 안에서 전자적인 지시로 정보를 탐색하게 하고 다양한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신기술을 적용해 가는 과정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으로부터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급속한 변화와 발전에 재빠르게 대응하여 새로운 정보전달과 교환의 수단으로 그 위치를 점점 확고히 하고 있다. 정보전달을 위한 인터넷 웹사이트 홈페이지의 초기화면은 하부구조를 갖지 않는 첫째 장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타이틀과 아이콘, 내용, 심볼, 주소 등으로 구성되어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싶은 정보를 그래픽 적인 처리와 기획 력, 내용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홈페이지는 무엇보다 그래픽이 홈페이지의 전체 이미지를 결정하게 되므로 시각적 표현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본 연구는 인터넷상의 웹사이트 홈페이지 161개를 각 분야에서 무작위로 샘플을 추출하여 모니터 상의 홈페이지 레이아웃을 구성하고 있는 타이틀, 아이콘, 내용, 심볼 등의 시각적 요소들의 빈도 수와 면적 비, 분포도, 정렬방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홈페이지 제작상의 그래픽 적 해결방법은 다분히 주관적이고 이에 따른 반응도 다양할 수 있으나, 새로운 미디어에 관한 객관적인 분석 자료로서 참고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인터넷상에 적용되는 그래픽의 특성과 Graphic User Interface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을 구성 기획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