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T와 조직의 성과관리

Search Result 49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IT Asset Management Through Application of Balanced Scorecard in the Public Organizations (BSC를 활용한 공공기관의 정보기술 자산 관리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Choi, Jun-Hyeog;Kim, Hyung-J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6
    • /
    • pp.191-199
    • /
    • 2012
  • By the way, in light of the knowledge, even public institutions are paying much attention to the management of IT assets for achieving organizational goals. Recently, some public institutions adopt balanced scorecard for enhancing efficiency in operations and management of total administrations. To be interested, some key performance indicators(KPI) of the balanced scorecard reflect the three aspects of IT assets and their possible outcome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positive effects of IT asset management through balanced scorecard at public institutions. Specifically, we selected and classified KPIs into different categories depending on three aspects of IT assets, internal process change, and organizational outcomes. To address relationships of KPIs among the categories, we specified each category and developed as a variable respectively. A middle-sized city provided us with 138 KPIs for the development of scales.

ITROI Case O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해양수산부 IT투자성과관리체계 구축 사례)

  • Kang, Jea-Hwa;Lee, Mun-Gyu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91-96
    • /
    • 2006
  • 최근 몇 년 사이 정부 내의 정보화 사업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민의 정부시절 약 2,400억 규모의 정보화 예산이 참여정부에서는 약 9500억으로 증가한 사실이 이를 반증하는 증거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화 사업에 대한 투자규모에 비하여, 막대한 예산을 들여 진행되는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성과관리는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현실이다. 오히려 성과관리라는 것이 사업의 추진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요소로 인식되기도 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업에 대한 성과관리의 부재는 장기적으로 조직의 전략목표와 정보서비스와의 GAP을 심화시켰고, 결과적으로 막대학 IT 투자 전체에 대한 회의감만을 대두시키는 결과를 가져 왔다. 2006년 IT최대의 화두인 IT거버넌스 개념 역시 IT와 비즈니스의 GAP을 줄여 IT 서비스가 조직의 목표와 전략을 올바르게 지원하도록 IT운영을 하자는 것이 핵심사상이다. 이러한 IT거버넌스 실현의 중심에 IT 투자성과관리체계가 있다. 해양수산부는 IT투자성과관리체계구축을 통하여 정보화사업 전체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각 단계별 이력관리를 통해 매년 사업 담당자가 바뀌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사업의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각 사업에 대한 평가지표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을 통해 사업계획, 시행, 종료 단계에서 과학적인 정보화 사업의 투자성과평가를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IT투자성과관리체계는 기 구축된 ITA, ITAMS, IT자산관리체계와 연동하여 해양수산부 IT거버넌스 실현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Case Study of BSC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Defense Information Planning Office (국방부 정보화조직의 BSC 성과관리체계 구축 사례)

  • Cho, Sung-Rim;Choi, Jong-Sup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585-591
    • /
    • 2005
  • 참여정부가 정부혁신 방안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성과관리제도는 조직이 지향하는 목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여 결과를 의사결정에 환류하는 경영관리기법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공공분야의 성과관리제도는 정부업무평가, 직무성과계약제, 재정사업 성과관리제도 등 다양하다. 국방부는 정부 방침에 따라 성과관리체계를 구축함에 있어 내부의 성과관리뿐만 아니라 외부 평가제도를 지원하기 위한 통합성과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부 정보화기획관실의 BSC 기반의 성과관리체계 구축 사례를 통하여 공공기관 정보화조직의 성과관리체계 구축 방향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on the Performance of University Library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이 대학도서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eong, Dae-Keu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7 no.2
    • /
    • pp.359-38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t aims not only for analyzing direct effects of organiz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on organizational achievement, but also for ones of high commitment system with empowerment,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culture, turnover intention and so on. Also, instead of measuring the achievement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 respectively, this study shows the integrated model of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individual achievement.

PMO Research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IT Project (조직 내 프로젝트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PMO 활용에 관한 연구)

  • Kuu, Hee-Hyun;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360-1363
    • /
    • 2011
  •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는 프로젝트 수행을 일관성 있게 관리하는 조직으로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수행 초기부터 전체적인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하며,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도모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IT 프로젝트를 수행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첫째,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주는 PMO의 핵심 기능을 5가지로 정의하고 둘째, PMO가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는 영역을 경쟁가치모형1)을 이용하여 4가지 모델로 분류하였다. 셋째,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PMO 기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로 한국은 PMO 기능 중에 프로젝트를 통해 알게 된 교훈이나 지식을 관리하는 학습영역은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프로젝트에 대한 통제 및 보고, 표준화 된 관리 방법론은 성과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PMO가 조직에서 성공적으로 도입되기 위해서 수행해야 할 주요 역할을 명확히 함으로서 프로젝트 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고 프로젝트 수행에 PMO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Effects of Performance-based HRM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In the Case of a Public Corporation (성과주의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공기업 직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 Lee, Eui-Joo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7 no.3
    • /
    • pp.137-145
    • /
    • 2016
  •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positive impacts of PB(performance-based) HRM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 public corpora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PB staffing', 'PB appraisal', 'PB compensation'. The dependent variables are 'JS(job satisfaction)', 'OC(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PB staffing' shows positive impact on both 'JS' and 'OC', but 'PB compensation' doesn't show positive impact on both 'JS' and 'OC'. Also, it is found that both 'PB appraisal' and 'PB compensation' do not show positive impact on 'OC'. 'PB appraisal' shows positive impact on 'JS', though. From the empirical analysi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B-HRM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partially verified. It is thought that these mixed results are originated from the particular situation in which the surveyed corporation is placed. After the merger of the corporation in 2009, even though it has introduced various PB-HRM systems, it has been through a harsh time such as wage freeze and return as measures of business normalization. This organizational situation may influence th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the normal PB-HRM.

Potential Effects of Organizational Fairn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Moderating Effects from the Collectivism Propensity of Construction Site Managers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건설현장 관리자의 집단주의 성향에 대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Dae-Hyeon;Ha, Kyu-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2
    • /
    • pp.291-30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otential moderating effects o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ne's collectivism propensity as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onstruction site managers.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verify if site managers' collectivism propensity could have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o that it could find out the importance of moderating effects o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site managers' collectivism propensity. In order to meet these goals, this study selected organizational fairness as a factor that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fairness can be divided broadly into distributive fairness and procedural fairness. And this study also sel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variabl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result from organizational fairness and collectivism propensity of site manager. Moreover, this study selected the collectivism propensity of site manager as a variable that moderates potential effects o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effectiveness.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findings in detail: First,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fair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was demonstrated in the result of relevant hypothesis test. Secondly, it was found that construction site managers' collectivism propensity had no moderating effect upon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effectiveness.

Performance Measurement of ITO Service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서비스 성과 측정 방법)

  • Rho,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c
    • /
    • pp.1841-1844
    • /
    • 2003
  • 어떤 아웃소싱에서건 성과 측정을 못하면 관리할 수 없다. 기존의 ITO 서비스 측정 기준이 IT중심의 SLA이었다면, 본 논문에서 말하려는 ITO 서비스 측정 방법은 ITO 서비스에 대한 비즈니스측면의 가치 평가를 시도한 것이다. 기업의 성과평가를 위해 적용되는 BSC 개념을 ITO서비스에 도입하여 IT BSC체계를 확립하고, 이를 조직내 의사결정 레벨로 관리함으로써 ITO서비스 측정 지표값이 조직의 비즈니스 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인해 사업목표와 연계된 ITO서비스 측정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IT예산 산정의 합리적 근거를 확보할 수 있다.

  • PDF

A Case Study of Strategic Performance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Public Organization (공공조직의 전략적 성과관리 설계 및 적용에 관한 사례분석 연구)

  • Lim, Jong-Ho;Lee, Jung-Hoon;Kang, Sung-Ju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5a
    • /
    • pp.3-12
    • /
    • 2006
  • 최근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BSC(균형성과표)/SEM(전략적 전사관리) 등의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민간 부문과 달리 공공부문은 비영리 조직이라는 특성을 가지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존재하여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대상 공공기관의 전략적 성과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업무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에 대한 선진 사례를 도출하여, 공공부문에서 BCS 등의 성과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벤치마킹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례대상 공공기관(정보통신부)의 성과관리에 대한 연구는 국내 공공부서에 적합한 성과관리 방법론 도입과 시스템 구축에 효과적인 지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현재 공공부문 BCS(균형성과표)설계 및 시스템 구축 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하여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 PDF

Factors Affecting Management Process Inefficiency of Knowledge Service Firms (지식서비스기업의 관리프로세스 비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hyun Kim;Bo Seong Yun;Yong Jin Kim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1 no.4
    • /
    • pp.69-97
    • /
    • 2019
  • Knowledge service firms are able to have high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OP)' by improving efficiency in management processes on customer problem solving.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inefficiency that has been overlooked up to now compared to the management process efficiency. We also suggest in this study 'Hierarchical Culture (HC)' and 'IT Relatedness (IR)' a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efficiency of management processes, and propose the moderating effect of 'Task Difficulty (T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factors and 'Inefficiency of Business Process(IP)'.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HC' has a positive effect on 'IP', and 'IR' has a negative effect on 'IP'. 'TD' was significant moderator of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IP'. 'IP' was shown to play a full mediating role between independent factors and 'OP'. In conclusion, knowledge service firms are desired to reduce 'HC' and enhance 'IR' by minimizing unnecessary formal procedures, securing flexibility in decision making through appropriate empowerment, creating a smooth flow of knowledge, and enhancing the level of IT resource management and utiliz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IP', it is required that a company with a high degree of 'TD' to more reduce a 'HC' and a company with a low degree of 'TD' to more enhance a 'IR'.