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융합

검색결과 13,457건 처리시간 0.06초

IT융합 산업의 도약전략

  • 정경원
    • 정보와 통신
    • /
    • 제28권1호
    • /
    • pp.15-21
    • /
    • 2010
  • 융합의 현상은 기술간, 디바이스간, 산업간 등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그 유형도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다. IT융합도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산업 곳곳으로 확산되며 정보화 사회를 넘어 모든 산업에 IT가 융합되는 지능기반(Smart) 사회로 IT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또한 IT융합 시장 규모도 점차 성장할 전망이다. 세계 IT융합 시장 규모가 2010년 1.2조 달러에서 2020년 3.6조 달러로 연평균 11.8%의 고성장이 전망되고 국내 IT융합시장 규모도 2020년에 1,237억 달러로 세계시장 성장률보다 높은 13%대의 성장을 예측했다. 이미 미국, EU, 일본 등 선진국들도 IT를 중심으로 산업간 융합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IT융합은 자동차, 조선, 건설, 의료, 섬유 등 다양한 전통산업과 IT가 접목되어 새로운 혁신의 장을 만들고 있다. 우리 정부도 'IT융합 확산전략'을 발표하고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선진 일류국가 도약을 위해 IT산업 경쟁력을 기반으로 주력산업과의 융합을 촉진하여 신 시장을 개척해 나가야 한다. 정보통신산업 진흥원도 IT융합시대를 이끌 견인차가 되기 위해 2011년에 IT융합정책의 전략목표로 (1) IT융합 인식 확산 및 제도 개선 (2) 다양한 IT기술과 산업협력 모델 발굴 (3) 신 시장 창출을 통한 IT융합 확산 (4) 창의적 IT융합인재 양성을 선정했다. IT융합 전략의 성공적인 추진과 미래 산업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산업계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정부와 산업계를 잇는 가교 역할을 충실히 할 것이다.

IT 기반 융합정책 방향 (The Directions of IT-based Convergence Policy)

  • 현창희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3권2호통권110호
    • /
    • pp.1-12
    • /
    • 2008
  • 최근 급격한 기술혁신으로 기술간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융합정책이 새로운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의 연구결과와 정책과제들을 보면 '융합' 이라는 현상 전반에 대한 이해와 통찰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개별기술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들을 종합하여 '융합정책' 이라는 이름으로 제시되고 있는 듯하여 우려된다. '융합기술' 이란 현재만이 아니라 기술의 진화와 혁신이 발생하는 곳에서는 늘 존재하였다. 단지 최근 들어 '융합' 이라는 용어가 더욱 강조되고 주목을 받는 이유는 기존에 발생하였던 '점진적 융합' 과는 달리 발생속도가 급격하고 그 영역이 대단히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혁신적.광역적 융합' 의 성격을 띄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혁신적.광역적 융합' 의 공통점은 어느 분야에서 발생하든 IT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IT는 융합의 실체가 IT로 나타나든 타 분야에 내재화되어 나타나든 모든 분야의 원천기술로 작용할 것이 확실시 된다. 본 고에서는 일대 전환기를 맞고 있는 IT 기반 융합의 의미와 현상을 살펴 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국민소득 3만 달러, 4만 달러 달성을 위한 IT 기반 융합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등학교 융합 교육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 School Convergence-Education Model and Program)

  • 배상용;윤주호;류대현;신승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46-1047
    • /
    • 2012
  • 산업화 시대에서 지식정보화 사회로, 현재는 융합 사회로 진화되고 있다. 하지만 교육은 현재의 사회를 반영하지 못하고 아직도 단일 교과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에 고등학교 교육에 융합교육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제주물산업과 IT 융합방안 (The Convergence of IT and Jeju Water Industry)

  • 박금룡;김성백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1037-1040
    • /
    • 2010
  • 최근에 기술 융합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술융합 시대를 맞이하여 현재 기술 융합의 핵심 요소인 IT와 융합된 기술 융합 현황을 분석알아 본다. 또한, 국내외 전반적인 기술융합 발전방향을 파악하며 이를 바탕으로 제주도 물산업과 IT의 융합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제주 물산업은 지하수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지하수와 강수량 데이터의 연관 분석이나 지하수의 시각화 과정에서 IT 융합을 어떻게 할 수 있는 지를 고찰한다.

  • PDF

건강운동을 위한 IT 융합기술의 접근 동향 (A Study of IT Convergence Technology For Health Exercise)

  • 강승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3_2호
    • /
    • pp.77-82
    • /
    • 2015
  • IT 융합은 IT의 자체 고도화를 바탕으로 다른 분야의 기술개발과 산업발전을 견인하거나 새로운 산업창출을 목표로 국가전략적 차원에서 접근을 하고 있으며 연구자원을 집중 투자하고 있다. 이에 IT 융합은 주력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하고, IT 신산업을 창출할 뿐만 아니라, 범부처적으로 추진하는 신성장동력 육성에 기여하는 첨단융합 산업분야로 부상하게 되었다. 건강관련 융합서비스는 기존의 질병 예방과 관리 중심의 치료기술 산업에서 운동/스포츠 및 재활 중심의 엔터테인먼트체험 산업으로 확장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T 융합에 대하여 그 중요성을 지니는 것만큼 건강운동과 관련된 IT 융합기술개발 동향을 파악하고 기존에 진행되었던 주요 기술개발과 융합산업 발전을 위한 방향에 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Focus on - IT.BT 융합부품 산업동향

  • 이민영
    • IT SoC Magazine
    • /
    • 통권16호
    • /
    • pp.51-54
    • /
    • 2006
  • 융합기술이 향후 미래를 이끌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IT.BT 융합기술은 향후 새로운 기술혁명을 주도할 수 있는, 사회 전반에 파급효과가 큰, 세계경제의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IT.BT융합 기술은 바이오인포매틱스, 바이오전자, 생체정보인터페이스, 생체정보보호, 바이오컴퓨터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그 영역이 매우 광범위하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전자 가운데 융합 부품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바이오칩과 바이오센서 분야의 사업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융합시대의 IT R&D 방향

  • 최문기
    • 정보와 통신
    • /
    • 제25권1호
    • /
    • pp.25-31
    • /
    • 2008
  • 사회변혁 과정에서 경쟁우위 확보는 그 시대를 대표하는 기술의 습득과 활용의 정도에 따라 좌우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보혁명 과정에서 IT기술의 습득과 활용을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 IT강국이라는 현재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IT산업이 국가의 경제발전을 지속적으로 선도하여 나가기 위해서는 IT 산업내의 구조적 취약점을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참여정부에서 시작된 IT39 중심의 산업정책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변화의 방향을 가늠해 보고 우리 IT산업이 직면한 문제 분석과 이를 토대로 한 새로운 IT R&D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미래사회 변화의 큰 특징은 융합으로 대변된다. 정보처리 기술과 통신기술의 융합으로 시작된 이 흐름은 최근 통방융합이라는 차원을 넘어 이종기술간 및 이종산업간 융합이라는 개념으로 확장 진화되고 있다. 또한, 사회변혁의 패러다임도 지식기반사회에서 융합시대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융합이라는 패러다임 변혁의 물결에 편승하기 위해서는 IT기술이 융합시대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어떻게 진화해 갈 것인지를 규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IT기술은 그동안의 혁신적 발전을 기반으로 여타 기술 및 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원천기술로 작용할 것이 확실시 된다. 따라서, 융합시대에서 IT기술은 기존의 독자적 산업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새로운 기술과 산업으로 그 응용범위가 대폭 확장됨으로써 기존에 IT가 지녔던 기술적, 산업적 중요 성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융합시대에 대응하여 IT R&D 방향을 검토하는 전략적 의미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게 된다. 융합시대에서 IT R&D는 IT가 여타 기술 및 산업발전을 위한 원천기술화를 비롯하여 (1) 유비쿼터스 인프라, (2) 디지털 인텔리전스, (3) 융합부품, (4) 메가 컨버전스 등과 같은 4대 동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IT의 원천기술화 및 4대 동력에의 집중이야말로 융합시대를 슬기롭게 열어가는 '전략적 창(strategic window)‘이 될 것이다.

국방IT융합기술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al Strategy of National Defense & IT Convergence)

  • 구한림;김성민;이우섭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6_1호
    • /
    • pp.99-112
    • /
    • 2014
  • 국방IT융합이란 네트워크중심전(Network Centric Warfare) 개념을 실현하기 위해 새로운 IT 융합기술을 개발하여 실제 전력화하는 것이다. 국방부는 창조경제 시대적 사명인 국방IT융합발전을 위해 국방기술품질원의 국방IT융합 센터를 전담기관으로 지정하였고 융합센터를 중심으로 국방IT융합 과제 발굴을 위한 산 학 연구기관과 군 소요조사, 사전 기술기획 활동하며 국방 도메인 전문가로 구성된 과제기획팀 운영과 선진 기획방법 적용 등을 통해 민간IT 신기술의 적기 도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방IT융합 발전을 위해 국가IT융합 정책 추진과 국방IT융합기술 현상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한 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발전전략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논문은 국방IT융합발전을 위해 식별된 IT융합 과제를 단계화 추진하고 신설된 국방IT융합센터의 효율성을 제고하며 국방개혁과 연계된 IT융합인재 육성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스마트 국방을 조기에 달성하고 패러다임의 신속한 전환과 창조경제 구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국산 경량 암호 PIPO에 대한 부채널 분석과 마스킹 기법 제안 (Side-Channel analysis and masking scheme for domestic lightweight cipher PIPO)

  • 심민주;김현준;권혁동;장경배;김현지;박재훈;엄시우;송경주;서화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71-174
    • /
    • 2021
  • 최근 사물인터넷(IoT) 환경에서 다양한 장비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여 이에 적절한 경량 블록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CISC 2020에서 새로 발표된 국산 경량 블록 암호 알고리즘인 PIPO는 새로운 경량 S-Box를 조합한 unbalanced-Bridge 구조로 효율적인 비트슬라이싱 구현을 제공한다. IoT 환경에 PIPO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부채널 분석에 대한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IPO가 1차 CPA 공격에 취약함을 확인한다. 그리고 부채널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1차 마스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마스킹 기법은 1차 CPA 공격에 안전하였으며, 마스킹 적용 전보다 -375%의 성능을 보였다. 그리고 기존 기법보다 1287% 속도가 빨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중소기업 IT 융합 역량강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lan for Consilidating the IT Convergency Capabilities of SMB)

  • 김경일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41-46
    • /
    • 2014
  • 창조경제는 전체산업이 융합하는 현상과 관련이 있으며, 융합은 기술 및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다차원적 결합을 의미한다. 첨단기술과 대규모자본을 투입하지 않더라도 창의적인 컨셉과 융합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는 강점이 있으며 제조업 분야에서는 최근 들어 IT 기술과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 제3차 제조업혁명이 확산되고 있으며, 생태계 내의 네트워크화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동인으로 작동하고 있다. 그간 국내에서의 융합은 주로 대기업에서 관심을 가지고 추진한 것이 사실이다. 중소기업의 경우 융합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구체적인 추진은 부족하여, 이에 대한 정책적인 고려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창조적인 아이디어가 가미된 융합은 중소기업에게 성공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도 융합 아이디어만 있으면 부가가치를 높이고 신사업을 창출함으로써 성공 가능하므로 단순히 기술 결합에 의한 기술제품의 개선이나 시장 확대가 아니라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부가하는 것이 관건이 된다. 따라서 중소기업 융합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융합을 통한 중소기업 R&D 역량 강화 방안 둘째, 중소기업 융합성과의 보호 및 활용도 제고 셋째, 중소기업융합 인프라를 확충시킬 수 있는 과제가 우선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